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스크린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Obstructive factors and N-Screen Service Technologies for Transmitting a Risk Information (재해정보 전송의 장애요인 및 N-스크린 서비스 기술)

  • Kim, Kyungjun;Jang, D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315-317
    • /
    • 2015
  • N-스크린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에서 끊김 없는 콘텐츠 서비스를 받거나 특정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외 재해정보 전송분야에 N-스크린 서비스는 다양한 기능 제공과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고려없이 적용되어, 신뢰성 있고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정보 확산을 위한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의 기술적인 이슈들과 기존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인 장애요인 및 재해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적인 이슈들에 대해서 다루면서, 이를 개선하기위해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와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Screen Based Movie Reservation System in the jQuery Mobile Environment (제이쿼리 모바일 환경에서 N-스크린 기반의 영화 예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Mye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5
    • /
    • pp.255-261
    • /
    • 2014
  •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methods to design and implement a jQuery mobile based system in a future mobile webapp environment through a study on an N-Screen application in a mobile webapp. N-Scree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ervices of cloud computing. It is promoted by the need of users to require universal functions for all devices. However, this situation is in conflict with the users' need to have the same experience and N-Screen cannot deal with these disparate servic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system analysis, structure of design, and a framework by implementing the N-Screen based movie reservation system in the jQuery mobile environment.

Operation strategy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on channel image and N-screen service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 이미지와 N-스크린 서비스 운영 전략)

  • Kim, Hyeong-Jun;Ha, Kyu 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43-55
    • /
    • 2013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on strategy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on channel image and N-screen service. Nowadays,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provides video streaming service based on internet. In other words,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provides N-screen service through TV-PC-Smart phone-Tablet PC. But it is different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to analysis the choice criterion of program. Only, channel imag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expanded into N-screen. Finally, channel imag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is the competition strategy. It is necessary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to prepare the strategy of program choice for users, original contents, new platform and service in connection with N-screen.

Multicast Transmission Scheme in Wireless USB-based N-screen MAC with Contents Security Guarantee (콘텐츠 보안성을 갖는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캐스트 전송기법 설계)

  • Hur, Kyeong;Lee, Joo-Yeol;Lee, Hye-Min;Lee,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110-111
    • /
    • 2016
  • 디바이스 간 저장콘텐츠에 대해 ASMD (Adaptive Source Multi Device) 무선 N-스크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보안성을 갖는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캐스트 전송기법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ASMD N-스크린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iMedia Distributed-MAC 기반의 Wireless USB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ASMD N-스크린 통신을 위해,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캐스트 전송 기술을 제안하였다.

Multimedia Transmission Scheme in Wireless USB-based N-screen MAC with Contents Security Guarantee (콘텐츠 보안성을 갖는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기법 설계)

  • Hur, Kyeong;Lee, Joo-Yeol;Lee, Hye-Min;Lee,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112-113
    • /
    • 2016
  • 디바이스 간 저장콘텐츠에 대해 ASMD (Adaptive Source Multi Device) 무선 N-스크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보안성을 갖는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기법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ASMD N-스크린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iMedia Distributed-MAC 기반의 Wireless USB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ASMD N-스크린 통신을 위해, 무선 USB 기반 N-스크린 MAC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제안하였다.

Development of In-Streem Video Advertising System for N-Screen (N-스크린 동영상 광고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

  • Choi, Yunjin;Kim, Gunhee;Lee, Beom-Goo;Jung, Byunghee;Park, Jung-Soo;Lee,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193-195
    • /
    • 2013
  • N-스크린 환경에서 방송사들을 포함한 사업자들은 온라인을 통해TV 프로그램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사업자들은 N-스크린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데, 모바일 이용이 활성화 되면서 N-스크린 광고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기존의 이미지, 베너 형태의 광고 보다 동영상 광고방식이 유리하여 이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N-스크린 환경에서 다양한 화면 사이즈를 가진 기기에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고 소재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온라인 광고 제공에 관여하는 광고주, 광고 대행사, 플랫폼 사, 매체 사 간에 협업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N-스크린 환경에서 동영상 광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N Screen Service Users' Motivations for Use and Dissatisfying Factors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Lim, Sohei;Lee, Yeo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99-108
    • /
    • 2013
  •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N-screen users' motivational and dissatisfying factors in relation to their willingness for continued future use of the servi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N=558) to reveal five major factors for N-screen use: Medium usability (interface usability and daily usefulness), Socialness (potential for social use with family and friends), Mobility (use without restraints of time and space), Contents (diversity of contents catalogue and related information search), and Habitual use. With exception of Contents factor, four of those factors were proven to be meaningful predictors of the users' willingness for continued future use of N-screen service. Meanwhile, two 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major source for N-screen users' dissatisfaction: Customer service (dissatisfaction associated with the service itself) and Contents (dissatisfaction relating to contents use). The effect of those two dissatisfaction factors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Contents dis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Customer service dissatisfaction, was a more powerful predictor for discontinuing of N-screen service use.

ITU-T N-스크린 서비스 표준화 동향

  • Yun, Ja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40-48
    • /
    • 2013
  • 본고에서는 ITU-T SG13에서 진행중인 N-스크린 서비스 표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N-스크린은 연결성, 이동성, 통합성의 세가지 특성을 갖는 미디어 이용과 콘텐츠 소비환경을 말한다. N-스크린 서비스는 OSMU (One Source Multi Use), Handover, Collaboration의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OSMU는 동일한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형태이며, Handover는 한 단말에서 보던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이어보는 서비스 형태이고, Collaboration은 서로 다른 단말상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가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A study on code decomposition method for multi-screen control and multi-screen based service application (N-스크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코드 분할 방식의 스크린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Jong-Youl;Bae, Yu-Seok;Oh, B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433-435
    • /
    • 2012
  • N-스크린 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를 다양한 스크린에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기술로 하나의 서비스 및 콘텐츠를 여러 개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3-스크린 서비스와는 차별화된다. 가정 내의 모든 단말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지금의 현실에서 다양한 기기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연계 기술에 대한 기술 요구는 당연한 현상이다. UI/UX 관점에서 자연스러운 입/출력과 더불어 제어 프로그램의 단순화는 서비스 적용과 많은 응용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꼭 필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크린간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크린을 가지는 단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것과 같이 동작하기 위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분할하고 이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 한다.

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Architecture for N-Screen Services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세션 제어 및 관리 구조)

  • Kim, Jae-Woo;Ullah, Farman;Sarwar, Ghulam;Lee, Hyun-Woo;Lee, Sung-Cha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2
    • /
    • pp.15-23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architecture for N-Screen services, which enable users to change devices and transfer contents among user's devices during service by session transfer and split. In N-Screen services, users may have multiple devices with different attribute such as screen resolution, CPU capability and access network interfaces. Also, since users may change devices during service, or one user may use multiple stream, N-Screen services need to enable the user to share and transfer contents across N-Screen devices. We introduce the management and control servers to provide session split over user multiple devices and session continuity while changing device. Furthermore, the proposed architecture provides the device capabilities aware session continuity.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e minimizes the session transfer delay and content server processing load. We present results that show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proposed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