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E-1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1초

고추와 재배환경의 식품매개 병원균 분포 (Distribu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red pepper and environment)

  • 정지은;서승미;양수인;진현숙;정규석;노은정;정명인;류재기;류경열;오광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99-808
    • /
    • 2021
  • 본 연구는 고추와 토양, 농업용수, 장갑을 대상으로 101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에 대해 정량 분석과 병원성 세균(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B. cereus, S. au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에 대해 정성 분석하였다. 고추와 토양, 장갑 시료의 일반세균수는 3.36-7.08 log CFU/g, 대장균군은 2.16-5.14 log CFU/g, 대장균은 1.50-1.54 log CFU/g이었고 농업용수 시료의 대장균군은 17.67-247.05 MPN/100 mL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추와 토양, 농업용수, 장갑의 B. cereus는 1.35-6.78 log CFU/g, S. aureus는 1.63-2.09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추와 토양, 농업용수, 장갑 시료에서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추와 환경 시료에서 분리한 B. cereus의 장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고추와 토양, 장갑에서 분리한 B. cereus의 hblACD 유전자는 각각 54.5, 75, 75% 비율이었으며, nheABC유전자는 각각 72.7, 75, 100% 비율이었다. 고추와 토양, 장갑에서 분리한 B. cereus는 β-lactam계 항생제에 대해 저항을 보였지만, cefotaxime에 대해 일부 균주는 중간 내성을 보였고 모든 균주는 imipenem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냈다. B. cereus는 비β-lactam계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냈지만, rifampin, trimethoprim-sulfamethoxaole, vancomycin, clindamycin, erythromycin에 대해 일부 균주는 중간 내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재배단계 고추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고, 고추에 오염된 B. cereus에 의해 설사형 식중독이 발생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농산물 중 미생물 기준 설정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고추와 재배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B. cereus가 검출되어 농업현장에서 항생제 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어린이집 급식실 정수기의 미생물학적 오염 평가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Water Purifiers at Lunchroom in Child Care Center)

  • 윤미혜;김중범;오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9-604
    • /
    • 2012
  •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water purifiers at lunchroom in child care center was investigated. A total of 49 water purifiers and their purified cold water were sampled to test about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Total aerobic bacteria was detected over 2.0 log CFU/mL in 6 out of 49 purified cold water (12.2%), ranged from 2.0 to 2.4 log CFU/mL, an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showed to be 3.3 log CFU/drain spout. The drain spout turned out to be a major contaminant in water purifier and needs to be improved. Coliform bacteria were also detected in 7 out of 49 cold faucets (14.3%) and 7 out of 49 drain spouts (14.3%), but not detected in purified cold water. All samples were not contaminated with the pathogens tested in this study, except for B. cereus, which was contaminated on 2 out of 49 cold faucets (4.1%) and 4 out of 49 drain spouts (8.2%). All of B. cereus isolates produced enterotoxin, such as heamolysin BL enterotoxin (HBL) or non-heamolytic enterotoxin (NHE). The HBL was detected in 5 out of 6 B. cereus isolates (83.3%), including B. cereus PCF-11 and B. cereus PDS-30 isolate only produced NHE (16.7%).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anitary conditions of cold faucets and drain spouts should be improved promptly.

A Multiplex PCR Assay for the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Enterotoxin-producing and Emetic 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 Lee, Dae-Sung;Kim, Keun-Sung;Kwon, Ki-Sung;Hong, Kwang-W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61-765
    • /
    • 2008
  • Bacillus cereus causes two different types of food poisoning syndromes: diarrhea and emesis. The diarrheal syndrome is attributed to various enterotoxins, including nonhemolytic enterotoxin, hemolytic enterotoxin, and enterotoxin-T, whereas the emetic syndrome is caused by the dodecadepsipeptide toxin cereulide.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was developed to rapidly detect and identify B. cereus strains. Three primer pairs specific to regions within genes encoding nonhemolytic enterotoxin (nheA), molecular chaperonin (groEL), and cereulide synthetase (ces) were used to identify and differentiate between the enterotoxin-producing and emetic toxin-producing B. cereus strains. The cereulide-producing emetic B. cereus showed 3 PCR products of 325, 405, and 685 bp for the groEL, ces, and nheA genes, respectively, whereas the enterotoxin-producing B. cereus showed 2 PCR products without a ces gene specific DNA fragment. Specific amplifications and differentiations by multiplex PCR assay were obtained using 62 B. cereus strains and 13 strains' of other bacterial species. The detection limit of this assay for enterotoxin-producing strain and emetic toxin-producing strain from pure cultures were $2.4{\times}10^1$ and $6.0{\times}10^2\;CFU/tub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multiplex PCR method may be useful for the rapid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B. cereus strains in foods.

초기발달 단계의 생쥐 난소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Genes Expressed in Mouse Ovaries of Early Developmental Stages)

  • 전은현;윤세진;차광렬;김남형;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2호
    • /
    • pp.127-1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 난포 발달 과정 중 원시난포-1차 난포 변화과정 시기에 발현하는 유전자를 알아보고 자 수행하였다. 원시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생쥐의 생후 1일자 난소와 원시난포 및 1차 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5일자 난소의 RNA와 총 80개의 annealing control primer(ACP)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 41개를 찾아내었다. 이들 중 33개는 BLAST에 등록되어 있는 유전자와 일치하였고 4개는 novel sequence였으며 나머지 4개의 유전자는 EST이었다. 실험결과, 1일자 난소에서 더 많이 발현되는 유전자를 9개, 5일자 난소에서 더 많이 발현되는 유전자 31개, 5일자 난소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1개를 얻었다. 1일자 난소에서 높게 발현하는 Anx11과 Pepp2-pending, 반면에 5일자 난소는 Apg3/Autlp-like, BPOZ, Ches1, Kcmf1, NHE3, Nid2, Ninj1, SENP3, Suil-rsl, TIAP/m-survivin등의 유전자를 선택하여 semi-quantitative RT-PCR을 수행하여 이들 중에는 false positive 없음을 확인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을 수행하여 대부분의 유전자가 원시난포의 난자에서 발현하다가 1차 난포 이상의 발달단계에서는 난자 내 발현이 사라지면서 오히려 과립세포에서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을 이용하여 원시난포와 1차 난포를 각각 오려내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실제로 BPOZ와 TIAP/m-survivin의 발현이 1차 난포에서 각각4.5배, 3.4배 높은 것을 다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얻어진 유전자 목록은 앞으로 초기 난포발달, 특히 원시난포-1차 난포 변화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연구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사람 핵DNA로부터 FosB 유전자 프로모터 클로닝 및 활성도 분석 (Cloning and Activity Analysis of the FosB Promoter Region from Human Genomic DNA)

  • 나한흠;강윤성;김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57-863
    • /
    • 2017
  • FosB (FBJ murine osteosarcoma viral oncogene homolog B) 유전자는 사람의 19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43 KD의 단백질을 코딩하며, 발생 및 분화과정, 개체 유지, 발병 진행 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마커 등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FosB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클로닝하여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FosB genomic DNA 서열을 확인한 결과, TSS upstream 방향의 약 1 Kb 안쪽 부위에 FosB 유전자 발현을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고, 따라서 FosB genomic DNA의 upstream -1,555 부위부터 exon 1의 +73까지 부위에 대한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또한 클로닝 성공을 높이기 위하여 일차로 $TA-1^{st}FosBp$ plasmid를 얻은 후, 다시 $TA-1^{st}FosBp$ plasmid를 template로 Kpn1과 Nhe1 제한 효소 절단부위를 프라이머에 삽입한 후 제작하여 2차 PCR을 수행하였으며, $TA-2^{nd}FosBp$ 플라스미드를 제작한 후 제한 효소로 절단하여 pGL3-luc vector로 subcloning하였다. 제작된 pGL3-FosBp-luc를 이용하여 항암제에 대한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A549 사람 폐암세포주에 pGL3-FosBp-luc 플라스미드를 transfection 한 후 luciferase 활성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Luciferase 활성도 증가는 doxorubicin, taxol 등을 처리한 후 단백질 발현 양상과 비교 하였을 때도 일치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FosB프로모터 클로닝은 향후 유전자 발현 연구, 마커분석 등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세뇨관 산증 (Renal Tubular Acidosis)

  • 박혜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20-131
    • /
    • 2010
  • Renal tubular acidosis (RTA) is a metabolic acidosis due to impaired excretion of hydrogen ion, or reabsorption of bicarbonate, or both by the kidney. These renal tubular abnormalities can occur as an inherited disease or can result from other disorders or toxins that affect the renal tubules. Disorders of bicarbonate reclamation by the proximal tubule are classified as proximal RTA, whereas disorders resulting from a primary defect in distal tubular net hydrogen secretion or from a reduced buffer trapping in the tubular lumen are called distal RTA. Hyperkalemic RTA may occur as a result of aldosterone deficiency or tubular insensitivity to its effects. The clinical classification of renal tubular acidosis has been correlated with our current physiological model of how the nephron excretes acid, and this has facilitated genetic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mutations in several genes encoding acid and base ion transporters. Growth retardation is a consistent feature of RTA in infants. Identification and correction of acidosis are important in preventing symptoms and guide approved genetic counseling and testing.

흰쥐 악하선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의한 나트륨 운반체 및 수분 통로 조절 (ALTERED EXPRESSION OF SODIUM TRANSPORTERS AND WATER CHANNELS FOLLOWING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DENERVATION IN RAT SUBMANDIBULAR GLAND)

  • 김기영;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1호
    • /
    • pp.24-30
    • /
    • 2005
  • 타액선에서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이 나트륨 운반체와 수분 통로의 조절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아 보고자 흰쥐 악하선을 지배하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을 절제하고 나서 타액선내 나트륨 운반체와 수분 통로의 발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Na,K-ATPase의 ${\alpha}1,\;{\beta}1$ 소단위는 교감 신경 절제에 의해 크게 영향받지 않았으나 부교감 신경 절제에 의해서는 두 소단위의 발현이 모두 감소되었다. 2. ENaC ${\alpha}-,\;{\beta}-,\;{\gamma}-$ 소단위는 그 발현이 교감 신경 절제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으나 부교감 신경 절제에 의해서 도리어 증가하였다. 3. NHE3는 교감 신경 및 부교감 신경 절제에 의해 모두 크게 감소했다. 4. 교감 신경 절제시 AQP1의 발현이 크게 증가했으나, 부교감 신경 절제시 영향 받지 않았다. 5. 교감 신경 절제 및 부교감 신경 절제는 AQP4 발현을 크게 증가시켰다. 6. AQP5는 교감 신경 절제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부교감 신경 절제시 크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을 요약할 때 악하선을 지배하는 교감 신경 및 부교감 신경은 선의 나트륨 운반체 및 수분 통로 발현에 긴장성 조절을 영위함으로써 타액의 전해질 및 수분 조성을 결정하는 데 공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신경의 절제시 보이는 나트륨 운반체와 수분 통로의 변화는 기능적으로 신경 절제 타액선에서의 타액 분비량과 타액의 무기질 조성 변화의 원인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비백금 연료전지 촉매로서의 Co/PANi/CNT 합성 및 특성 (Synthesis of Co/PANi/CNT for PEMFC Non-precious Metal Catalyst)

  • 이효준;안지은;김현종;한명근;김한성;이헌우
    • 응용화학
    • /
    • 제15권1호
    • /
    • pp.81-84
    • /
    • 2011
  • Platinum catalyst activity and stability is excellent in terms of fuel cells as a catalyst here. Although it is widely used, to compensate for the high price issue non-precious fuel cell catalyst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Co/PANi/CNT composite and non-precious as a 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was applied. Polyaniline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balt and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impact and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improved catalytic performance. Potential range is oxygen reduction reaction 0.55 V to 0.78 V(vs. NHE) after pyrolysis. Through this study, Co /PANi/CNT composites as a potential catalyst for fuel cells were non-precious.

Bacillus cereus에 의한 대규모 집단식중독 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a Large Food Poisoning Outbreak Attributable to Bacillus cereus)

  • 이현아;고영은;이다연;윤경아;김현정;김옥;박준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2-108
    • /
    • 2024
  • 본 연구는 2020년 10월 중 충청남도내 단체 급식소에서 발생한 대규모 집단 식중독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급식원 135명 중 21명(15.6%)에서 음식을 섭취한 후 1시간 이내에 주로 매스꺼움과 구토 증상을 보였다. 유증상자 21명 중 11명과, 조리종사자 1명, 조리기구 2건과 보존식 8건에서 B. cereus가 검출됨에 따라 B. cereus에 의한 집단 식중독으로 판단하였다. 분리된 21개의 균주를 PFGE 분석한 결과, 19개의 균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들 균주가 가지고 있는 독소 유전자는 CER, nheA, entFM이었다. 실험결과, CER을 포함하고, 증상 발현 시간이 1시간 이내로 매우 짧아 B. cereus의 구토형 식중독으로 판단하였다. 집단식중독 원인으로 안전하지 않은 급식환경과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음식에 의한 것이라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체급식에서의 급식환경과 제공되는 음식이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보존식에서 원인 병원체를 찾아내는 것은 식중독의 원인을 추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므로, 집단급식소에서 규정에 맞는 보존식 용기를 이용하여 이를 적정온도에 잘 보관해야한다. 또한 정밀한 식중독 역학조사를 기반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결과를 전파함으로써 유사한 식중독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nuclear Octahedral Fe(III) Complex Containing a Biomimetic Tripodal Ligand, N-(Benzimidazol-2-ylmethyl)iminodiacetic Acid

  • Moon, Do-Hyun;Kim, Jung-hyun;Lah, Myou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0호
    • /
    • pp.1597-1600
    • /
    • 2006
  • The mononuclear iron complex 1, $Fe^{III}$(Hbida)Cl($H_2O$), was synthesized using a tripodal tetradentate ligand, N-(benzimidazol-2-ylmethyl)iminodiacetic acid (H3bida), which has two carboxylate groups, one benzimida- zoyl group, and one tertiary amine where it serves as a tetradentate chelating ligand for the octahedral Fe(III) ion. The four equatorial positions of the octahedral complex are occupied by two monodentate carboxylates, a benzimidazole nitrogen, and an oxygen of a water molecule. One of the axial positions is occupied by an apical nitrogen of the Hbida and the other by a chloride anion. The mononuclear octahedral complex 1 mimics the geometry of the key intermediate structure of the catalytic reaction cycle proposed for the FeSODs, which is a distorted octahedral geometry with three histidyl imidazoles, an aspartyl carboxylate, a superoxide anion, and a water molecule. The redox potential of complex 1, $E_{1/2}$ is -0.11V vs. Ag/AgCl (0.12 V vs. NHE),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those reported for the most FeSODs. The magnetic susceptibility of complex 1 at room temperature is 5.83 $\mu$B which is close to that of the spin only value, 5.92 $\mu$B of high-spin d5 Fe(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