• 제목/요약/키워드: NIC (Neck Injury Criteri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후방추돌시 BioRIDII 머리-목의 거동과 목상해지수와의 비교 (Comparison Head-Neck Movement and Neck Injury Criteria of BiRIDII in Rear-impact Sled Test)

  • 김시우;심소정;서명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57
    • /
    • 2010
  •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study for rear impact has been conducted and as a result of study, researchers proposed the neck injury criteria and test procedures. But many questions, related to injury criteria and dummy biomechanical levels, remain unresolved. In recently reports, rear impact motions of BioRIDIIg is not humanlike but better than other dummy(HybridIII, RID3d). So, in this paper, 4 times sled test would be done to find the substitutable neck injury criteria in BioRIDIIg. To review corelation trend with neck injury critera and head-neck movement, we compared with recently announced neck injury criteria(NIC, Nkm, T1 ect.) and head-neck X-direction movement in BioRIDIIg. Finally, we find the head-neck X-direction movement on head C.G to T1 point may be considerable as the additional neck injury criteria.

Wheelchair Multi-layer headrest foam 특성과 상해지수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heelchair Multi-layer Headrest Foam Properties and Injury Index)

  • 조성욱;지승민;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53-258
    • /
    • 2023
  • 교통수단의 발전은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을 실현하였지만 차량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인 탑승객의 안전 향상은 일반 승객좌석에 비해 낮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후방 추돌 사고의 경우 장애인 탑승객의 머리와 목 부상에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운송 차량의 후방 추돌 시 차량내 장애인 탑승객의 머리와 목 상해지수 개선을 위해 headrest를 관상면으로 3등분한 multi-layer headrest foam이 제안되었다. 간이 모델을 통한 저속 후방 추돌 해석을 통해 foam의 다양한 압축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stress scale factor의 범위가 선정되었으며, 해당 범위를 parameter로 지정하여 GA최적화가 수행되었다. 최적화결과를 통해 layer의 압축 특성에 따른 HIC와 NIC간의 상간관계 분석이 이뤄졌으며, HIC는 Front layer, NIC는 Mid layer의 압축 특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Rear layer의 압축 특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Validation model에 일반headrest와 최적화된 multi-layer headrest를 각각 배치하여 저속 후방 추돌 sled test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일반headrest대비 multi-layer headrest에서의 HIC와 NIC가 낮게 도출되었다. multi-layer headrest에서의 압축 거동 역시 명확하게 나타나 multi-layer headrest가 일반headrest대비 머리와 목의 상해지수 개선에 효과적인 것이 검증되었다.

초저속 후방 추돌시 BioRID-II를 이용한 목 상해 지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k Injury Criteria Using BioRID-II during Very Low Speed Rear-end Collision)

  • 홍승준;유한규;김영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4-61
    • /
    • 2013
  • Although typically classified as AIS 1, whiplash injuries continue to represent a substantial social problem with associated costs estimated at over $1 billion annuall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at positions(seatback angle, headrest height) on risk for whiplash injury in very low speed(${\Delta}V$=4~10km/h) rear-end impact. To accomplish this, rear impact seat carriage tests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BioRID-II dummy seated in a mass production seat, which allowed for the adjustment of seatback angle and headrest height. Neck injury criteria(NIC, Nkm) were then compared for different ${\Delta}V$ and seat positions.

차대차 추돌사고 재현시험을 통한 경추염좌 상해 위험도 연구 (Whiplash Injury Case Studies through Low Speed Rear-end Crash Tests)

  • 임남경;심상우;정현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32-438
    • /
    • 2016
  • Whiplash injuries in low-speed rear-end collisions are the most common injuries and has been a social issue in insurance industry, such as excessive medical claim costs along with exaggerated injuries of victims and treatments from hospitals. According to the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reports, the number of claims by rear-end collision was approximately 703,000, which accounts for 53.6 % of the total car-to-car collisions in 2014. Part of the neck injury claims in the Korea car insurance was approximately 28.3 %. Furthermore, approximately 98.4% of the injured persons in rear-end collisions sustained minor injuries under AIS2.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as well as find out the severity of neck injuries from rear-end collision, the Korea Automobile Insurance Repair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conducted car-to-car rear-end crash tests that striking vehicles(SUV) collided into different sizes of struck-vehicles(small, middle, and large sedan) at the impact speeds of 8 km/h ~ 16 km/h. In order to analyze the whiplash injury, the BioRID-II was seated in each struck-vehicles, and the neck injury criteria(NIC), head contact time, maximum vehicle accelerations, and mean vehicle accelerations were calculated from values from the accelerations of the dummy and the struck-vehicles.

k-means clustering DB를 통한 Multi-cell headrest의 상해지수 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jury Index of Multi-cell Headrest through k-means Clustering DB)

  • 조성욱;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46-52
    • /
    • 2024
  • 운송 수단의 발전은 인간의 교통 편의 증진과 더불어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이동 반경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휠체어 탑재 차량의 경우 차량 사고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성은 일반 승객 좌석에 비해 여전히 낮다. 특히 무방비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후방 추돌 사고의 경우 장애인 탑승객의 목 부상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 탑재 차량에 적용될 headrest에는 보다 세밀한 설계안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운송 차량의 저속 후방 추돌 시 headrest의 국부적 압축 특성 분포 구현을 위해 multi-cell headrest가 제안되었다. 이후 해석을 통한 데이터셋 구축과 k-means clustering을 적용한 군집화 결과를 이용해 탑승객의 목 상해지수와 충격 에너지 흡수량 간 상관관계 분석이 수행되었다. 군집화 결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데이터 군집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군집의 특성을 통한 목 상해지수와 충격 에너지 흡수량 간의 상관관계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Mid3와 Mid6에서의 cell 압축 특성이 soft할수록 충격 에너지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ront2, Mid3, Mid6에서의 cell 압축 특성이 hard할수록 목 상해지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차량 정면충돌 및 추돌시 유효충돌속도에 따른 탑승자 상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Injury for Effective Impact Speed in Vehicles Frontal Collision and Rear-ender)

  • 조정권;윤준규;임종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39-247
    • /
    • 2015
  • 최근에 자동차 사고발생 빈도수가 높은 정면충돌사고와 추돌사고에 대해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충돌사고에서 재구성을 위한 유효충돌속도와 인체상해발생정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모형식을 제시하였으며, 인체상해가 가능한 자동차 실차실험의 한계가 명확하므로 이를 대신하여 각종 충돌실험자료와 인체실험자료 등을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정면 및 추돌사고의 경우에는 유효 충돌속도가 7 km/h 이하에서는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 임계치를 나타냈으며, 충돌속도와 소성변형량 정도를 통해 상해정도가 유효충돌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모형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제시된 유효충돌속도와 상해발생정도의 추정모형은 사고재구성에서 최소한의 공학적 판단기준으로 활용 가능하여 법적 분쟁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