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culista senhousi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embryos and spat of the mussel, Musculista senhousia

  • Liang, Zhuo Liang;Kim, Young-Hun;Zhang, Zhi Fang;Lim, Sang-Min;Kang, Kyoung-H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9-187
    • /
    • 2009
  •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spat survival of mussel Musculista senhousia were investigated. Embryos were incubated in water ranging from 0 to $35^{\circ}C$ and with salinity from 5‰ to 40‰. Mussel spat were tested in water from 0 to $40^{\circ}C$ and with salinity from 0‰ to 100‰. The optimal conditions for mussel embryos were $20-25^{\circ}C$ and salinity from 25‰ to 35‰, based on Within this temperature range, higher temperatures correponded to a shorter duration of the embryonic period. Optimisation of mussel spat survival was at $25-35^{\circ}C$ and salinity from 30‰ to 40‰; both values are higher than those for embryo, which hinted M. senhousia embryos are more vulnerable than spat. Temperatures below $15^{\circ}C$ were lethal for embryos, making temperature a feasible method with which to control the large population of M. senhousia in ark-shell farm during its spawning period.

  • PDF

가로림만 저서동물군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ENTHIC FAUNA ON GAROLIM BAY,KOREA)

  • 이재학;홍재상;이순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1983
  • 가로림만의 조하대 저서 동물 군집에 관하여 1980년 2월부터 1981년6월 까지 dredged의해 격월로 채칩된 결과를 분석하였다.조사기간중 채집된 종수는 340종이었는데 이중 우점조은 거미불가사리류의 Ophiactis modesta로서 매우 심한 밀집 현상을 나타내면서 전체개체수의 12.3%를 차지하였다.또ㅎ나 이들 분포종 중에서 Ophiactis modesta 와 Musculista senhousia(종밋)과 같은 부유물 섭이자ㅏ들이 많이 서식되고 있었다.대체로 가로림만은 양적으로 풍부한 생물상 과 그리고 다양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런 현상은 복잡하고 다양한 저질분포 특성에 기인된다고 보여진다.정점간의 종유사도에 의한 분석결과 만의 지형과 지질의 입도 조성이 저서 동물의 분포에 크게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만과 만 바깥쪽의 두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 PDF

한국 해산 기회성 연체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Opportunistic Molluscan Species in Korean Waters)

  • 서진영;이준상;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13
  • 본 연구는 해양환경이 크게 교란을 받고 있는 4개 저서환경을 선택하여 연체동물 중 어떠한 종이 기회종의 특성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기회종의 특성을 보인 5종의 이매패류에 대한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매패류인 애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대양조개(Macoma incongrua), 종밋(Musculista senhousia) 등이 빈 산소 현상을 보이는 반폐쇄성 연안역이나 유기물 축적이 많은 퇴적물을 가진 항만해역에서 우점하여 서식하고 있었으며, 소형 개체인 말발굽조개 (Thyasira tokunagai)와 쇄개량조개 (Raetellops pulchella)는 외해역의 폐기물 해양투기장에서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무안만 초입 인근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at the Mudflat in the Mouth of Muan Bay)

  • 최보현;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82
    • /
    • 2017
  • 대형저서동물은 갯벌에서 우점을 차지하고 있으며, 저서환경을 유지하고 환경을 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퇴적환경에서 유기물 함량은 저서동물의 서식, 먹이행동, 생존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초입의 목포연안 인근갯벌(목포지역과 압해지역)에서 유기물 함량과 저서동물 분포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목포지역은 압해지역에 비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무안만 초입 인근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는 퇴적층 유기물 함량과 유의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두 지역으로 나누어졌다.

목포 인근 해역 펄 조간대의 저서동물 군집 (Macrozoobenthic Community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 임현식;박경양;임병선;이점숙;주수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55-365
    • /
    • 1997
  •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from September 1995 to May 1996. Ten sampling stations were chosen along the 1km transect with a 100 m intervals. Triple macrozoobenthos sampling were conducted with a stainless box core sampler (size $13{\times}22{\times}30$ cm) at each station on the seasonal basis. A total of 119 species of macrobenthos was sampled with a mean density 2,357 $ind./m^2$ and biomass of 180. 94 $g/m^2$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se species, there were 51 species of mollusce (43%), 36 of crustaceans (30%), 27 of polychaetes (23%). Molluscs were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1,804 $ind./m^2$, comprising of 75%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enthic animals.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347 $ind./m^2$ (15% of the total density). Molluscs wer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147.51 $g/m^2$ (82% of the total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showed increasing trends toward the lower intertidal stations from the higher stations. Major dominant species were Musculista senhousia (bivalve), Capitellidae spp. (polychaetes) with a density of 1,640 $ind./m^2$ and 179 $ind./m^2$ , respectively. The density of M. senhousia was more than 63% of the total density of benthic organism on the tidal area. Small gastropod Cerithideopsilla umumriensis was another dominant epifaunal species between st.1 and 2 with a mean density of 100 $ind./m^2$.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that is,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by the exposure duration.

  • PDF

목포 주변 해역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밋

  • 임현식;박경양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1-130
    • /
    • 1998
  •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growth of the mud mussel, Musculista senhousia, were carried out in the mud-tidal flat near Mokpo from August 1996 to July 1997. The patch distribution of the mussel was observed in the middle part of the tidalflat during the study period. Annual mean density was 8,215${\pm}$1,394 ind./m2 and annual mean biomass was 1,966.43${\pm}$668.49 g TWwt/m2 in total wet weight, 760.04${\pm}$279.13 gMWwt/m2 in meat wet weight, 209.93 ${\pm}$ 49.41 gMDwt/m2 in meat dry weight, and 109.66${\pm}$58.78 gAFDW/m2 in ash-free dry weight. The monthly mean size of shell length varied from 11.00 mm to 16.97 mm.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regression (SH=0.482SL+0.791, R2=0.940, P<0.001). Regressions of total wet weight (TWwt) (TWwt=7.601${\times}$10-5SL3.052, R2=0.905, P<0.001), and meat wet weight (MWwt) (MWwt=1.127${\times}$10-5${\times}$SL3.404, R2=0.784, P<0.001) on shell length were positively allometric, with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SL and meat dry weight (MDwt), and AFDW were MDwt=9.813${\times}$10-6${\times}$SL2.928 (R2=0.421), and AFDW=1.015${\times}$10-5${\times}$SL2.922(R2=0.810), respectively. The condition factor of the mussel has been increased from March and formed a peak in July and August. It was sharply dropped in Septe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species commenced to be occurred in spring and that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 PDF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 마채우;홍성윤;임현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3-516
    • /
    • 1995
  • 1991년 11월과 1992년 1월 총 2회에 걸쳐 남해안에 위치한 득량만의 저서동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18종 20,767개체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52종 $(44.1\%)$으로 가장 많았고, 갑각류가 45종 $(38.1\%)$, 연체동물이 14종 $(11.9\%)$이었다. 저서동물의 평균 밀도는 1432.2 $개체/m^2$였으며, 연체동물의 밀도가 가장 높아 920.4$개체/m^2$로 전체의 $64.3\%$를 차지하였는데 이것은 이매패류인 Musculista senhouia의 고밀도 출현 때문이었다. 한편 다모류는 275.8$개체/m^2$, 갑각류는 219.6$개체/m^2$의 밀도였다.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인 Musculista senhousia, 다모류인 Eteone longa, 옆새우류인 Nippopisella nagatai였으며 각각 632.8$개체/m^2$, 37.8$개체/m^2$, 35.3$개체/m^2$의 밀도였다. 한편 유기물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Capitella capitata는 밀도는 낮으나 주로 육지 및 하천에 인접한 정점에서 출현하므로서 이들 정점들은 유입되는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득량만은 종 조성에 근거하여 만 중앙을 중심으로 크게 4개의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저서동물 가운데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출현 밀도가 낮은 현상으로부터, 득량만은 남해안의 진해만이나 광양만 등에 비해 유기오염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 오준호;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8
    • /
    • 2022
  • 저서동물은 저서환경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시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조하대의 환경 및 저서동물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질평가지수(WQI)와 저서생물지수(AMBI)를 이용하여 저서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채집은 2019년 하계 무안만 조하대의 10개 정점에서 이루어졌다.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지역이 하부지역에 비해 세립한 입도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일부 정점에서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과 같은 종들도 우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군집분석결과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 중부, 하부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유기물 함량과 저서건강성 평가지수(WQI 및 AMBI)와의 상관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안만 조하대의 저서생태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저서동물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기회종이 출현하고 있어 조하대의 유기물 부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계 무안만 조간대에서의 유기물 함량 및 대형저서동물의 공간 분포특성 (The Spatial Patterns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Macr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Muan Bay Intertidal Zone, Korea)

  • 고은영;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27
    • /
    • 2023
  • 본 연구는 무안만 조간대의 대형저서생물 군집구조와 퇴적물의 유기물 분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9년 8월에 21개 정점에서 퇴적층을 채취하여 입도 및 유기물 함량(강열감량과 총유기탄소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형저서동물을 분류하고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조간대 퇴적층의 입도는 무안만 북측 내만이 비교적 조립하였고, 만 입구 주변은 주로 실트질의 특성을 보였다. 유기물 함량(강열감량과 총유기탄소함량)은 목포 지역 근처에 위치한 정점 10에서 가장 높았으며, 만의 북측에 위치한 정점 20이 가장 낮았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중 1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종은 기수우렁이류(Assiminea sp.), 종밋(Musculista senhousia), 비틀이고둥(Cerithideopsilla cingulata)이었고,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 4종이었다. 정점 10에서 전체 정점과 비교하여 최대 종수와 밀도를 보였다. 출현종을 토대로 집괴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무안만 조간대는 총 4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총유기탄소함량과 생물밀도는 유의한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해 무안만 조간대에 있어서 대형저서동물 분포는 입도 및 유기물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