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손실

검색결과 737건 처리시간 0.035초

건설산업안전진단결과분석

  • 박무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80
    • /
    • 1986
  • 85년도 국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된 산업재해는 노동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재해자 수는 38,086명 (사망 440명포함)이었고 손실액은 1,964 억원으로서 G. N. P 의 0.27%에 달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한 건설업체 경영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으며 업종별로도 광업 다음으로 재해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인적 손실 및 재해자 증가는 큰 사회 문제로 대두 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독립 기념관화재사고는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이 극히 취약함을 단적으로 나타내어 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겠다.

  • PDF

유동해석을 사용한 공조기 입구형상의 최적설계 (Optimal inlet shape design of air handling unit using CFD)

  • 최영석;이용갑;주종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08-1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전산유체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저소음ㆍ고효율 공조기의 입구형상에 대한 유동해석을 하였다. 공조기 입구형상을 결정하는 여러 설계변수가 입구와 출구의 유동조건과 유로의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입구와 출구유동의 균일성과 압력손실의 최소화를 만족하는 최적의 설계 변수를 결정하여 공조기의 최적설계를 달성하였다.

신호분리를 위한 Diplexer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plexer filter for seperating signals)

  • 성정현;김성균;김상혁;김호섭;박준석;안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한 Diplexer를 제작하였다. 저역 통과 여파기와 고역 통과 여파기의 특성을 정합하여 Diplexer로 구현함으로써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신호의 분리와 합성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마이크로스트립구조의 Diplexer를 제작, 측정한 결과 각각의 통과 대역폭 내에서 0.4dB, 0.8dB이내의 삽입손실과 -20dB의 반사손실이 됨을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고 또한, 인덕터의 구현 방법을 마이크로스트립으로 하여 주파수 특성과 재현성을 높였다.

그룹 분할 알고리듬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스위치 (Multicast Switch using Group Splitting Algorithm)

  • 최오훈;박혜숙;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232-234
    • /
    • 2001
  • 본 논문은 초고속통신망에서 멀티캐스트 교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문제와 블로킹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높은 산출량과 낮은 셀 손실을 가지는 복사망(copy network)에 관하여 언급한다. 제안된 복사망은 셀 분할(cell splitting)과 공유된 버퍼, 그리고 그룹분할 스위치로 구성되어지며, 기존의 반얀 계열의 네트워크 보다 높은 산출량과 낮은 셀 손실률로 인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무선망에서 스트리밍 시스템을 위한 트래픽 분석 (Traffic Analysis for Streaming System on Wireless Network)

  • 조국향;정진환;한상범;유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304-306
    • /
    • 2001
  • 오늘날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날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무선망에서 미디어 스트리밍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런데 무선망은 낮은 대역폭과 높은 전송 에러율로 인하여 유선망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로 스트리밍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망에서의 스트리밍 특성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수행된 실험은 CDMA 2000 무선 인턴넷 환경을 배경으로 하며, 패킷 전송 시간(round trip time:RTT)과 패킷 손실 양상을 관찰하고 이에 따라 무선망에서 적합한 패킷 손실 복구나 버퍼링 기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세미(洗米)에 의한 미곡(米穀)의 영양손실(營養損失)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 of Washing on the Loss of Nutrients in Rice)

  • 최홍식;유정희;조재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0-174
    • /
    • 1977
  • 세미(洗米)로 인한 미곡(米穀)의 주요(主要) 영양성분 손실을 품종별(品種別) 도정도별(搗精度別)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세미(洗米)에 의한 각영양소 평균손실율의 범위는 총고형분 $1{\sim}2%$, 단백질 $5{\sim}7%$, 칼슘 $18{\sim}26%$, 철분 $19{\sim}47%$, $vitamin\;B_1\;22{\sim}40%$, $B_2\;11{\sim}24%$ 그리고 niacin이 $36{\sim}45%$이었다. 2) 일반미인 아끼바레(Japonica type)보다 통일미(Indica type)에서 vitamin 성분을 제외한 총고형분, 단백질, 칼슘 및 철분의 손실율은 더 높았다. 3) 백미(白米)의 도정도가 높을수록 총고형분, 가용성무질소물 및 vitamin의 손실율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단백질, 칼슘 및 철분들의 손실율은 도정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나, 손실되는 절대량은 도정도가 낮은 5분도미에서 더 많았다. 4) 세미(洗米)중 구성 amino acid의 손실율은 Iysine이 가장 높았고, 다음 histidine, glycine 및 alanine등이었다.

  • PDF

고전압 전기용량 브리지 평가 기술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High Voltage Capacitance Bridge)

  • 김윤형;한상길;정재갑;한상옥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59_20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표준 용량기와 표준 저항을 이용하여 전기용량 브리지의 손실계수와 커패시턴스 비를 측정하여 전기용량 브리지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하면 기존의 해외 인증기관에서 성능평가를 의뢰했을 때 소요되는 교정기간을 단축하고, 교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장비를 해외 인증기관에 교정 의뢰할 경우 그 기간 동안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측정 범위는 손실계수의 경우 $1{\times}10^{-6}{\sim}7.5{\times}10^{-3}$의 범위까지 광범위하게 측정하였고, 커패시턴스 비는 $C_N{\times}0.1{\sim}C_N{\times}10^3$�劉沮�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제조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기용량 브리지의 성능을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반도체 레이저 측면 여기 Nd:YAG 매질에서의 열복굴절 효과 (Thermal Birefringence Effect on Laser-Diode Side-Pumped Nd:YAG Laser)

  • 양동옥;김병태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4-315
    • /
    • 2000
  • 레이저 매질은 흡수된 여기 파워에 의해 매질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고, 매질 표면을 따라 냉각이 진행되어 매질 내부에서는 불균일한 온도분포가 발생하게 된다.$^{[1,2]}$ 레이저 매질의 굴절율은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열복굴절과 열렌즈 현상이 일어나 레이저 출력의 손실 및 빔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1,3]}$ 선형 편광 광선을 이용하는 고체 레이저는 레이저 매질을 브루스터각으로 가공하거나 공진기 내부쉐 브루스터판을 삽입한다. 따라서, 선형 편광 광선은 열복굴절에 의한 위상 지연으로 타원 편광이 되고, 타원 편광 광선의 s-성분은 브루스터판에서 반사를 일으키게 되어 레이저 출력의 손실을 일으키게 되므로 레이저 공진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량적인 열영향의 해석이 필요하다$^{[1,2,5]}$ 열영향에 의한 위상 지연은 방위각 방향과 반지름 방향으로 각각 $\Delta$ $n_{\Phi}$, $\Delta$ $n_{r}$ 만큼 생긴 굴절율의 차이로 발생하고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 (중략)이 표현할 수 있다.$^{[1]}$ (중략)

  • PDF

비축대칭 대류열손실 경계조건하에서 원관내 복사에 관여하는 매질의 층류 열적 발달의 수치해석 (Analysis on the thermal development of radiatively participating pipe flow with nonaxisymmetric convective heat loss)

  • 김택영;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11호
    • /
    • pp.2995-3002
    • /
    • 1995
  • The cooling problem of the hot internal pipe flow has been investigated. Simultaneous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were considered with azimuthally varying convective heat loss at the pipe wall. A complex, nonlinear integro-differential radiative transfer equation was solved by the discrete ordinates method (or called S$_{N}$ method). The energy equation was solved by control volume based finite difference technique. A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conduction-to-radiation parameter, optical thickness, and scattering albedo. The results have shown that initially the radiatively active medium could be more efficiently cooled down compared with the cases otherwise. But even for the case with dominant radiation, as the medium temperature was lowered, the contribution of conduction became to exceed that of radiation.n.

해양부이 자료를 이용한 황해 남동부 해역 표층 열속 산출 (Calculation of Surface Heat Flux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Using Ocean Buoy Data)

  • 김선복;장경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169-179
    • /
    • 2014
  • 황해 남동부 해역에 설치한 해양부이(YSROB)에서 약 27개월간 관측된 장파, 단파 복사량을 포함한 대기, 해양 변수와 COARE 3.0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월평균 해양-대기간 열속을 산출하고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YSROB 위치에서 열속은 순 단파복사(Qi)에 의해 해양은 대기로부터 열을 얻고 순 장파복사($Q_b$), 현열($Q_h$), 잠열($Q_e$)에 의해서 열손실이 일어난다. 전체 열손실 중 $Q_e$에 의한 손실이 51%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Q_b$$Q_h$에 의한 손실은 각각 34%, 15% 이다. 순열속($Q_n$)은 $Q_i$가 최대인 5월에 최대($191.4W/m^2$)이며 모든 열속 성분이 최소인 12월에 최소($-264.9W/m^2$)이다. 연평균 $Q_n$$1.9W/m^2$ 이지만 관측기기의 정확도에 의한 오차산정 결과(최대 ${\pm}19.7W/m^2$)를 고려하면 무시할 정도로 작다. YSROB과 동일한 위치에서의 기존 월별 열속 산출 결과는 YSROB에서 실측값에 기반한 열속에 비해 여름철 $Q_i$가 약 $10{\sim}40W/m^2$ 과소 평가된 반면에 겨울철에는 $Q_e$$Q_h$에 의한 열 손실이 각각 약 $50W/m^2$, $30{\sim}70W/m^2$ 과다하게 산출되었다. 이로 인하여 해양이 열을 얻는 4월~8월에는 기존 연구에서의 열 획득량이 본 연구 결과보다 적게 나타나며, 해양이 열을 잃는 겨울철에는 기존 연구에서의 해양으로부터의 열 손실이 본 연구 결과에 비해 크게 나타난다. 특히, 12월과 1월의 $Q_n$ 차이는 약 $70{\sim}130W/m^2$에 달한다. 장기적인 재분석장(MERRA)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와 같은 월평균 열속의 차이는 연변동 등 시간 변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열속 산출 시 사용된 자료의 부정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기존의 기후적인 열속을 연구에 활용하거나 수치모델에 사용함에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