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icipal waste incinerator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연소재벽돌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Waste Ash Brick with Industrial By-Products)

  • 김한석;정병길;김대용;강동효;장성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6-234
    • /
    • 200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shape and size, compressive strength, water absorption and heavy metals leaching with various weight mixing ratios in waste ash brick products using waste recycling MSWI(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bottom ash, steel slag and waste building material. Th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the waste ash brick consist of screening, mixing, conveyor transmission, compaction.forming, and curing steps of raw materials. The weight mixing ratios of steel slag around bottom ash were adjusted within the ranges of 10% to 30%. The reported results show that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waste ash brick could be satisfied with $90{\pm}2mm\;and\;57{\pm}2mm$, respectively which are K.S. standards of products qualities. And in case of length, only 20-Ba50Ss30, 20-Ba60Wb20 and 20-Ba50Wb30 for the mixing ratios could be satisfied with $190{\pm}2mm$ that is K.S. standards of products qualit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for 20-Ba50Ss30 and 20-Ba70Wb10 were over $8N/mm^2$ and below 15% respectively that are K.S. standards of manufactured waste ash brick. The results of tests for the heavy metals leaching in the all manufactured waste ash bricks are also passed to the wastes management regulations. The cost analysis of 20-Ba50Ss30 is evaluated. The manufacturing cost is evaluated 34.3 won/brick with 8 hours and 20tons of raw material per day. Incinerators with problems in bottom ash disposal can therefore derive significant benefits from the application of waste ash brick production.

도시 쓰레기 소각로 (Municipal Waste Incinerator)

  • 김영도
    • 기계저널
    • /
    • 제34권8호
    • /
    • pp.617-625
    • /
    • 1994
  • 최근에 매립에 의한 도시 쓰레기 처리방법이 한계에 도달해감에 따라 이를 좀더 감량화하고 안 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각처리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1년까지 국내 생활쓰레기의 25%를 소각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투자 계획을 세워놓고 있으며 이를 달 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각기술 및 소각 플랜트 기술의 자립이 급선무이다. 현재 우리나 라의 소각로 기술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동안 대부분의 소각로를 외국 기업으 로부터의 기술 도입을 통하여 건설하여 왔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불이익이 있으며 특히 소각로 설계 기술의 자립과 국산화라는 근본적인 목표 달성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상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었보다도 선진 원본기술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 연구와 정부 및 산.학.연간의 협조에 의한 연구 개발노력과 투자가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소각로의 안전성과 신뢰성향상을 위한 꾸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 주 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소각로 기피현상을 조속히 타개해야 할 것이다.

  • PDF

질산을 이용한 Fly Ash 흡착제의 표면 활성화에 따른 VOCs 흡착 특성의 변화 (The Change of Adsorption Characteristics for VOCs by HNO3 Activation of Adsorbent Prepared from MSWI Fly Ash)

  • 심춘희;이우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1-478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adsorption efficiency of adsorbent made from MSWI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ny ash by $HNO_3$ activation. The acidity and the basicity were determined by Boehm's method and the surface structure was studied by BET method with N2 adsorption. The adsorpt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benzene and MEK (Methylethylketone). $HNO_3$ activation can modify the surface property of an adsorbent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function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dsorbent was increased from $309.2m^2/g\;to\;553.2 m^2/g$ by activation. Also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were formed on it.

소각잔사 중의 클로로벤젠과 클로로페놀의 함량 및 이성체 분포특성 (The Content of Chlorobenzenes and Chlorophenols and Their Isomer in MSWI Fly Ash)

  • 이우근;심영숙;김진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8
    • /
    • 1998
  • Chlorobenzenes (CBs) and chlorophenols (CPs) in fly ashy discharged from several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MSWI)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otal content and isomer distribution. The content of CBs and CPs was highest in the fly ash from S incinerator, which were 1040.7ng CB/g-fly ash and 1156.4 ng CP/g-fly ash.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hile all samples contained a large amount of the higher chlorinated CBs, was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season. The quantities of CBs and CPs depended closel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SW. while the isomer distribution of CBs and CPs was constant throughout all the year round.

  • PDF

생활폐기물 소각시 요구되는 요소수의 대체물질로 음식물 폐수 속의 암모니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NH_4}^+$ Applications of Food Waste Water Instead of Urea in the Inciner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 고성규;조용균;이영신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97-105
    • /
    • 2012
  • 본 연구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수를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생활폐기물과 음식물류폐수를 혼합하여 소각처리 방법과 소각시 음식물류 폐수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 및 배출가스의 영향등을 조사하였다. 해양투기용으로 발생된 음식물류폐기물 폐수는 성상이 94-96%의 함수율을 갖고 있다. 음식물류폐기물 폐수를 주입하였을 때 소각로 출구 온도는 $897^{\circ}C$이였으며, 평상시는 $925^{\circ}C$로 약 $28^{\circ}C$도 떨어졌다. 음식물류폐기물 폐수를 각각 $200{\ell}/hr$, $300{\ell}/hr$ 투입시 질소산화물의 평균배출농도는 각각 50ppm, 46ppm 이었다. 연관식 폐열보일러는 음식물류 폐수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튜브 막힘 현상이 있었으며, 막힘 튜브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튜브 청소로 원상태를 유지 할 수 있어 연속적 소각에는 방해가 되지 않았다.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류 폐수의 자원화 처리방법과 더불어 기존 소각시설을 이용한 소각처리가 육상처리의 한 방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소각시 배출가스의 질소산화물이 제거됨으로써 질소산화물 제거용 암모니아, 요소수 등 화학약품비용 절감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회수시설 근로자 및 인근 거주 주민의 혈중 다이옥신 농도 분포 (Serum PCDDs/PCDFs Levels for the Residents Living in the Vicinity and Workers of the Municipal Waste Incinerators in Seoul, Korea)

  • 양지연;임영욱;장윤석;김창수;신동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4호
    • /
    • pp.337-34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원회수시설 근로자 및 인근 지역 거주 주민의 혈중다이옥신류 농도를 평가하고, 혈중 다이옥신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2002{\sim}2004$년까지 대상 자원회수시설에 3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 31명과 시설로부터 300 m이내 지역에서 3년 이상 거주한 주민 68명을 선정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참고 자료로 대상 자원회수시설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주민 11명을 함께 평가하였다. 혈액 채취 시 개인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시설 근로자의 혈중 다이옥신류 농도는 평균 $2.09{\sim}66.67pg/g$ lipid, 인근 거주 주민은 $1.00{\sim}29.33pg/g$ lipid, 일반 도시 주민은 $5.29{\sim}35.93pg/g$ lipid로 측정되었다. 시설 인근 지역 거주 주민 및 일반 도시 주민 중 비 흡연자의 인체 부하량은 각각 3.0 ng TEQ/g lipid와 4.5 ng TEQ/g lipid로 평가되었다. 대상군의 특성에 따른 혈중 다이옥신류 농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하수중 인제거를 위한 정석탈인반응의 정석재로서 소각분말 용융슬래그의 이용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of Powdered MSWI Ash Melted Slag as a Seed Crystal of crystallization reaction for the Removal of Phosphorus from Sewage)

  • 김충곤;신현곤;김승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69-75
    • /
    • 2013
  • 본 연구는 대부분 매립되어지고 있는 생활폐기물자원회수시설(소각장)에서 발생한 소각재 중 바닥재를 용융하여 정석탈인법의 정석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로 용융은 $1,100^{\circ}C$에서 용융한 뒤 0.35mm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의 결과 인농도 10mg/L 이하의 인공하수의 경우 90%이상의 제거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인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에 적절한 인농도를 100 mg/L로 결정하였다. 초기 인농도 100 mg/L, 칼슘이온농도 50 mg/L, pH 8의 인공하수에 분말 용융슬래그 1%(W/V) 주입하여 정석탈인반응에서 인제거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카리도의 영향실험을 하였는데, 알카리도가 증가하면서 그 반응속도도 느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 온도의 영향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15{\sim}35^{\circ}C$의 범위에서 반응 속도 상수값을 구한 결과 온도가 증가하면서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활(生活) 폐기물(廢棄物) 소각재(燒却材) 슬래그를 이용(利用)한 메조포러스 실리카 합성(合成) : NaOH 농도(濃度)의 영향(影響) (Synthesis of Mesoporous Silica Using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sh Slag : Influence of NaOH Concentration)

  • 한요셉;정종훈;박재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1호
    • /
    • pp.40-48
    • /
    • 2010
  • 생활 폐기물 소각재 슬래그를 출발원료로한 메조포러스 실리카의 합성에 미치는 NaOH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계적 분쇄를 통해 활성화된 소각재 슬래그에 대한 추출 공정은 농도가 다른 NaOH 용액을 이용한 알칼리 처리로 수행하였다. 분쇄시간 그리고 NaOH 용액 농도가 증가 할수록 소각재 슬래그로부터 추출되는 Si 추출량은 증가하였다. 합성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의 물리적 특성(기공크기, 비표면적 그리고 총 기공부피)은 BET, SEM, TEM 그리고 small-angle XRD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합성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는 대략 7 nm 기공크기의 hexagonal 구조를 가진 SBA-15로 판명되었다. NaOH 용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합성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는 비표면적 및 기공 부피도 증가하였다. 반면, 거의 동일한 Si 이온 농도로 제조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의 경우, 3M NaOH로 제조된 샘플에 비해 4M NaOH로 제조된 샘플의 비표면적 및 기공 부피가 감소하였다. 이는 과량의 Na 이온이 mesophase 형성을 방해하여 미반응되어 남아있는 Si 이온이 합성되어진 mesophase의 벽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Bottom Ashes)

  • 오명학;이정협;박해용;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21-27
    • /
    • 2015
  • 인구 증가와 산업발전에 따라 생활 및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폐기물 소각재 처리로 인한 문제는 국내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경험하고 있는 현상으로 이미 선진국에서는 폐기물 소각재를 건설재료로 사용하는 등 소각재의 재활용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폐기물 소각재 재활용은 현재 약 80%로 선진국 수준에 이르렀지만 이는 콘크리트 혼화재로서 사용되는 비산재(Fly ash)만 해당되며, 재활용을 위한 관련 기술 및 노하우가 부족한 바닥재(Bottom ash)의 경우 대부분 매립처리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소각 시 발생하는 소각재 중 발생량이 많고 재활용률이 낮은 바닥재의 기본물성 및 역학시험을 수행하여 건설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격자 소각방식과 열분해 용융 소각방식에 따라 발생된 바닥재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폐기물 소각재의 바닥재는 모래와 비슷한 특성을 보여 건설재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기물 소각방식에 따라 바닥재의 기본물성 및 역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바닥재 활용 시 소각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멘트를 이용한 소각비산회의 안정화공정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tabilization process of the MSW Incinerator fly ash into cement)

  • 배해룡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2호
    • /
    • pp.63-70
    • /
    • 2001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and resolve the potential problems caused as the MSWI(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fly ash were stabilized and solidified into the cement.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ly ashes (K and M) used in this study were fix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cineration plant. The compressible strength of the solidified matrix used in this study were measured at 7, 28, and 56 curing day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olidified matrix, which were further analyzed by XRD and SEM.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vely long hours of curing periods were needed to solidify the fly ash. The solidified matrix containing K ash had the high and excellent compressible strength of $200{\;}kg/\textrm{cm}^2$, after 56 curing days, but was not good enough in appearance. The analytical data by SEM confirmed that the alkaline Na and K, which are highly dissolved in water, were included in the fly ash and evenly distributed in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solidified matrix. Whereas, the solidified matrix containing M ash never showed such a compressible strength as shown in the K ash due to the severe fracture, even as early as 7 curing days. Based on its XRD analysis, it appeared that both $C_2S$ and $C_3S$ highly related to the compressible strength were not crystallyzed into the solidified matrix. However, the compressible strength of the solidified and cemented M ash was remarkably improved by 100 times, after the alkalinity was washed out, which indicated that it is equivalent to 30 to 40g per one kg of fly a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