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therapy assessmen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조현병 환자 대상 음악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Music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

  • 김영실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37-60
    • /
    • 2015
  • 본 연구는 조현병환자 대상 음악중재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2000년 이후 연구를 대상으로 9개의 학술검색엔진에서 조현병과 음악중재 관련 주제어를 조합, 검색하여 272개를 우선 선택하였고, 제목 및 초록의 내용 확인 후 전문 확인의 과정을 거쳐 15개의 논문을 선택하였다. 조현병 음악치료에 대한 기존의 고찰연구에서 15개에 포함되지 않은 3개의 논문을 추가하여 전체 18개의 분석대상 논문을 최종 결정하였다. 연구의 일반적인 내용에 대해 1차 분석을 하고, 음악중재 중심으로 2차 분석을 하였다. 임상연구의 질 평가 체크리스트인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연구들의 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음악중재의 질이 더 높은 연구일지라도 무선 표집, 참여자들에 대한 검맹 여부를 명시하고 있지 않은 연구들은 중재의 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연구들에 비해 연구의 질이 저평가되었다. 음악중재자의 자격요건을 명시한 8개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음악창작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참여자-음악-치료사의 상호적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재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수퍼비전 시스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조현병 환자대상 음악중재 효과연구를 위해 검맹, 무선 표집을 연구과정에 도입할 것과 동시에 음악활동 제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근거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성인정신지체인의 감정 표현 향상을 위한 음악 활용의 효과 (The effect of musical application to develop the emotional expression of mentally retarded adults)

  • 진선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17-33
    • /
    • 2005
  • 음악은 가장 오래되고 자연스러운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인간의 역사 속에서 현재까지 내려와 인간과 관계 맺고 있다. 이는 음악이 개인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면서도 그 내용에 대해 직접적인 판단을 받지 않은 음악이라는 매체의 특성 때문인데, 이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유롭고 비위협적인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악의 특성들은 사회적 위축감과 무기력감으로 인해 수동적이거나 공격적인 부적절한 감정 표현의 양상을 보이는 정신지체인들에게 긍정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에게 기존의 감정 표현 훈련에 음악을 활용할 경우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의 자기 감정 표현 및 사회생활기술에 음악이 긍정적인 영향성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 위함이다. 각 3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 표현 평정 척도 및 사회 생활 기술 척도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감정 표현 훈련보다 음악을 활용한 감정 표현 훈련이 성인정신지체인들의 말할 때의 내용표현, 음성 표현, 신체 및 비언어적 표현력을 모두 포함한 자기 감정 표현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반적인 정신지체인들의 사회생활기술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전반적인 사회생활기술의 향상과 자기 감정 표현의 불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음악을 활용한 감정 표현 훈련이 정신지체를 가진 성인들의 효과적인 감정 표현 훈련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관련 주요 요인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김해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Methods : 720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Smartphone addiction was measured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SAS-SV),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xiety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anxiety scale (SAS),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depression scale (SDS). In addition, the age of each individual and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p<.05), while male students mainly played games and female students mainly used multimedia (video/music) viewing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p<.05). In addition, male students showed a high associ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the group where games were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anxiety symptoms (p<.05), but for female students, multimedia (video/music) Or, the group in which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p<.05).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customized solu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s.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autogenic training, and music-assisted autogenic training on the quality of life, relaxation responses, and daily living of migraine patients

  • Lee, Suyeon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67-8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autogenic training, and music-assisted autogenic training on the quality of lif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responses, and daily living in a population of migraine patients. Forty migraine patients, ranging 20 to 60 years, were referred to the researcher by their physicians and participated in the study. A convenience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music listening (ML), autogenic training (AT), music-assisted autogenic training (MAT), or a control group participants, with n = 10 participants per group.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four 30-minute sessions with an assigned treatment, once a week during a 4-week experiment period.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continued their regular medical treatment as prescribed by the doctor without receiving any other relaxation treatment. However, they were still aware of the research and 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 study. The Migraine Assessment (MIDAS) and Migraine-Specific Quality of Life (MSQOL) questionnaire were used to investigate a migraine patients' quality of lif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4-week experiment for all subject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responses of migraine patients were measured by relaxation levels and forehead temperature record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session for the participants in three treatment conditions. The effect of the relaxation treatments on daily living of migraine patients wa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migraine headaches, and the amount of medication taken for migraine headaches during the 4-week experiment as recorded in participants' diary for all participants. The result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re- to posttest on the MIDAS, MSQOL, and relaxation levels while no significant was found among the groups. The analysis of forehead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re- to posttest and among the groups. A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frequency, intensity, and amount of medication taken for migraine headaches during the 4-week experiment period. While results yield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data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three treatment groups reported fewer migraine headaches, lower degrees of headache intensity, and less medication taken for migraine headaches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A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music listening itself as a relaxation treatment, or as an adjunct to other relaxation techniques can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igraine headaches.

  • PDF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을 위한 작업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방요순;주은솔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5-11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patients implemented over the last decade at home and abroad to utilize the findings as the basis for intervention protocol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3 to May 2023. Acute or subacute, CVA or strok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rogram or therapy were used as search keywords in the search databases Scopus, PubMed, Riss, and DBpia. A total of 3,723 documents were retrieved, and 1,007 duplicate papers were excluded. In addition, 2,640 papers that did not me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by the researcher exami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Thereafter, the full texts were checked. Consequently, 67 documents were excluded, and nine document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Results : Due to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documents of nine studies, five items were rated "low," and two items were rated "unclear" in many studies. Males predominated the genders, and infarction predominated the types. The average age was over 50 but under 60 years, and the number of days after onset was predominantly fewer than one month.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mental programs, mirror therapy, music programs, and virtual reality programs, and virtual reality programs were frequently used. The intervention periods were predominantly 15-30 sessions for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Fugl-Meyer assessment-upper extremity was predominantly applied as an evaluation tool.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protocol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n expanded scope for a literature review.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정재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39-49
    • /
    • 2022
  • 본 연구는 국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3개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출간된 문헌을 분석하였다. 총 1,455편의 문헌이 검색되어 총 11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는 Risk of bias(RoB)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상 평가도구는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분석된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요가, 심리사회적 중재, 인지훈련, 건강교육,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 유산소/심폐물리치료, 미술치료, 음악회상 활동, 기억특이성 훈련, 인지자극, 수면교육이 적용되었다. 그 중 요가,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이 우울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에 대한 중재계획 및 실행에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Place of Complementary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Children

  • Konac, Ozgur Taskiran;Baldemir, Ercan;Inanc, Betul Battaloglu;Kara, Bilge;Topal, Yasar;Topal, Hatice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 vision for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aimed at generating interest in ideas such as "Sanitas Per Aquam" (SPA), massage and music therapy, which has begun to have widespread use and to attract atten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utist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February to April 2015 in $Mu{\breve{g}}la$, Turkey. The study was began by interviewing experts in the field and by developing a suitable assessment questionnaire. In order to direct the flow of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autisitc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face to face interviews in a form that had been determined by using reports in the literature and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Results: Forty two boys (84%) and eight girls (16%) with autism participated in our study. Children in the 0 - 7 age group spent long time in the bathroom (P = 0.001). Boys liked to be hugged more than girls (P = 0.01). Children ages 0 - 7 years liked bright lighting while those 15 years of age and older liked gloomy lighting (P = 0.009). Except for thes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 and age-related differences, no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arameters of this study. Although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hildren with mild autism disorder obeyed commands like inhale or exhale (P = 0.051). Conclusion: Treatment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not yet fully possible, so many studies are being done to alleviate some symptom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As a result of our study, whether touching the areas the children want touched and listening to their favorite music are required to stimulate the brain remain as questions in our minds.

리듬 산출 검사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 개발 (Development of Beat Processing Device for Rhythm Production Assessment)

  • 정현주;문주형;한은영;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15-22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 산출 시 수행 정확도를 정밀하게 수집,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이하 BPD)'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단계의 개발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 노인 인지 기능 훈련을 위해 사용된 리듬꼴들을 수집, 비교, 분석함으로써, 리듬 산출 과제 구성에 필요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을 확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확정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이 탑재된 iOS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테스트를 통해 디바이스 종류, 사용할 악기 음색, 구현할 실험 종류 등을 최적화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본 기기와 미디(MIDI)로 수집한 리듬 산출 데이터를 비교하여, BPD의 실효성과 타당성, 정밀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BPD는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리듬 수행력 증진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중재에 대한 효과 연구: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Stress Interven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A meta-analysis)

  • 배연희;이고운;염혜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61-3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메타분석하여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중재 방법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대상연구는 총 10편으로 MINORS를 사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omprehen sive Meta Analysis Version 3.0 및 Review manager version 5.3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 점수는 21.2점이었으며, 중재프로그램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는 -.72, 생리적 스트레스 중 코티졸의 효과크기는 -.52로 보통의 효과를 보였다. 하위그룹 분석에서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투석 중 중재, 개인중재, 1회당 60분 이상의 중재, 총 10~20회기 중재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효과적인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국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정재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91-102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5개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발표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총 1,104편의 연구가 검색되어 총 27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는 Risk of bias(RoB)를 사용하였다. 인지기능 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인지기능 중재는 운동치료, 미술치료, 인지자극, 회상치료, 음악치료, 복합인지재활, 가상현실, 원예치료, 컴퓨터기반 인지훈련, 의도적 다감각자극, 미용치료, 요리활동, 한국적 익숙함이 적용되었다. 운동치료 2편, 가상현실 1편, 미용치료 1편을 제외하고 모든 연구에서 인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연구방법의 질적 향상으로 체계적이고 치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중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