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layer Bed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Design and Realization of a Novel Header Compression Scheme for Ad Hoc Networks

  • Khalid, Shahrukh;Mahboob, Athar;Azim, Choudhry Fahad;Rehman, Aqeel Ur
    • ETRI Journal
    • /
    • 제38권5호
    • /
    • pp.922-933
    • /
    • 2016
  • IP header compression schemes offer a valuable measure for bandwidth preservation. Such schemes have been practically implemented in infrastructure-based IP networks for point-to-point links. However, minimal research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effor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an IP header compression strategy that can meet the peculiar requirements of multi-hop ad hoc wireless networks.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actically implemented multi-hop IP header compression scheme using the 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protocol suite. The scheme runs on a novel identifier (ID) based networking architecture, known as an ID-based ad hoc network (IDHOCNET). IDHOCNET additionally solves a number of bottlenecks of pure IP-based ad hoc networks that have emerged owing to IP address auto-configuration service, distributed naming and name resolution, and the role of an IP address as an identifier at the application layer. The proposed scheme was tested on a multi-hop test bed.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lemented scheme has better gain and requires only O (1) ROHC contexts.

차세대 모바일 단말 플랫폼을 위한 MIPI CSI-2 & D-PHY 카메라 컨트롤러 구현 (MIPI CSI-2 & D-PHY Camera Controller Design for Future Mobile Platform)

  • 현유진;권순;정우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7호
    • /
    • pp.391-3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모바일 단말 카메라 표준 인터페이스인 MIPI CSI-2 및 D-PHY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CSI-2는 레인별로 존재하는 버퍼를 하나로 통합하여 송수신단이 지원하는 레인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도 유연하게 관리 될 수 있는 멀티레인관리계층을 가진다. 설계된 CSI-2 및 D-PHY는 테스트 벤치를 통해 RTL 검증되었다. 또한 FPGA로 합성된 후 테스트 베드를 통해 기능 검증이 이루어 졌으며, 실제 단말기에 적용하여 동작 여부를 확인 하였다. 설계된 CSI-2 및 D-PHY 모듈은 브리지 형태로 제공되어 기존의 카메라 센서와 호스트 프로세서와 오프 칩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세대 모바일 카메라 컨트롤러와 온 칩 화 가능한 IP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다성분 혼합 기체로부터 수소 분리를 위한 4-bed PSA 실험과 전산 모사 (Experiment and Simulation of 4-bed PSA for Hydrogen Separation from Multi-Component Mixture Gases)

  • 양세일;박주용;장성철;최도영;김성현;최대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414-422
    • /
    • 2008
  •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에 대한 $H_2$, $CH_4$, CO, $CO_2$에 대한 흡착평형 실험을 정적부피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활성탄과 제올라트를 이용한 4탑 PSA 공정을 통하여 다성분 혼합기체($H_2$ 72.2%, $CH_4$ 4.06%, CO 2.03%, $CO_2$ 21.6%)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평형 실험결과 각각의 기체들에 대하여 dual-site langmuir(DSL) 모델이 잘 예측을 하였으며,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의 충전비율에 따른 파과특성을 살펴본 결과 최적의 활성탄 층의 높이는 전체 탑 길이 80 cm 중 55 cm로 나타났다. PSA 공정에서 공정 변수인 총 주기시간($T_c$), 세정기체 공급압력차(${\Delta}P$) 그리고 흡착압력이 공정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과 전산모사를 통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뒷불 특성에 관한 실험방법 연구 (The Study on Experimental Method of Smoldering Ground Fire in Forest Fire)

  • 김동현;김장환;김응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6
    • /
    • 2010
  • 산불 형태 중에서 뒷불은 지표층 내부의 발화점 이상 온도가 분해층에서 부식층으로 전이되어 뒷불이 발생 할 수 있는 형태로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뒷불의 현장과 유사한 지표층 구조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뒷불의 잠재적 위험성과 연소특성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시료는 침엽수종 소나무 낙엽층과 활엽수종 굴참나무 낙엽층으로, 실제 산림내의 지표층 구조인 낙엽층, 분해층, 부식층로 구분하여 재현하였다. 8개의 열전대(K-type)를 층별 경계면과 그 사이에 배치하여 전이온도, 지속시간, 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F-H층으로 전이되는 경우와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L층과 F층 경계면의 발화조건이며, 유기물층의 뒷불 전이 임계습도는 35~44% 사이에 존재하며, 온도는 $350^{\circ}C$ 이상시 뒷불 전이가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구조의 뒷불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훈소의 층간 전이현상, 함수율에 따른 발화여부, 전파속도 및 시간에 따른 경계면의 온도변화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뒷불의 연소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확립하였다.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의 열유동 특성 (Thermal Flow Characteristics of a Hybrid Plant Factory with Multi-layer Cultivation Shelves)

  • 윤지환;유봉조;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990-8000
    • /
    • 2015
  • 식물공장은 환경적 조건을 조절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일정하게 생산하는 식물재배 시스템이다. 식물공장에 있어서 내부의 열 유동은 식물공장의 중요한 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였다. 열 유동 특성의 수치해를 얻기 위해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에 있어서는 저 레이놀드수(low Reynolds number) ${\kappa}-{\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하였으며, 해석방법으로는 비압축성 점성유동 영역과 압력경계 조건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에 있어, 3종류의 유입 공기속도와 재배선반의 위치변화에 따른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상용 프로그램인 Solid Works Flow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송풍기를 통한 식물공장 내의 유입 공기속도를 1.6 m/s로 하였을 때, Case 3의 재배선반 배치가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LED광만을 사용한 Case 1의 배치는 시험베드(test bed) TB2와 TB3 영역의 낮은 온도분포로 인하여 서큘레이터 등을 통한 추가적인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식물재배 LED 인공광(DYLED47)의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을 1:1로 100% 구동 시, 재배선반의 평균 온도가 약 $3^{\circ}C$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Improvement of pavement foundation response with multi-layers of geocell reinforcement: Cyclic plate load test

  • Khalaj, Omid;Tafreshi, Seyed Naser Moghaddas;Mask, Bohuslav;Dawson, Andrew 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3호
    • /
    • pp.373-395
    • /
    • 2015
  • Comprehensive results from cyclic plate loading at a diameter of 300 mm supported by layers of geocell are presented. The plate load tests were performed in a test pit measuring $2000{\times}2000mm$ in plane and 700 mm in depth. To simulate half and full traffic loadings, fifteen loading and unloading cycles were applied to the loading plate with amplitudes of 400 and 800 kPa. The optimum embedded depth of the first layer of geocell beneath the loading plate and the optimum vertical spacing of geocell layers, based on plate settlement, are both approximately 0.2 times loading plate diameter. The results show that installation of the geocell layers in the foundation bed, increase the resilient behavior in addition to reduction of accumulated plastic and total settlement of pavement system. Efficiency of geocell reinforcement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geocell layers for all applied stress levels and number of cycles of applied loading. The results of the testing reveal the ability of the multiple layers of geocell reinforcement to 'shakedown' to a fully resilient behavior after a period of plastic settlement except when there is little or no reinforcement and the applied cyclic pressure are large. When shakedown response is observed, then both the accumulated plastic settlement prior to a steady-state response being obtained and the resilient settlements thereafter are reduced. The use of four layers of geocell respectively decreases the total and residual plastic settlements about 53% and 63% and increases the resilient settlement 145% compared with the unreinforced case. The inclusion of the geocell layers also reduces the vertical stress transferred down through the pavement by distributing the load over a wider area.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load cycle of the applied pressure of 800 kPa, the transferred pressure at the depth of 510 mm is reduced about 21.4%, 43.9%, 56.1% for the reinforced bases with one, two, and three layers of geocel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tress in the unreinforced bed.

Bio-polymer 소재를 활용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 적용에 따른 수질 및 부착조류의 변화량: 김해시 대청천을 중심으로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Periphytic Algae in Multi-layer and Porous Structure for River-bed Protection using Bio-polymer materials: A Case Study of Daecheong-stream in Gimhae-Si)

  • 이상훈;안홍규;채수권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는 2014년도에 사업을 수행한 대청천 대청1보를 2015년부터 2016년도까지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에 적용된 기술은 무독성 소재를 이용한 일체형 하상 보호공으로 해당 구간의 오염지표 및 생태적 건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착조류 (Periphytic Alga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니터링 구간의 수질은 하천생활환경기준 (II)등급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하상보호공 구간의 조류는 상, 하류 구간보다 호청수성 부착조류종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부착조류 지수인 TDI 지수는 2015년과 2016년의 경우 하상보호공 구간인 ST-2는 평균 51.03 및 52.15 나타내어 '보통' 등급인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상, 하류의 다른 정점이 '나쁨'보다 하상보호공 구간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하천 생태계 구성요소의 서식, 특히 미소생물군의 서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과초기에서의 탈착된 입자의 거동 (Role of Detached Particles During Initial Filtration Phase)

  • 김자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24
    • /
    • 2005
  •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to verify a sequential particle removal taking place in a granular media gravity filter. Consequential multi-layer filtration cycle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fraction of filter effluent particles that are filter influent particles that were never removed as well as the fraction of filter effluent particles that were detached after deposition were perform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Three sizes of marker particles were injected ahead of the filter column as a pulse in the presence of four sizes of polystyrene particles that were used as a primary source of particles in the raw suspension to investigate particle attachment alone in contrast to net removal from attachment and detachment. Microscopic counting of filter effluent particles was assumed to reflect attachmen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le detachment is significant beginning from the early phase of filtration. For each size of fluorescent microspheres at one filter depth, fluorescent microsphere removal increased with filter runtime to a maximum due to ripening. The detached fraction of effluent particles increased with particle size and filter depth. The presence of detached particles and the increasing fraction of detached particles in deeper bed were confirmed.

파프리카 재배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난방에너지 절감 패키지 기술 적용효과 (Application Effect of Heating Energy Saving Package on Venlo Type Glasshouse of Paprika Cultivation)

  • 권진경;전종길;김승희;김형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5-2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리온실 경영비 절감을 위한 고효율 난방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하수열원 히트펌프, 알루미늄 다겹보온커튼, 근권부 국소난방장치를 조합한 난방 패키지 모델을 구성하고 파프리카 재배 벤로형 유리온실에 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용효과 분석을 위하여 관행 경유온수보일러와 일반 보온커튼을 설치한 대조구 온실과 비교시험을 통해 온실환경, 난방비용, 작물생육 등을 검토하였다. 알루미늄 다겹보온커튼과 일반 부직포 보온커튼을 설치한 온실에 대한 무가온 조건에서의 야간온도 비교시험에서 알루미늄 다겹보온커튼 설치 온실의 온도가 일반 부직포 보온커튼 설치 온실에 비해 평균 $2.2^{\circ}C$ 더 높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권부 국소 난방장치를 설치한 온실에서 미설치 온실에 비해 야간 난방 중의 베드내부 근권온도가 $4.7^{\circ}C$ 더 높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난방패키지를 구성하는 지하수열원 히트펌프의 난방성능을 분석한 결과 지하수를 직접 열원으로 이용하는 시스템 특성상 난방성능계수는 평균 3.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난방패키지를 적용한 처리구 온실과 관행 난방의 대조구 온실에 대하여 연료소비량을 계측한 결과 10a($1,000m^2$)당 대조구 온실은 경유 14,071L, 전력 364kWh를 소비하였고, 처리구는 전력 35,082kWh를 소비하여 난방비용 기준으로 대조구 온실의 비용 절감율은 87%로 나타났다. 처리구 및 대조구 온실의 작물생육을 비교한 결과 초장과 엽록소 함량에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두 온실의 난방온도가 거의 동일하므로 전체적인 생육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예시설의 난방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난방패키지를 구성하는 개별 기술뿐 아니라 이미 개발된 고효율 공조기 이용기술, 보온성 향상기술, 온도관리 기술 등을 지역, 시설, 작목, 작형 등에 최적화하여 조합할 수 있는 추가적 패키지 모델의 개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구경 강관말뚝의 항타시 동적 거동 (Dynamic Behavior of Large Diameter steel Pipe Piles during driving)

  • 이영남;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41-148
    • /
    • 2000
  • 방글라데시의 자무나 강을 가로지르는 길이 4.8km 교량의 교각기초에 대구경 개단 강관말뚝 2본 또는 3본이 사용되었다. 총 50개의 교각과 시험용 말뚝 2본을 포함한 123본의 말뚝이 강 하저에서 정규압밀된 모래층을 지나 자갈층 위까지 항타하여 설치되었다. 두께 40mm 내지 60mm의 변단면을 갖는 직경 3.15m와 2.50m의 짧은 말뚝 2, 3개를 연결하여 69m에서 74m 깊이까지 6:1의 경사로 항타하여 시공하였다. 전체 123본의 말뚝에 대하여 항타후 관내토 길이를 측정하였고, 이중 24본의 말뚝들에 대해서는 항타시 동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말뚝 항타완료후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선단부 근처에서는 주동 관내토(Active Plug)가 주면마찰력 발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한 모든 말뚝들은 약 90% 정도의 지지력이 주면마찰력에 기인하는 주면마찰지지형 말뚝으로 나타났다. 현장모래지반에서의 탄성변형량(Quake)값과 감쇠계수(Smith Damping)값은 직경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변 지반의 균질함이 잘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