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S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during Production of Baby Leafy Vegetables (어린잎채소 생산 농장의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미생물 오염도 조사)

  • Lee, Eun-Sun;Kwak, Min-Gyu;Kim, Won-Il;An, Hyun Mi;Lee, Hyo-Sup;Ryu, Song-Hee;Kim, Hwang-Yong;Ryu, Jae-Gee;Kim, Se-Ri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4
    • /
    • pp.264-2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tamination sources of baby leafy vegetables by assessing microbial loads on baby leafy vegetables and agricultural inputs contacted with the vegetables. To estimate microbial loads, fecal indicators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were examined. A total of 126 samples including eleven kinds of leafy vegetables, irrigation water, media, and tools were tested, resulting in coliform contamination observed from most of samples. For E. coli, 10.3% (13/126) of the samples were positive including irrigation water, knife, handler, media, tools, and three kinds of leafy vegetables. B. cereus was detected from 38% (48/126) of the samples including media, tools and three kinds of leafy vegetables. No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as detected. This result implies that contacting with agricultural inputs could explain microbial load of baby leafy vegetables.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Crude Starches Prepared from Acorns Harvested in Various Countries (도토리묵 제조용 조전분의 수입 원산지별 호화 특성)

  • Yang, Kee-Heun;You, Bo-Ram;Kim, Hyo-Jin;Lee, Ji-Yeon;Kim, Min-Ji;Kim, Mee-R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9
    • /
    • pp.1279-1284
    • /
    • 2011
  •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crude starches from acorns harvested in various countries (domestic (KAS), Chinese (CAS), and North Korea (NAS)) were analyzed, especially blue value, amylose contents, amylogram, particle size, and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mylose contents of NAS, KAS, and CAS were 33.65%, 32.00%, and 30.48%, respectively, and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in blue value. According to amylogram, initial paste temperature was $72^{\circ}C$ for NAS and CAS and $71^{\circ}C$ for KAS, whereas peak viscosity was 580 BU for KAS and NAS and 570 BU for CAS. The cooling viscosity and setback of NAS and CAS were higher than those of KAS.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23.17 microns for KAS, 23.53 microns for CAS, and 82.14 microns for NAS; particle size ranging from 5~40 microns was highly distributed in KAS (68.9%) and CAS (73.8%), whereas 57.1% distribution was observed for 5~40 microns and 27.2% for >80 microns in NAS. Gelatinization ranges of SEM photography of CAS and NAS showed a more swollen, extremely disintegrated, and folded structure than that of KAS. From these results, gelatinization properties, especially viscosity, setback of amylogram, particle size, and SEM photography, differed according to the country.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Cucumber Germplasm (오이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Ik Jang;Kyung Jun Lee;Do Yoon Hyun;Seungbum Lee;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Gyu-Taek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2-42
    • /
    • 2020
  • 오이(Cucumis sativa L.)는 1년생 초본의 덩굴성 박과 작물로 미숙한 과실을 다양한 식품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오이는 시설재배기술 확립으로 연중 생산과 공급이 가능하나 내병성 품종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오이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를 위한 다양한 오이 자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오이 180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육종 소재로 활용하는데 있어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오이 자원의 원산지는 조지아 98자원, 한국 37자원, 중국 28자원, 우즈베키스탄 17자원이었다. 오이 180자원은 모두 덩굴손을 가졌으며 자웅동주로 조사되었다. 착과습성은 주지형 83자원, 주지 및 측지형 97자원으로 조사되었고 절화당 자화수는 175자원이 2개로 조사되었으며 5자원은 1개로 조사되었다. 과형은 장원형 87자원, 단원형 92자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선단좁은형이 1자원 조사되었다. 과기부형태는 평평한 형태 83자원, 휘어진 형태 94자원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오목한 형태 1자원, 뽀족한 형태 2자원이 조사되었다. 과선단의 형태는 평평한 형태 148자원, 휘어지 형태 32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오이 유전자원의 개화기는 60~80일로 평균 66.1일 이었으며 과실 성숙기는 33~68일로 평균 49.6일이었다. 국가별로 개화기는 62.4일(중국)~68.5일(한국), 과실성숙기는 48.3일(중국,조지아)~54.1일(우즈베키스탄)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오이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오이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내병성, 기능성 분석등의 오이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자원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Eggplant germplasm (가지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Seungbum Lee;Kyung Jun Lee;Gyu-Taek Cho;Ik Jang;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Do Yoon Hy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1-41
    • /
    • 2020
  • 가지(Solanum melongena L..)는 가지과 식물로 인도 동부가 원산지로 추정이 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지는 다른 과채에 비해 비타민 함량은 낮으나 무기질과 폴리페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항균, 항암,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된 가지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가지 자원은 필리핀 78자원, 영국 78자원, 중국 45자원, 한국 12자원 등 16개 국가에서 수집된 459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지 유전자원의 생육 특성은 반직립형 437자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립형 15자원, 수평형 7자원으로 조사되었다. 하배축의 안토시아닌은 301자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줄기 안토시아닌 축적은 258자원에서 조사되었다. 가시의 여부는 줄기에 31자원, 잎에 30자원이 조사되었으며 IT189682는 특이적으로 줄기에서만 가시가 조사되었다. 화색의 경우 흰색 31자원, 자주 207자원, 연자주 217자원, 흰자주 4자원으로 조사되었으며 꽃의 크기는 중간이 340자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큰 꽃 28자원, 작은 꽃 1자원(IT13656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형태는 원형 77자원, 타원형 27자원, 난형 31자원, 서양배형 57자원 곤봉형 88자원, 원통형 84자원, 긴원통형 95자원으로 다양하게 조사되었으며 과실 성숙색은 녹색 94자원, 흰색 16자원, 녹자주 67자원, 백자주 21자원, 자주 240자원, 주황 8자원, 노랑 13자원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길이는 1.4(IT283605) ~ 40.5cm(K003875)로 평균 17.4cm였으며 두께는 0.7(IT283605) ~ 13.7cm(K162043)으로 평균 5.6cm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가지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가지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기능성 물질 분석등의 가지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Perilla frutescens Germplasm (들깨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Do Yoon Hyun;Kyung Jun Lee;Gyu-Taek Cho;Seungbum Lee;Ik Jang;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0-40
    • /
    • 2020
  • 들깨(Perilla frutescens L.)는 꿀풀과 1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 등의 동부 아시아가 원산지로 식용, 약용 및 공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는 우리나라에서 오랜시간 재배해 왔으나 체계적인 연구기간이 짧아, 다른 유료작물에 비해 육성품종이 적고 유전자원의 체계적인 수집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외국에서는 들깨와 근연종을 이용하여 색소 및 정유성분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식용으로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들깨 육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유전자원 확보와 이를 정리 보존하여 우량한 육종재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집한 들깨 44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들깨 자원은 경북 수집 10자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 8자원, 경남 7자원, 강원과 경기에서 각각 6자원, 충남 3자원, 전남과 충북에서 각각 2자원이었다. 화색은 들깨 44자원 모두 흰색이었으며 줄기색은 연녹색이 29자원, 녹색 9자원, 자주색 4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잎의 앞면은 녹색 27자원, 연녹색 10자원, 진녹색 7자원이었으며 뒷면색은 녹색 26자원, 연녹색 18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잎의 모양은 장타원형 21자원, 피침형 15자원, 심장형 7자원이었으며 잎의 모용은 23자원이 적음, 14자원이 보통, 6자원이 많게 조사되었다. 잎의 길이는 35자원이 15.1cm이상으로 조사되었고 잎넓이는 11.1cm이상인 자원이 37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종피색은 갈색이 28자원, 회색이 6자원, 암갈색이 3자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들깨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들깨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기능성 물질 분석등의 들깨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Backup Software for SAN with NDMP (SAN환경에서 NDMP를 이용한 백업소프트웨어)

  • 복경수;황홍연;송석일;유재수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9 no.4
    • /
    • pp.455-469
    • /
    • 2003
  • Recently, as new technologies such as SAN and NAS come into wide use to deal with a large amount of data, an efficient backup software for SAN and NAS is very requir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backup software for SAN that fully supports NDMP. The NUMP is an open standard protocol for network-based backup. The proposed backup software has various unique features such as SAN based tan free backup, automatic and manual backup, on-line backup by using snap shot, file-system, raw-device, database backup and so on. The proposed backup software also can be configured as a backup center that uses SAN as a backup media.

Comparison Study of the Use of Absorbable Materials as Internal Splints with Airway Silicone Splint and Absorbable Materials as Internal Splints Alone

  • Ji, So Young;Kim, Seung Soo;Park, Ki Sung;Baik, Bong Soo
    •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 /
    • v.17 no.4
    • /
    • pp.202-205
    • /
    • 2016
  • Background: Packing after closed reduction of nasal fracture causes uncomfortable nasal obstruction in patients. We packed the superior meatus with synthetic polyurethane foam (SPF) to support the nasal bone, and packed the middle nasal meatus with a nasal airway splint (NAS) and SPF. The aim of this article is prospectively to compare the subjective patient discomfort of SPF (Nasopore Forte plus) packing alone and SPF with NAS. Methods: We compared the prospectively subjective patient discomfort of SPF packing alone (group A) and SPF with NAS (group B) via visual analog scale (VAS; 0, no symptom; 100, most severe symptom). Results: At first postoperative day group B showed significant lower scores in dry mouth, sleep disturbance, conversation difficulty. However at third postoperative day, VAS scores of each group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reover at fifth postoperative day group 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for nasal pain, dry mouth than the group B. Conclusion: Combination method of using NAS and SPF have some advantage on the patient comfort from first postoperative day to third postoperativ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