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culoskeletal Cell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3초

사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Extremities)

  • 최일용;김태승;조원민;최충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8-104
    • /
    • 1995
  • 장기간 피부에 존재하는 궤양성 반흔이나, 만성골 수염의 누루 등에서 편평상피 세포암이 잘 발생하며 이들은 동통이 더욱 심해지거나 종괴의 크기가 갑자기 증가할때 그리고 분비물(discharge)이 늘어 날때는 악성 변화를 의심하여야 하며 조기에 생검을 하여 진단 후 적절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은 국소 림프절로의 전이가 빈발하므로 Grade II와 III에서는 예방적으로 국소 림프절에 방사선 조사(irradiation)를 고려해야 된다.

  • PDF

수부 근위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 1례 보고-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Phalanx of the Hand - A case report -)

  • 박용구;임성직;김윤화;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4
    • /
    • 2000
  • 수부 및 족부의 작은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부위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장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보다 재발율이 높다. 또한 수부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내연골증, 동맥류성골낭종, 거대세포수복성육아종 등과 감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좌측 수부에 부종과 동통을 동반하는 거대세포종을 경험하여 소파술과 골 이식을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단핵구가 주로 분포되어 있는 부위에 많은 수의 거대세포가 미만성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이차적으로 동맥류성 골낭종과 출혈이 동반되었다.

  • PDF

슬부에 발생한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Soft Tissue Giant Cell Tumor of Low Malignant Potential - Case Report -)

  • 이은우;강기서;강수용;이한준;김종원;이기현;박영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1-104
    • /
    • 2003
  • Folope 등(1999년)은 악성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과 임상적, 병리학적,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유사하나, 악성도가 낮은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을 보고하였다. 본 교실에서 치료한 1례는 30세 여자 환자로 내원 1년전부터 우측 슬관절 전외측부에 만져지는 종물과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절제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 소견상 거대 세포와 함께 호산성 세포질과 소포성의 핵을 지닌 다형성의 기질 세포 병변은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에 합당하였고, 이에 저자들은 낮은 악성도의 연부조직 거대 세포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관절 후방 십자 인대에서 기원한 건막 거대 세포종: 1예 보고 (A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Arising from Posterior Cruciate Ligament of Knee Joint: A Case Report)

  • 김홍균;최창현;정국진;이영민;신미경;황지효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5-88
    • /
    • 2014
  • 국소형 거대 세포종은 주로 지 관절의 활액막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슬관절 내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리학적으로 다핵의 거대 세포를 특징적으로 가지는 질환으로 완전 절제 시 재발율은 낮다. 슬관절 내에 발생하는 경우 무증상에서 간헐적 잠김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관절경적으로 완전 절제가 가능하나 불완전 절제 시 45%까지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후방 십자 인대의 전연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1예를 관절경 하에서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골육종에서 CTGF의 발현과 발암기전에서의 역할 (The Role of CTGF in Osteosarcoma Progression)

  • 한일규;이미라;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4
  • 목적: 골육종에서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에서 수립한 23개의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siRNA를 이용하여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세포침습과 세포 증식에서 CTGF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결과: 17명(74%)의 세포주에서 control 세포인 정상 골모세포보다 CT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CTGF의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관찰하기 위해 불멸화된 골육종 세포주 SaOS-2와 MG63에서 siRNA로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siRNA를 transfection한 세포에서 유의하게 세포침습이 억제되고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이 높았고 세포침습,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바 CTGF가 골육종의 발암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초에 생긴 거대세포종에 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Results of Giant Cell Tumor in Tendon Sheath)

  • 임홍철;전승주;문준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0-64
    • /
    • 1996
  •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s a slow-growing, unilateral and solitary lesion that is most commonly seen in the digits of the hand and knee, but occasionally occurs in the hips, ankles, toes and wrists. The lesion is asymptomatic or mildly painful, especially if it is diffuse and located in a major joint. The concepts concerning about the pathogenesis of these lesion have undergone constant revision, which include neoplastic process, 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Authors analysized 20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about the etiology, clinical findings, pathologic findings and treatmen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13 cases were females (65%) and 7 cases were males (35%), and the range of age was from 9 years old to 60 years old. 2. The hand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site in which 14 cases (70%) were included, and the foot was involved in 5 cases (25%). 3. Solitary lesions were 15 cases and multiple lesions were 5 cases. 4. Radiographically, in 3 cases bony erosion was seen. 5. All cases were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and presented no recurrence. In conclusion, the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benign tumorous conditions appeared to be necessary for complete surgical excision to prevent recurrence.

  • PDF

거대세포종의 보조 요법으로의 전기소작술 (Electrocautery as Adjuvant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 한정수;김세동;박성혁;김정래;신덕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6
  • 목적: 거대세포종의 치료에서 보조요법으로 전기소작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추시하여 종양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4년까지 두 곳의 대학병원에서 치료한 94례의 거대세포종 중 보조요법으로 전기소작술을 시행하였던 4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방법은 종양부위의 피질골에 창을 충분한 크기로 내고, 큐렛과 speed bur를 이용한 철저한 소파술 후 Bovie로 전기 소작술을 시행하였고, 추시 환자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들을 조사하여 임상적 및 종양학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44개월의 추시 기간 중 국소재발은 8례(17%)에서 있었고, 폐전이는 1례에서 발견 되었다. Bovie를 이용한 전기소작술로 인한 합병증 또한 1례(화농성 슬관절염)에서 있었다. 결론: Bovie를 이용한 전기소작술은 거대세포종의 수술 중 사용하는 다른 보조요법에 비하여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재발율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지 않다는 점에서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다발성 골 침습과 병적 골절을 동반한 단일조직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증례 보고 (Single System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with Multifocal Bone Lesions and Pathologic Fracture: A Case Report)

  • 허재승;김홍식;박용욱;표주연;이영호;박예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8-82
    • /
    • 2013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은 단핵구계에 속하는 정상 조직구들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다양한 임상 경과와 치료결과를 보이는 질환 군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척추에 침범하는 경우에는 단발 혹은 다발성의 골 용해를 특징으로 한다. 병변의 침범 부위, 진행 정도 및 동반 증상에 따라 단순 경과 관찰에서부터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및 수술적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치료법들이 적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확립된 치료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경추와 요추를 동시에 침범하면서 척추 내 골수 파괴 소견과 병적 골절을 동반한 단일조직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에 대해 수술적 치료 및 전신화학요법을 시행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경골 간부에 발생한 투명세포연골육종: 증례 보고 (Clear Cell Chondrosarcoma of the Tibia Diaphysis: A Case Report)

  • 강창민;한정수;정광영;정호연;김영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3
    • /
    • 2014
  • 투명세포연골육종은 매우 드문 골종양으로 장골의 골단이나 골간단에 발생한다. 많은 연구에서 대퇴골의 근위부를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로 보고하였고, 상완골의 근위부가 그 다음으로많이 보고되었다. 조직학적으로 이 종류의 종양 세포들은 투명한 세포질과 뚜렷한 세포질막과 함께 중심성으로 위치하는 둥근 핵소체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세포연골육종은 고식적인 연골육종과 혼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방사선학적으로 장골의 간부에 발생한 경우 진단이 어려우며, 이전 문헌을 통하여 단 3례만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42세 남자 환자의 경골 간부에서 발생된 투명세포연골육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경추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 Tumor of the Cervical Spine - Case Report -)

  • 안기찬;정경칠;김윤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62
    • /
    • 2006
  •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고도의 악성도로 인해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높은 재발율과 함께 척수의 기계적 압박 가능성으로 인해 방사선 치료가 근간이었으나, 최근에는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기구를 이용한 전후방 고정술을 시행 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 하고있다. 본 정형외과학교실에서는 경부 동통을 유발하며 제3경추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에 대해서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후방 기기술을 통한 융합을 시행 하였으며, 추시 관찰상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