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Militar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군 간부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 김정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49-68
    • /
    • 2020
  •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The sample included 552 Republic of Korea Arm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who were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gi-Do.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ifferential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NCOs, including sub-factors, was above the mean level; in terms of the ranking per sub-factor, the scores were in the order of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The experience frequency of the targets and the evaluation was lowes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the military, and the evaluations were in the order of public media, school, and military. Second, The differential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ogy of the popula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showed that the duration of education(personal factor), marital status(family factor), existence of a foreign relative(family factor), and existence of experience of managing multicultural personnel as soldiers under command(military-related fa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and public media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the existence of education within the military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military, school, and public media,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multicultural educational plans that may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and NCOs as a way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composition in the army.

세계 강군의 다문화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ulticultural Applications of World Military Powers)

  • 김인찬;조상근;김종훈;홍명숙;방동협;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41-447
    • /
    • 2022
  • 대한민국 육군은 우리 사회 최대 화두 중 하나인 지속적인 출산율 감소와 저출산 문제가 병력 부족으로 인한 안보 공백으로 이어질 것을 예측하고, 2010년 병역법을 개정하여 이전까지 입대에 제한을 두었던 '외관상 명백한 혼혈인'의 입대를 의무화했다. 그 결과 2011년에는 50여 명의 다문화 가족 자녀가 입대하였으며, 당시 병무청은 2020년이후 매년 8천 명 이상이 입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는 육군에 또 다른 도전을 야기한다. 서로 다른 언어, 종교, 식습관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결여될 경우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투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세계 강군의 다문화 적용 사례 연구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존중의 성공, 실패 역사와 현재 미(美) 육군의 다문화 존중 정책을 연구하여 우리 육군의 지향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다문화 병사의 복무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rvice Adapt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Soldiers : Focused on Ground Theory)

  • 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09-214
    • /
    • 2020
  •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측면에서 군사력이 심각한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또한, 저 출산은 단순히 국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로 이어져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가며 곧,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의 군(軍) 입대 추세는 2025년부터 2031년 사이에 연 평균 8천여 명이 입대할 것으로 예측 됨으로서, 대한민국 국군의 병력자원은 '다문화 군대'로 변모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항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와 다문화 군대라는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병사가 군(軍) 복무 적응과정을 어떻게 적응해 가고 있는가를 밝히고, 군(軍) 생활 적응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범주화시켜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매개로 (Effect of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t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for Republic of Korea Army officials)

  • 최경일;조성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를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이 매개하는지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육군 부대 각 1개에 복무하는 580명의 간부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비롯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 간부의 자존감은 군생활 적응만을 매개하거나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차례대로 매개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간부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을 동시에 높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장병 정책 연구동향 분석 -2010년~2022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ulticultural Soldiers Policy Research Trends -Focused on academic papers from 2010 to 2022-)

  • 임소정;이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87-92
    • /
    • 2022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연구된 다문화장병 정책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대상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가정의 청년들의 입대를 허용한 병역법 개정을 기점으로 이후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오늘에 이르렀으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점을 확인했다. 연구 분야 또한 최초 다문화 장병의 입대를 앞두고 환경조성과 준비방향부터 정책적인 방안 제시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었으나 여전히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대상면에서는 간부에서 용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나 대부분이 다문화 장병 대상보다는 수용자 중심의 연구인점이 그 한계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현재도 여전히 진행중인 다문화 장병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설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군인의 직업특성과 군인아내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련성: 부정적 인식과 군인가족 자부심의 매개효과 (Military Personnel'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Life among Military Wives with Preschool Children: Underlying Processes)

  • 박지수;이재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27-40
    • /
    • 2019
  •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how military personnel'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e., long and unspecified work hours, frequent moving) is associated with their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 focused on whether the wives' perception toward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ccupation and the wives' military family pride mediated the associ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23 women married to professional active-duty military husbands, had at least one preschool child, and lived with the husband and chil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the wives' perception of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family prid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usband's work hours and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is serial multiple mediation indicated that the longer and more unspecified the husband's work hours were, the more negative the wife's perceptions were towards his military occupation, which led to lower marital satisfaction and higher parenting stress.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perceptions was also significant. Frequent moving was indirectly related to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rough only the wives' negative perceptions toward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ilitary spouses who experienced frequent moves are likely to have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military occupation, which leads to lower marital satisfactions and highe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militar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wives' family life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negative perceptions and military family pride.

미국 문화, 그 기로에 서서 - NEA(국립예술진흥기금)를 둘러싼 논쟁 중심으로 (American Culture at the Crossroad : Debates over NEA(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 김진아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4호
    • /
    • pp.33-56
    • /
    • 2006
  • '문화 전쟁(Culture Wars)'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 미국에서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 사이에 벌어진 문화적 논쟁을 일컫는다. 이 용어는 제임스 헌터(James Hunter)의 책 "문화 전쟁: 미국을 정의하려는 노력(Culture Wars: The Struggle to Define America)"의 출간으로 대중화되었고, 당시 공화당 대통령 후보였던 패트릭 부캐넌(Patrick Buchanan)에 의해 급부상하게 된다. 그는 "이 나라에는 지금 종교 전쟁, 즉 냉전만큼 중요한 '문화 전쟁'이 일어나고 있고, 이것은 미국의 영혼을 위한 전쟁이다." 라고 부르짖으며 급변하는 문화 정체성의 위기 속에서 미국적인 전통을 지키고자 하였다. 이 문화 전쟁은 여러 다양한 논쟁을 함의하고 있었는데, 교목제도의 폐지, 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커리큘럼 도입, 동성애자의 군복무, 낙태, 총기 소지 등의 허용 문제로 당시 미국의 교육계, 문화계뿐만 아니라 정치계, 입법부에서도 첨예한 대립 구도를 형성하였다. 미술계에서 가장 치열했던 문화 전쟁은 안드레 세라노(Andres Serrano)의 작품전과 ${\ll}$로버트 메플소프: 완벽한 순간(Robert Mapplethorpe: The Perfect Moment)전${\gg}$이 공공기금인 국립예술진흥기금(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NEA)의 지원을 받아 개최되는 것이 타당한 것이냐에 대한 논쟁에서 표출되었다. 이 두 전시를 기점으로 그 뒤로도 여러 미술 전시회와 음악회, 연극 등을 둘러싼 NEA 기금 지원과 관련한 분쟁은 한동안 계속된다. 이 글은 이러한 미술계 문화 전쟁의 발전 과정과 몇몇 논점에 초점을 맞추되, 세라노나 메플소프의 작품 자체를 분석하고 비평하는 글이 아님을 밝혀 둔다. 본 연구는 분쟁의 전개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연대기적 조사보다는 그 발단과 전개 과정에서 몇 가지 핵심적인 사항들을 기술하고, 이 사항들이 암시하는 정치적, 미학적, 미술사적 시각의 충돌에 대해 지적하는 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당시 이러한 논쟁이 미국 미술계에 의미하던 것, 미국 문화 전체에 의미하던 것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비평적 질문으로 글을 맺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