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5초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VIIRS 센서 지표산출물 적용성 분석 (Application of VIIRS land products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 서찬양;남원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1호
    • /
    • pp.729-735
    • /
    • 2023
  • 다중분광센서인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는 지표 및 대기 산출물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MODIS는 발사된지 20년이 지났고, 비슷한 특성의 이를 대체할 만한 자료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발사된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uomi NPP) 위성의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sensor에서 제공하는 지표 산출물 중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와 식생 지수인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s Vegetation Index, NDVI)를 소개하고, 기존의 MODIS에서 제공되는 자료와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해 연구 지역인 남한에서의 지역적인 적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표면 온도와 식생 활력은 농업적인 가뭄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인자로써, 남한의 극심한 가뭄기간인 2014년과 2015년을 대상으로 가뭄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분석하여, VIIRS 산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한반도 지역 산불 발생 위험도 예측에 TVDI 적용 가능성 고찰 (A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VDI on Accessing Wildfire Danger in the Korean Peninsula)

  • 김광년;김승희;원명수;장근창;최원준;이윤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3호
    • /
    • pp.1197-1208
    • /
    • 2019
  • 산림지역에서의 관측은 평지에서의 관측에 비해 지상관측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고, 위성 관측자료는 지상의 지점기반 관측자료에 비해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다. 이러한 이점을 이용하여 위성 관측자료는 산불발생 위험도를 추정하는 연구에 활용되어왔다. 위성 관측자료를 사용하는 여러 산불 관련 지수 중 TVDI(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는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를 기반으로 산불발생 위험도를 평가한다. TVDI가 기상과 식생의 건조도를 모두 고려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선행 연구에 따르면 TVDI는 여러 산불 관련 지수들에 비하여 한반도에서의 산불발생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TVDI의 산불발생 위험도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여러가지 개선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을 적용하여 TVDI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월별로 최대, 최소 온도 회귀선을 구하여 TVDI에 계절효과를 적용하고자 했으며, 각 지역별로 TVDI를 계산하여 식생 유형 및 지역 기후를 고려하였다. 개선된 TVDI는 선정된 산불사례들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산불발생 위험도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차연산과 분광미분을 이용한 항공 초분광영상의 식생지수 산출 적절밴드 선택 (An Adequate Band Selection for Vegetation Index of CASI-1500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Using Image Differencing and Spectral Derivative)

  • 김태우;위광재;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28
    • /
    • 2013
  • 최근 초분광영상의 활용 연구사례와 다양한 분광지수들의 개발과 평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식생원격탐사 분야에서는 식생의 스트레스와 활력에 대한 지표로 식생지수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NIR과 red 파장대의 두 개 혹은 이상의 분광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항공 초분광영상은 좁고 연속적인 수많은 밴드를 가지기 때문에 식생지수를 위한 밴드선택에 혼돈을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식생지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밴드와 항공기를 이용해 취득한 센서의 밴드정보와 동일하지 않다면, 탐지 대상의 광학특성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적절한 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R과 red 파장영역에 속하는 4개의 후보밴드를 선택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계산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MSRI(modified simple ratio index)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식생지수들에 대해서 각 지수들의 변이를 살펴보기 위해 변화탐지 기법의 차연산(image differencing)을 이용하였다. 또한 보다 직접적인 분석을 위해서 분광미분(spectral derivative)을 통하여 임상도로 구분되는 식생의 종류별 분광특성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밴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 후보밴드들 중에서 red #3(680.2nm)와 NIR #2(801.7nm)가 수림에 영향을 적게 받고 밴드의 변동이 적은 적절한 밴드로 선택할 수 있었다.

Potential of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Temporal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n North-East Asia

  • Shin, Soo-Hyun;Ryu, Joung-Mi;Park, Yoon-Il;Lee, Kyu-S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033-1035
    • /
    • 2003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otential of global scale NDVI data archive to monitor regional scale droughts. Ten-days maximum value NDVI composite data of the northeast Asia region were acquired for the growing seasons from 1993 to 2003. Two NDVI-derived drought indices (SVI, VCI), report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a. Although the SVI and VCI are mainly developed for monitoring the drought condition at the agriculture crop and grasslands, it turned out that they were also effective to reveal the drought condition over the temperate mixed forest. The drought symptom lasts at least one or two months even after the normal raining begins.

  • PDF

ITPCA 기반의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을 이용한 산림황폐화 분석 (Deforestation Analysis Using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Based on ITPCA)

  • 최재완;박홍련;박녕희;한수희;송정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3호
    • /
    • pp.1233-1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KOMP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산불에 의한 산림황폐화 발생 지역을 탐지하고자 하였다. 산림황폐화 분석을 위하여 다시기 위성영상에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산불 전후에 대한 다시기 영상으로부터 생성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에 ITPCA(ITerativ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적용하여 산림황폐화에 의하여 발생한 변화지역을 추출하였다. 또한, SRTM(Shuttle Radar Topographic Mission)자료를 이용한 후처리 기법을 통하여 오탐지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KOMPSAT-2, 3 영상을 이용한 실험결과,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산림황폐화 지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ulti-temporal Analysis of Deforestation in Pyeongyang and Hyesan, North Korea

  • Lee, Sunmin;Park, Sung-Hwan;Jung, Hyung-S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
    • /
    • 2016
  • Since forest is an important part of ecological system, the deforestation is one of global substantive issu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limate change is related to the deforestation. The issue is worse in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the forest is one of important natural resources. In the case of North Korea, the deforestation is on the rise from forest reclamation for firewood collection and food production. Moreover, a secondary effect from flood intensifies the damage. Also, the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presents difficulty to have in-situ measurements. It means that the accurate information of North Korea is nearly impossible to obtain. Thus, asses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orest in North Korea by indirect method is requi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forest status of North Korea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from 1980s to 2010s. Since the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is caused by local residents, we selected two study areas of high population density: Pyeongyang and Hyesan. In North Korea, most of clean Landsat images are acquired in fall season. The fall images have an advantage that we can easily distinguish agriculture areas from forest areas, also have an disadvantage that the forests cannot be easily identified because some of trees have turned red. To identify the forests exactly, we proposed a 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mNDVI) value. The deforestation in Pyeongyang and Hyesan was analyzed by using mNDVI. The dimension of forest has decreased approximately 36% in Pyeongyang for 27 years and approximately 25% in Hyesan for 16 ye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est areas in Pyeongyang and Hyesan have been steadily reduced.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산불피해 소나무의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 of Forest Fire-Damaged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using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 배정현;정유경;안수정;강원석;이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87-19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산불피해 소나무의 고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표화 피해 소나무를 대상으로 고사 영향 인자를 조사하고 산불 발생 7년 차까지 고사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사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변수는 dNDVI(delt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NBR(delta Normalized Burn Ratio), 경사, 나무에 남겨진 그을음의 상대적인 면적과 평균적인 높이를 나타내는 수피 그을음 지수(Bark Scorch Index, BSI)와 수피 그을음 높이(Bark Scorch Height, BSH)로 나타난 반면, 음의 관계를 가지는 변수는 고도, 흉고직경, 수관층 수분스트레스 변화를 나타내는 수분스트레스지수(dleta Moisture Stress Index, dMSI)로 나타났다(p<0.001). 콕스 비례위험모형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변수별 비례위험가정검증에서는 사면방향을 제외한 모든 인자가 모형에 적합하며 고사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곡선 분석에서 가장 큰 생존율 차이를 보인 변수는 BSI였으며(p<0.0001), 원격탐사를 통해 얻어진 환경변화 인자들(dNDVI, dNBR, dMSI) 역시 큰 생존율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이러한 결과는 산불 이후 소나무의 잠재적인 고사위험성을 고려한 복원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NOAA/AVHRR 정규식생지수의 시공간 변화도 분석 (Analysis of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NOAA/AVHRR NDVI in Korea)

  • 김광섭;김종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295-303
    • /
    • 2010
  • 식생의 변화는 강수, 기온, 유출 등의 수문기상변수들의 변화와 상당히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식생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곧 기후변화의 지역적 영향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에 대해서 NOAA/AVHRR 정규식생지수(NDVI)의 시공간변화도를 분석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연평균 정규식생지수의 추세분석결과는 대상기간(1982년~2006년)동안 대부분의 유역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선형적인 추세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강유역에서 통계적 신뢰수준 90%의 하향추세가 있었다. 또한 EOF 분석을 이용한 주성분분석결과 북쪽지역으로 갈수록 표고가 높을수록 식생의 변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형변화에 상관성이 높은 연평균 정규식생지수의 공간분포와 달리 위경도 변화에 대응하는 분산분포 변화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로는 6월~9월까지의 정규식생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에서 7월경에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유역별로는 한강유역의 정규식생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제주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tudy of Environment in Waterfront Area by Appling Remote Sensing: A Case Study of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 Choi Ho lung;Ahmed Sarwar Uddin;Gotoh Keinosuk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29-532
    • /
    • 2004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nvironment of waterfronts by applying satellite remote sensing technique. In doing so we have selected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 as a case. As a method of the stud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cover changes are estimated in and around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we have found vegetation's change in the Airport and variation of neighborhood city by building of waterfront.

  • PDF

Estimation of Water Balance based on Satelite Date in the Korean Peninsula

  • Shin, Sha-Chul;Sawamoto masaki, Sawamoto-Masaki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8권
    • /
    • pp.97-110
    • /
    • 1997
  • Quantifying water balance components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basic hydrology and hydrochemistry. An importance of water balace studies has been emphasized from the need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climatic chang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evaluating water balance components based on the vegetation monitor using remote sensing data. Here, the evapotranspiration model adopts a direct method by using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lculated from NOAA/AVHRR data and a detailed descriptionof water balance by using the evapotranspir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tudy, areal distribution data sets of water balance components are produced using NDVI and a simplified water balance model. This method enables one to discuss the hydrological problems for North Korea where insufficient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ata exist.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e specific regional features on water inventory and fluctuation in water bal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