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g Bea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2초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in Mung Bean Hypocotyls

  • Jin, Eon-Seon;Lee, Jae-Hyeok;Kim, Woo-Taek
    • BMB Reports
    • /
    • 제31권1호
    • /
    • pp.70-76
    • /
    • 1998
  • The final step in ethylene biosynthesis is catalyzed by the enzym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oxidase. ACC oxidase was extracted from mung bean hypocotyls and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In vitro ACC oxidase activity required ascorbate and $Fe^{2+}$, and was enhanced by sodium bicarbonate. Maximum specific activity (approximately 20 nl ethylene $h^{-1}$ mg $protein^{-1}$) was obtained in an assay medium containing 100 mM MOPS (pH 7.5), $25\;{\mu}M$ $FeSO_4$, 6 mM sodium ascorbate, 1 mM ACC, 5 mM sodium bicarbonate and 10% glycerol. The apparent $K_m$ for ACC was $80{\pm}3\;{\mu}M$. Pretreating mung bean hypocotyls with ethylene increased in vitro ACC oxidase activity twofold. ACC oxidase activity was strongly inhibited by metal ions such as $Co^{2+}$, $Cu^{2+}$, $Zn^{2+}$, and $Mn^{2+}$, and by salicylic acid. Inactivation of ACC oxidase by salicylic acid could be overcome by increasing the $Fe^{2+}$ concentration of the assay medium. The possible mode of inhibition of ACC oxidase activity by salicylic acid is discussed.

  • PDF

연줄기 즙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ie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White Lotus Steam Juice)

  • 김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43-949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ies prepared with additions of white lotus steam juice at differing levels (0, 2, 4, 6, 8 m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lotus steam juice was $96.37{\pm}0.04\;g/100\;g$ for moisture, $0.75{\pm}0.01\;g/100\;g$ for crude protein, $0.24{\pm}0.01\;g/100\;g$ for crude fat, and $1.90{\pm}0.07\;g/100\;g$ for crude ash. As the level of lotus steam juice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and, L, a and b values of the jellies increased (p<0.05). However, the L value of the WSL8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mechanical evaluation results, hardness values of the WSL4 and WSL6 groups were increased (p<0.05), whereas, cohesiv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pringiness was higher (p<0.05) in the WSL8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chewiness was higher (p<0.05) in the WLS6, and WSL8 groups than in the WSL2 group.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s, the mung bean starch jellies prepared with 4~6 mL of lotus steam juice receiv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and were therefore chosen as optimal products.

  • PDF

동부와 녹두전분 Gel의 노화특성 비교 (Comparison on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 Gels)

  • 윤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2-676
    • /
    • 1992
  • 동부와 녹두 전분 gel의 텍스쳐 비교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저장중의 노화 특성을 노화속도, 결정화도의 변화 및 이장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 시료 전분 gel(30%)을 $20^{\circ}C$에서 저장하여 Avrami방정식으로 계산한 시간 상수는 동부 전분 gel이 1.9215일, 녹두 전분 gel이 1.984일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노화된 시료 전분 gel(10%)의 X-선 회절도는 모두 2${\theta}$ ; $17.2^{\circ},$ $22^{\circ},$ $24.0^{\circ}$ 에서 peak를 보여 B도형을 나타냈다. 한편 이장량은 두 전분 gel(6~10%) 모두 농도가 낮을수록 많았고, 저장 1, 2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그 이후로 이장량의 증가율은 서서히 둔화되어 저장 6일째에 농도와 시료에 따라 17~34.9%에 이르렀다.

  • PDF

Antioxidant Po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Seeds

  • Kim Dong-Kwan;Kim Jung-Bong;Chon Sang-Uk;Lee Ya-Seo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Mung bean (Vigna radiata L.)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human food source, as well as a new functional agent, mainly due to it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s from mung bean seeds by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 quantify the flavonoids by means of HPLC analysi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present in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in highest amount. Flavonoids, vitexin and isovitexin were quantified from 195 germplasms of mung beans and their concentrations varied by 4.7 fold. Especially, the breeding line KM99004-4B-2 (Suwon28/KM94004), which has grown in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showed the highest amount (15.88 mg/g) of total flavonoids. The vitexin portion was averaged $70.73{\pm}1.38\%$. High positive correlation $(r=0.96^{***})$ between vitexin and isovitexin contents showed.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showed very low correlation with the 24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eed coats of mung beans had the highest flavonoid amount, showing $50\~70$ times more than cotyledons. Flavonoid contents in the seed, the cotyledon, and the seed coat were decreased as the seed imbibition time increased.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녹두(Vigna radiata L.) Trypsin Inhibitor의 정제 및 약물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and Pharmacological Effect of Mung Bean Trypsin Inhibitor)

  • 문성은;신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8-534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뿐만아니라 한방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녹두(vigna radiata L. wilczek) 로부터 trypsin inhibitor (Mung bean trypsin inhibitor, MBTI)를 분리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병태동물모델 즉, septic shock induced guinea pig model을 이용하여 MBTI의 약물학적 효과를 평가하였다. MBTI의 분리 및 정제과정은 Sephadex C-50 chromatography, DEAE-cellulose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및 trypsin affinity column 을 차례로 이용하였다. 정제한 MBTI는 전기영동 및 아미노산 서열분석결과 분자량 약 8,000 Da 의 BBI-type (Bowman-birk inhibitor type)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또한 pseudomonal elastase로 유도된 septic shock guinea pig model에서 MBTI 10 mg/kg를 전처치한 결과 hypotention shock 유발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과 중국산 녹두로부터 방법을 달리하여 분리한 전분의 이화학적 및 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Starches Purified from Korean and Chinese Mungbeans with Different Methods)

  • 전옥윤;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71-881
    • /
    • 2012
  •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es prepared by different purification methods, starches from Korean Eohul variety and Chinese mung bean (MB) with or without hull using alkaline solution or water as solvent were purifi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king muk were investigated. Apparent amylose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ater binding capacity, solubility and pasting properties by RVA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arch gels (10% dry basis) were measured for 0 and 4 day stored at $4^{\circ}C$. The protein and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lowered in starch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The starches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show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s. Apparent amylose contents of Eohul and Chinese starches showed 37.06-39.03% and 31.57-32.74%, respectively. Chinese starch was higher in water binding capacity but lower in solubility at $85^{\circ}C$ than others. Peak, trough, cold, and breakdown viscosities of Eohul st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one. Mung bean starch gel made immediately exhibited clear and glossy appearance but became whiter like milk. The crystallinities of starch and starch gel showed A and B types, respective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starch gel made immediately and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4 day stored gel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5). Especially, Eohul starch gels purified from hulled MB showed higher resilience (bending property) and hardnes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high quality muk would be made using MB starch purified from hulled Korean mung bean using water as solvent.decreased in contain more than 20% of SGP added group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GP was found in the range of less than 10%.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된 팥과 녹두의 수침에 따른 용출 특성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 노미정;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4-189
    • /
    • 2001
  • 팥과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을 위한 감마선과 methyl bromide(MeBr) 훈증 처리가 두류의 수침 시 용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팥과 녹두를 $20^{\circ}C$에서 16시간 침지시킨 후 용출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녹두에 비해 팥이 두드러졌다. 그리하여 5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살충선량인 2.5 kGy 범위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MeBr 처리된 팥의 고형분 함량은 7.5 kGy 조사구와 유사한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용출액의 pH는 처리구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의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두 시료에서 명도(L)의 감소와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증가현상이 점차 나타났으며, 훈증처리 시료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매우 심하여 전반적 색차(${\Delta}E$)가 팥은 10 kGy, 녹두는 30 kGy 이상 조사된 시료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침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용출은 팥의 경우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이, 녹두의 경우asparagine, glutamic acid, proline, valine 등이 용출 비율이 높았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MeBr 훈증 처리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 용출액의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과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탈지 및 지질첨가 강남콩, 녹두와 옥수수 전분의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fatted and Lipid-reintroduced Kidney Bean, Mung Bean and Corn Starches)

  • 이상금;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0-715
    • /
    • 1993
  • 강남콩, 녹두, 옥수수전분을 99% 메탄올로 탈지시키고 추출된 지질을 에테르로 탈지시료전분에 첨가한 다음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양상을 알아보았다. 전분입자의 형태는 강남콩전분과 녹두전분이 둥근타원형이었고 옥수수전분은 다각형이었으며 시료처리 후에도 모양은 변하지 않았다. X-ray 회절도에 나타난 결정형은 모두 Ca형을 보였고 탈지전분의 결정성의 정도는 생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지질을 첨가한 전분은 증가하였는데 옥수수전분인 경우는 생전분보다 낮게 강낭콩전분과 녹두전분은 더 높게 증가하였다.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탈지 후 증가하였으나 지질을 첨가한 다음에는 감소하였고, 물결합능력에서는 지질첨가전분이 생전분과 탈지전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모든 시료전분에서 온도증가에 따라 상승하였고, 강남콩전분과 녹두전분은 탈지전분, 생전분, 지질첨가전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옥수수전분만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온도는 강남콩, 녹두, 옥수수전분이 각각 $87,\;67,\;80^{\circ}C$였으며 강남콩전분을 제외한 탈지시료전분에서는 최고점도, 냉각점도, consistency, setback 모두 생전분보다 감소하였고 지질첨가전분에서는 녹두전분은 생전분보다는 낮게 탈지전분보다는 높게 증가하였으며 옥수수전분인 경우 최고점도는 생전분과 유사하였으나 다른 특성치들은 생전분과 탈지전분보다 더 증가하였다.

  • PDF

녹두의 가수분해조건에 따른 특성 변화 (Property Changes of Mung Bean Depending on Hydrolysis Conditions)

  • 구영아;장세영;박난영;문채련;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63-56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녹두의 가수분해조건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도에 따른 효소제 처리구(${\alpha}$-amylase와 protease 각각 0.1%(w/w))가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녹두전분의 최적 가수분해를 위하여 효소제 ${\alpha}$-amylase 0.08%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녹두단백의 가수분해를 위하여 Protease를 혼합하여 분석한 결과 ${\alpha}$-amylase 0.08% (w/w)와 protease 0.12% (w/w)를 혼합 처리시 품질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녹두의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영향은 60분과 90분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최적 조건의 가수분해 시간은 60분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alpha}$-amylase 0.08% (w/w)와 protease 0.12%(w/w)를 혼합 첨가하여 $60^{\circ}C$에서 60분간 가수분해 조건이 당도 $5.8^{\circ}Brix$, 환원당 2,022.13 mg%, 가용성 조단백 7,666.17 mg%로 나타나 녹두의 최적 가수분해 조건으로 설정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