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of China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7초

현대 도예 예술 전시 공간 디자인의 특성 연구: 경덕진 도자기 대학교 미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Exhibition Space design: Taking the Jingdezhen Ceramic University Art Museum as an Example)

  • 청동;양건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41-54
    • /
    • 2024
  • 현대 도예 예술은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도자기 전시 방법이 요구되는데 전시 공간의 디자인과 전시 방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관객들에게 현대 도예작품의 시각 경험과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전시공간 디자인에서의 일차적인 주요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예 예술 전시 공간 디자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현대 도예작품 전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대 도예 작품에서 최고의 전시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한다. 첫째, 선행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경덕진 도자기 대학교 미술관에서 개최한 <도자기의 정신> 2021 경덕진 국제 도예 예술 비엔날레 현장과 전시자료, 그리고 전시공간자료 등과 관련하여 현장답사를 진행한 후, 인간공학 관점에서 공간의 전체적인 배치와 전시공간의 형태 등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경덕진 도자기 대학교 미술관의 전시공간의 전체적인 배치의 과학적 통일성과 전시공간의 형태적 디자인의 유연성과 지속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이론 지식은 현대 도예 예술 전시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이론 지침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중요한 실천적 가치를 가진다. 실내 공공 공간 디자인 실천을 위한 지침 제공은 중요한 실용적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중국 및 세계 현대 도예 예술 전시공간 디자인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화유옹주묘 출토 녹유리장경각병-보존과 분석 (Scientific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Octagonal Green Glass Bottle Excavated from Tomb Hwayu princess)

  • 강형태;양필승;허우영;조남철
    • 고문화
    • /
    • 제70호
    • /
    • pp.5-15
    • /
    • 2007
  • 경기도 부천시 중구 일대 묘 이장 작업을 하던 중 화유옹주묘에서 녹유리장경각병을 발견하였다. 이 유리병은 진한 녹색을 띠는 팔각의 유리병으로서 굽바닥에 "건륭년제" 라고 음각되어 있어 제작 연대는 AD1736년-1795년 범위이다. 이 유리병의 보존처리를 위하여 X-선촬영, 접착제 및 복원제 테스트를 거쳐 접합 및 복원을 실시하였다. 유리병의 보존처리를 위해 반투명성, 충분한 접착 강도 및 가역성을 갖춘 접착제(Loctite 401)를 선정하였으며 복원제는 기존에 남아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여 복원하였다. 또한 유리 미세 단편을 사용하여 성분조성 및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유리병의 주요 산화물을 살펴보면 $SiO_2$ 68.0 %, $K_2O$ 18.5 %, PbO,5.65%로서 녹유리장경각병은 $K_2O$-PbO-$SiO_2$ 계통의 유리이며 녹색은 $Fe_2O_3$ 3% 및 CUO 2%에 의한것이었다. 유리병을 제작할 때 규사의 원료는 석영(Quartz)을, 칼리($K_2O$)는 천연 초석(Natural saltpeter; $KNO_3$)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납 원료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산출되는 납광석을 입수하여 유리제작시에 첨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과학 분석 결과는 향후 고대 유리 문화의 배경과 유통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분석자료를 기초한 고대 납유리와 녹유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e Study of Ancient Northeast Asian Lead Glass and Green Glaze Based on Analysis Results)

  • 이지희;김현정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99-1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고대에 제작되었던 납유리와 녹유의 납동위원소비와 화학조성의 분석자료를 기초하여 산지를 추정하고 그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백제의 익산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와 녹유의 납동위원소비를 비교한 결과, 추정산지는 한국 남부 경기육괴 서부(zone4)로 같은 지역에서 납을 채취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사찰에서 출토된 녹유와전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동북아시아에서 그 산지를 짐작하기 어려웠다. 7세기경 백제와 신라, 중국, 일본에서 출토된 납유리의 주성분은 PbO, SiO2, Al2O3, CuO, Fe2O3이며, 비율은 PbO 70wt.%, SiO2 30wt.%으로 확인된다. 통일신라 사찰에서 출토된 녹유와전은 PbO 64~90wt.%로 납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능형전>은 주성분이 PbO, SiO2, Al2O3, CuO이며 납유리와 조성성분이 유사하다. 일본의 『조불소장물장(造佛所作物帳, AD733년)』에 대한 유약 재현실험 결과, 중국과 일본 가마터 출토품의 PbO 값이 일정하게 확인되었다. 이는 당시 동북아시아에서 제작기술의 공유가 있었음을 시사해 준다.

신안해저 인양 침몰선의 복원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Shinan Shipwreck)

  • 김용한
    • 보존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0
    • /
    • 1995
  •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nstructional point of Shinan ship-wreck that was excavated between $1976\~1984$. The wreck, which might be sunk in the beginning of the 14th century, is regarded as a vessel of Yuan dynasty, China.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som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rincipal dimensions for restoration. The Shinan shipwreck'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Shinan shipwreck is formed V-shaped cross section with bar keel, 2) The vessel is divided 8 holds by 7 bulkheads. 3) The ship has flat type stem and transome stern. 4) A rabbeted clinker -built is basically adopted on planking joint. 5) A wooden sheathing, which means a sort of protecting board against marine insects, is covered outside of the main hull, 6) For making an watertight structure, oakum and lime mixtured t'ung-oil are used along the seam of planking and bulkhead. 7) A V-shaped deep water-way exists at both deck side. 8) The shipwreck is believed to have 2 masts at least. 9) The shiptimbers are classified as Chinese Red Pine(Pinus Massonina) which is mainly grown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Considering 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hinan ship-wreck could be classified as Chinese Fu-chuan type(복선형) of sea-going ship. The Shinan ship's principal dimensions which a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shipbuilding custom, are as follow, Length overall(L.O.A). : 34.80m Length water line(L.W.L) : 24.90m Breadth(B.max.) : 11m Breadth(B) : 10m Depth at keel line(H) : 3.75m Draft(D). : 3.15m Freeboard(F) : 0.65m Ratio, length/breadth(L/B). : 2.26 Ration, breadth/depth(B/D) : 3.5 Height of stem : 7m Height of stern : 10m Displacement : ab.340ton.

  • PDF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모사첩 연구 (A Study of the Calligraphy Album Containing Copies of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and "Record of the Production of Mugujeong Pagoda by the Order of King Munseong" Donated by the Estate of Lee Kun-Hee)

  • 이재호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234-257
    • /
    • 2024
  • 2021년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귀)》(건희10703, 이하 '이건희 기증 모사첩')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 김정희 제지, 오세창 배관기를 엮은 총62면의 호접장 서첩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 서첩은 1934년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청구학총』 15호에 소개한 자료와 동일하며, 1824년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안에서 출토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를 경황지(硬黃紙)에 정교하게 탑모(搨模)한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1998년 전 성암고서박물관장 조병순이 공개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원본 사경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재확인했고, 박철상 소장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사경을 탑모한 또 하나의 모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고찰했다. '이건희 기증 모사첩'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측천문자가 6종 15회 사용되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 불국사 소장)에 4종 10회 사용된 측천문자는 '이건희 기증 모사첩'에도 동일하게 사용되었고, 기타 이체자도 공통되므로 두 경전은 8세기 신라에서 통용되었던 동일한 판본을 저본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김정희는 금석학으로 한국과 중국의 서예 교류를 고증했는데,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는 구양순체 이전의 고아한 서법을 보여주는 실물 자료라고 평가했다. 그러므로 '이건희 기증 모사첩'은 김정희가 보기 드문 통일신라 사경과 탑원기 진본을 고증한 사례로 그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크다.

Study of Color Configuration of Dunhuang(敦煌)Grottoes(石窟) Murals(壁画) in Tang Dynasty under Traditional Chinese "Five Colors" View of Color System

  • Chun Wang;Albert Young C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72-181
    • /
    • 2023
  • Dunhuang murals ar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art of traditional grotto painting in China, and are known as a "Wall Museum". As a representative of the heyday of Dunhuang murals, an in-depth exploration of Dunhuang mural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will help researchers understand the laws and connotations of color in Dunhuang murals during the Tang Dynasty and fully grasp the art of Dunhuang murals. The color system of the traditional Chinese "Five colors" concept expresses the cultural attributes and emotions of the Chinese people and has distinctive national characteristics. This thesis provides a theoretical grasp of the traditional Chinese "Five colors" view of color system, the Dunhuang murals of the Tang Dynasty, and the color configuration of the color composition principles, and uses the modern design principles of color composition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unhuang murals' use of color. Explo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ang Dynasty Dunhuang murals, and help modern designers master richer color application techniques by learning from and studying the harmonious patterns of Dunhuang murals to provide a new path for the dissemination of excellent Chinese traditional culture.

북방계복식(北方系服飾)에의 관심(關心)과 복식사교육(服飾史敎育) - 체미(滯美) 1년(年)의 보고(報告)를 겸(兼)하여 - (History of Costume" in Education)

  • 이경자
    • 복식
    • /
    • 제5권
    • /
    • pp.237-246
    • /
    • 1981
  • This is a report of author's stay in the U.S. as an exchange scholar. During her stay from Dec. 1979 to Dec. 1980, she participated in costume studies at Pratt Institute, New York City and looked into materials of North Asian historical costumes. The author notes that the curriculum of costume studies in the U.S. place weight upon costume history, e.g., the master's program in costume studies of New York University requires 18 points in history courses out of 54 points required for the degree. The author also notes the leading role of the Costume Institut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in performing research works for the studies. As to the study of North Asian costumes, the author's work in the U.S. has been somewhat disappointing. She points out difficulties for a Korean researcher to access to basic materials which are scarce outside of China and Russia. She asserts, however, the comprehension of the history of North Asian costumes as a whole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n costumes. The author insists the costume history courses in Korean colleges are not appropriate as a apart of costume studies. Noting the costume education in the U.S. clearly aims at the training of costume professions, the author proposes the objective of costume education in Korea be redefined, and the teaching of "History of Korean Costumes" be reconstituted as to be suitable for it.

  • PDF

건축 표절 논의를 위한 미학의 차용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bility of Aesthetics of Appropriation for the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 김영선;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11-22
    • /
    • 2020
  • It is the juristocracy in architecture to judge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by copyright law.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should judge by architectural criticism. From the point of the criticism to discuss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on artistic imitation should be preceding. The current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doesn't consider artistic imit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only focused on whether the building is plagiarizing or not. From the point of architectural criticism, there should be three considerations, which are creation, imitation, and plagiarism. In the study of Aesthetics, it theorized artistic imitation as the appropri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ppropriation, contemporary art is developing the discourse on plagiarism beyond the boundary of plagiarism fundament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appropriation to the discussion of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introduces the discourse on architectural plagiarism rather than judging it with copyright law. There 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esthetics standard of appropriation art, then apply it to the architecture cases. The architecture cases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glasshouse by Philip Johnson,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by Howard Raggatt, and the Meiquan 22nd Century in China. At the point of the appropriation theory, the glasshouse is the only architectural appropriation, and others need to appl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lagiarism.

포항 호미곶등대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omigot Lighthouse(Cape Clonard) in Pohang)

  • 김종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3호
    • /
    • pp.63-76
    • /
    • 2023
  • Homogot Lighthouse is located in Pohang of the easternmost of Korean Peninsula. Homogot has become first known as Cape Clonard in the West through the navigation log by La Perouse, a Frenchman who embarked on a global exploration in 1785. Homogot Lighthouse represents an outstanding accomplishment of modernization that numerous civilized countries scrambled to attain in the early 20th century. Located where the geographical risk of earthquakes is high, the structure was nonetheless built to be 26.4m high with brick masonry. Structurally safe and aesthetically graceful, it demonstrates neoclassical ideas superbly in terms of style as well. Although the history of Asian lighthouses is shorter than that of European ones. Homogot Lighthouse, which demonstrates the history of a modern lighthouse along with those in Japan and China, is differentiat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① The 'living lighthouse heritage' is linked to one of the largest lighthouse museum in the world. ② Where you can see the earliest sunrise at the easternmost of the Eurasian Continent. ③ The completion of a modern-style lighthouse constructed at the easternmost of the Far East after being initiated in Europe. ④ Differentiated historical,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⑤ The heart of the national marine park.

Stephania subpeltata H. S. Lo: 베트남 미기록종 (Stephania subpeltata H. S. Lo (Menispermaceae): A new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 ;;;;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8-294
    • /
    • 2016
  • Stephania subpeltata (방기과)의 베트남 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형태적으로 S. japonica와 유사하지만 엽신이 방패모양에 가까운 난상삼각상 또는 넓은 삼각상이며, 엽병이 조금 더 짧고, 잎맥의 수가 적으며, 작은 화경에 산형모양의 취산화서가 달리지만 드물게는 복취산화서를 가지며, 꽃이 자색이고 내과피에 돌출된 열의 수가 적어 뚜렷하게 구별된다. 본 종의 분류학적 기재, 상세 분포 및 생태학적 정보와 함께 베트남에 분포하는 함박이속(Stephania) 식물의 종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