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Elucidation of Bacterial Pneumonia-Causing Pathogens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Viral Infection

  • Jung, Hwa Sik;Kang, Byung Ju;Ra, Seung Won;Seo, Kwang Won;Jegal, Yangjin;Jun, Jae-Bum;Jung, Jiwon;Jeong, Joseph;Jeon, Hee-Jeong;Ahn, Jae-Sung;Lee, Taehoon;Ahn, Jong J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4호
    • /
    • pp.358-367
    • /
    • 2017
  • Background: Bacterial pneumonia occurring after respiratory viral infection is common. However, the predominant bacterial species causing pneumonia secondary to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other than influenza remain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 pathogens causing post-viral bacterial pneumonia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piratory viru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298 patients, who underwent multiplex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respiratory viruses, amo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r outpatient clinic with respiratory symptoms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13 and March 2016.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 total of 251 clinically significant bacteria were identified in 233 patients with post-viral bacterial pneumonia.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frequent bacterium in patients aged <16 years, regardless of the preceding virus type (p=0.630). In patients aged ${\geq}16years$, the isolated bacteria varied according to the preceding virus type.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p<0.001): pneumonia in patients with influenza virus (type A/B), rhinovirus, and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s was caused by similar bacteria, a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taphylococcus aureus pneumonia was very common in these patients. In contrast, coronavirus, parainfluenza virus,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s were associated with pneumonia ca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Conclusion: The pathogens causing post-viral bacterial pneumonia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preceding respiratory virus. This information could help in selecting empirical antibiotics in patients with post-viral pneumonia.

3차 병원에 입원한 한국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에서 미국흉부학회 추천 항생제의 유용성 (Efficacy of the Antibiotics Chosen by ATS Guideli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dmitted to a Tertiary Hospital)

  • 오성용;박상준;강경우;고영민;서지영;정만표;김호중;최동철;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460-470
    • /
    • 1999
  • 연구배경 :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치료는 질환의 중증도로 인해 원인균주의 증명없이 바로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하는데, 미국흉부학회에서는 초기 경험적 항생제에 관한 지침을 1993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미국과 의료제도, 원인균, 항생제 내성 면에서 다르므로 미국흉부학회 지침이 한국의 지역사회획득 폐렴환자에서도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 : 1997년 4월 부터 1998년 3월 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지역사회획득 폐렴으로 진단된 64명올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은 항생제 초가선택에 따라 1) ATS군 ; ATS의 지침에 맞게 초기 항생제를 사용한 군, 2) Non-ATS overuse군 ; ATS의 지침보다 과하게 항생제를 사용한 군, 3) Non-ATS underuse군 ; ATS 지침보다 불충분한 항생제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고 각 군간의 치료 반응, 실패 원인, 그리고 원인균올 조사하였다. 결 과 : ATS군 36명중 33명, Non-ATS overuse군 10명 중 9명, Non-ATS underuse군 18명중 14명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고 각 군간 치료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원인균은 S. pneumoniae (12.5%), K. pneumoniae (9.4%), P. aeruginosa (4.7%), Mycoplasma (3.1%)의 순으로 나타났고 중증폐렴의 경우 Pseudomonas가 원인균인 경우는 1 례에 불과했고 Legionella 폐렴은 없었다. 결 론 : 미국흉부학회의 치료지침에 따른 항생제 선택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획득폐렴의 치료에서 높은 효과를 보여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중증폐렴에서의 원인균주와 초기 항생제 선택에 있어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오인되어 Levofloxacin 투여 후 호전되어 진단이 지연된 속립성 결핵 1예 (A Case of Miliary Tuberculosis Misdiagnosed as Pneumonia and ARDS Due to the Transient Improvement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Levofloxacin)

  • 이고은;조영준;조현민;손지웅;최유진;나문준;권선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236-240
    • /
    • 2009
  • 저자들은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57세 여자로 발열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ARDS를 동반한 중증폐렴으로 오인되어 Levofloxacin 투여로 호흡곤란의 일시적인 호전 및 방사선적 소견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퇴원 후 발열과 발한으로 시행한 HRCT 및 개흉 폐생검을 통해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되어 항결핵제 치료를 시행한 후 증상과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였다. 폐렴의 치료 시 사용되는 fluoroquinolone제제의 결핵균에 대한 효과로 인해 결핵진단의 지연을 가져올 수 있어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과 같이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속립성 결핵의 진단 시 주의를 기울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