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bacterium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5초

흉막삼출액에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Pleural Effus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김호중;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09-518
    • /
    • 1993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 삼출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흉막 삼출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조직학적 진단 방법을 포함한 기존의 진단 방법으로도 약 70%에서만 확진이 가능하다. 특히 고연령층이나 면역이 억제된 환자등에서 기존의 진단 방법으로 진단되지 않고, 여러가지 시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흉막 삼출의 경우에는 임상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며, 보다 예민한 진단 방법의 개발을 위해 여러 분야의 노력이 있어 왔다. PCR은 어느 특정한 DNA를 연속적으로 복제할 수 있어 검체내에 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는 병원체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며,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도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PCR을 이용한 결핵성 흉막염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배양된 결핵균주및 비결핵성 Mycobacterium 균주를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흉막 삼출 환자 53명이었다. 이중 결핵성 흉막염이 확진된 환자가 20명, 결핵성 흉막 삼출이 배제된 환자가 20명,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후 호전된 환자가 10명이었고, 항결핵제제 투여후에도 호전되지 않았으며 반복적인 진단 과정에서 결핵이 배제된 환자가 3명이었다. 대상 환자는 흉막 생검및 흉수의 ADA 활성도를 포함한 기존의 진단 방법과 PCR을 시행하였다. PCR의 target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특이성을 갖으며 한 개체내에 여러번 반복하여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DNA인, IS6110 gene의 일부인 123 base pair DNA로 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의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1) 배양한 결핵균 및 비결핵성 Mycobacterium을 이용한 PCR의 강수성은 DNA 1 fg까지였고,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Mycobacterium bovis에만 특이적이었다. 2) 확진된 흉막액을 이용한 PCR의 감수성은 80.0%(16/20)였고, 특이성은 95.0%(19/20)였다. 3)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후 호전된 환자중 60.0%에서 PCR 양성을 나타내었다. 4)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환자중 호전되지 않고 추후 결핵이 배제된 환자 3명 모두에서 PCR 음성을 나타내었다. 5) 흉막액의 ADA 활성도는 확진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군과 임상적으로 결핵이 의심되어 항결핵제 투여후 호전된 군이 여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CR 결과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PCR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매우 예민하고 특이적이었으며, ADA와의 좋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PCR을 이용한 진단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임상 객담검체에서 Peptide Nucleic Acid Probe를 이용한 결핵과 비결핵 항산균의 구분 (Evaluation of Peptide Nucleic Acid Probe-Base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in Clinical Respiratory Specimens)

  • 이승희;김신영;김형회;이은엽;장철훈
    •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 /
    • 제18권2호
    • /
    • pp.37-43
    • /
    • 2015
  • 배경: 결핵은 전세계적으로 단일 원인균으로는 가장 높은 치사율을 가진 질병이다. 결핵의 치료에 있어서 마이코박테리아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객담 검체의 도말 슬라이드에서 결핵균과 비결핵 항산균의 감별을 위해 Peptide Nucleic Acid (PNA) Probe를 이용한 FISH assay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결핵균과 비결핵 항산균의 16s rRNA를 타겟으로 한 PNA probe를 합성하였다. 각 probe의 특이도는 표준 균주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 ATCC 13950, M. kansasii ATCC 12479,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마이코박테리아 3종(M. abscessus, M. avium, and M. intracellulare) 그리고 호흡기계에서 흔히 분리되는 10종류의 박테리아를 이용하였다.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Acid fast bacili (AFB) 염색 기준상 trace 이상인 128개의 임상 객담 검체를 이용하여 Probe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PNA FISH와 항산균 염색결과는 CDC 기준에 따라 단계를 분류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결핵균과 비결핵 항산균 특이 PNA probe는 결핵균과 M. kansasii 표준 균주 그리고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3종의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해 특이적인 반응을 보였고 다른 박테리아와 교차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89개의 결핵균 배양 양성 객담 검체와 29개의 비결핵 항산균 배양 양성 객담 검체에 각각 특이적인 반응을 보였고 CDC 기준에 따라 분류한 PNA FISH와 AFB염색 결과는 2+ 이상의 검체에서 서로 잘 일치하였다. 결론: PNA FISH 방법은 임상 객담 검체에서 결핵을 진단하고, 항산균과 비결핵 항산균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민감하고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결핵균 Adenylate Kinase 돌연변이 유전자와 Human Muscle-type Adenylate Kinase 합성 유전자를 형질전환한 BCG의 성장속도 변화 유무 조사 (Investigation of the Growth Rate Change in Recombinant BCG which was clon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Adenylate Kinase Mutation Gene or Human Muscle-type Adenylate Kinase Synthetic Gene)

  • 이승헌;김효준;박영길;배길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187-193
    • /
    • 2006
  • 배 경 : 결핵균의 성장 속도가 늦은 이유가 mammalian cell이나 대장균에 비해 결핵균 AK의 매우 낮은 활성도에 의한 것이라는 추측으로부터 AK1과 유사한 촉매능을 나타내는 AKmt 돌연변이 유전자와 human muscle-type AK 합성 유전자(AK1)를 각각 Mycobacterium/E.coli 발현벡터에 재조합(pMVAKmtDM, pEMAK1)하여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린 BCG에 형질전환함으로써 이들 단백질들의 촉매능에 의한 성장 속도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Human AK1의 촉매 활성도와 유사하도록 결핵균 AK (AKmt)유전자의 ATPbd와 LID domain을 돌연변이하여 제조한 유전자(AKmtDM)와 human muscle-type adenylate kinase 합성 유전자(AK1)를 Mycobacterium/E.coli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BCG를 제조하였고, 이들 재조합 BCG와 BCG Pasteur $1173P_2$ (wild-type)를 7H9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2-3 일 간격으로 $A_{600}$ 값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재조합 BCG의 성장 속도는 Wild-type BCG의 성장 속도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결핵균 adenylate kinase의 정확한 기능은 알 수 없으나, adenylate kinase의 촉매 활성도의 증가는 BCG의 성장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the Selected 12-locus MIRU for Genotyping Beijing Family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Korea

  • Kang, Heeyoon;Ryoo, Sungweon;Park, Youngkil;Lew, Wooj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499-505
    • /
    • 2009
  • Background: Mycobacterial Interspersed Repetitive Units (MIRUs) that are located mainly in intergenic regions dispersed throughout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genome. The selected MIRU loci, which were composed of a 12-locus set, demonstrated a high power for discrimin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of Korea. To evaluate its ability to discriminate the M. tuberculosis strains, 45 clinical isolates were genotyped using the methods IS6110 RFLP and MIRU. Methods: All the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7 from TB patients, who were residents and registered to a public health center of Kangwon Province in Korea. A total of 45 DNAs were extracted from clinical isolated mycobacterial strains and genotyped using IS6110 RFLP, the MIRU method. Results: We compared the 12-MIRU with IS6110 RFLP in the 45 samples, the 12-locus version offered less discriminatory power (Hunter-Gaston discriminatory index [HGDI]: 0.959 vs 0.998; 57.78% of clustered cases vs 8.89%). Conclusion: This 12-locus MIRU can be useful when additional combinations of other loci for genotyping M. tuberculosis in Korea where the Beijing family strains are dominant.

면역 적격자에서 급성 폐렴으로 발현된 폐실질 및 기관지를 침범한 Mycobacterium avim 감염 1예 (A Case of Pulmonary and Endobronchial Mycobacterium avium Infection Presenting as an Acute Pneumonia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 이유진;김동현;윤경화;김미영;정승욱;이병기;김연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4호
    • /
    • pp.279-283
    • /
    • 2010
  • The global number of Mycobacterium avium complex (MAC) pulmonary infection is increasing. Patients with preexisting lung disease or who are immunodeficient are at the greatest risk for developing MAC infection. Endobronchial lesions with MAC infection are rare in the immunocompetent host. However,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reports of an immunocompetent host being afflicted with various manifestations of MAC infection.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and endobronchial MAC infection presenting as an acute pneumonia in a 59-year-old female without preexisting lung disease or immunodeficiency.

Mutation in the rpoB Gene of Mycobacterium leprae from Korean Laprosy Patients

  • Kim, Soon-Ok;chae, Gue-Tae;Shin, Hang-Kye;Kim, Nan-Hee;Lee, In-Hyung;Suh, Jo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87-293
    • /
    • 2001
  • A fast and easy PCR-SSCP method was developed and assess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rifampin-resistant Mycobacterium leprae in skin biopsy samples from Korean leprosy patients. The 190 bp of the rpoB gene, in which mutation is known to cause resistance to rifampin, was amplified by PCR and then analyzed by SSCP and DNA sequencing, All PCR products showing mobility shift on PCR-SSCP contained mutations, demonstrating that this method can be used for an early diagnositic method to detect a putative rifampin-resistant M. leprae strain. D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19 of 34 patient samples contained M. leprae strains with missense mutations in the rpoB gene: five were the same mutations previously reported to cause rifampin resistance and eight were the new type of mutatios that likely cause rifampin resistance. These newly identified dmutations, whose all five cytosine bases of four amino acids were substitued with thymine, were found at different sites from those reported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or M. leprae. Therefore, they may provide additional clues to understand the molecular biological basis on the rifampin resistance of M. leprae.

  • PDF

퇴비로부터 분리한 종속영양 질화세균의 동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heterotrophic nitrifying bacteria isolated from composting soil)

  • 김영준;이건영;김진용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121-127
    • /
    • 2005
  • 퇴비로부터 종속영양 질산화과정에 관여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고 동정하였다. 본 세균은 그람 양성 간균으로 운동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ammonium acetate 배지에서 아질산용액으로 실험한 결과, 세균의 군락이 자주색으로 변화됨으로써 암모니아로부터 아질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의 동정을 위한 BBL Test의 결과 본 세균은 Bacillus strains과 78%의 유사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위하여 세균의 염색체로부터 16S rDNA를 클로닝한 후 DNA 염기서열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및 분석한 결과 본 세균은 Bacteria; Actinobacteria; Actinobacteridae; Actinomycetales; Corynebacterineae; Mycobacteriaceae; Mycobacterium에 속하는 Mycobacterium smegmatis strain과 94%의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Pleurisy Identified on Liquid Cultures of the Pleural Fluid and Pleural Biopsy

  • Lim, Jong Gu;O, Sei Won;Lee, Ki Dong;Suk, Dong Keun;Jung, Tae Young;Shim, Tae Sun;Chon, Gyu Ra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3호
    • /
    • pp.124-128
    • /
    • 2013
  • Pleural effusion is a rare complication in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 We report a case of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pleuritis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n a 69-year-old man presenting with dyspnea. Pleural effusion revealed lymphocyte dominant exudate. M. intracellulare was identifie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and liquid cultures of pleural effusion and pleural biopsy. After combination therapy for M. intracellulare pulmonary disease, the patient was clinically well at a 1-month follow-up.

Development of PCR-microplate Hybridization Assay for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 Lee, In-Soo;Cho, Een-Jin;Cho, Sang-Nae;Kim, Tae-Ue;Lee, Hye-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5-300
    • /
    • 2009
  • Tuberculosis caus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still remains to be the most dreadful infectious disease affecting almost every country.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 simple and rapid but accurate and sensitive assay method for detecting MTB using microplate hybridization assay. For this, a selective region of the rpoB gene was used to design PCR primers, and MTB and Mycobacterium genus-specific probe molecules. The specificity of the assay was confirmed using fifteen different mycobacterial reference strains and twelve different non-mycobacterial reference strains, and the sensitivity was determined to be 100 fg using genomic DNA of MTB reference strain, H37Rv. Subsequently, a total of 62 sputum samples with diverse smear scores and culture positive results were used to evaluate the kit performance. In brief, the specificity and the sensitivity of the assay were 100% and 98.4%,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