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Nuclei C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 서경민;김호용;이성호;권태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대구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공간변화 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Getis-Ord $G_i^*$ 방법론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0년까지 대구시의 도시성장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구시는 도시성장단계 중에서 역도시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구시는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다핵도시를 지향함으로써 역도시화가 나타난 2000 이후의 도시성장단계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이에 2000년 이후 다핵권역의 세부적인 공간구조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 지가, 고용 요인의 변화를 바키측 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는 다핵화가 진행 중이었으며 도심권역과 칠곡권역은 분산형, 안심 달서권역은 집중형, 성서권역은 집중 분산형태로의 공간구조변화가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다른 도시공간구조를 나타내는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과 개발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시 도심 노후화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agnosis of Downtown Deterioration in Busan)

  • 권일화;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53
    • /
    • 2013
  •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 형성은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핵심요소인 도심 및 부도심의 관리는 도시 활동의 변동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부산의 경우 1960년 이후 도시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심 규모의 확대 및 인구과밀화 속에서 20년 단위의 도시기본계획 이외에 도심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이나 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하였다.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심기능의 수요 및 노후 예측을 위한 체계적인 도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재생측면에서의 도심지역 노후 진단을 통해 현재 도심의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도심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지표로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본 후, 미시적 접근으로 경제적 지표를 활용하여 부산시 서면 도심지역의 경제적 노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구분포나 토지이용 측면에서 교외화 단계를 지나 비효율적 분산화 단계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심 및 부도심의 기능 강화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이에 본 연구는 보다 미시적 관점에서 도심지역을 진단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심 지역의 문제점과 도심기능의 강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olarimetric study of (331471) 1984QY1: an asteroid in comet-like orbit

  • Kim, Jooyeon;Ishiguro, Masateru;Bach, Yoonsoo P.;Kuroda, Daisuke;Naito, Hiroyuki;Kim, Yoonyoung;Kwon, Yuna G.;Imai, Masataka;Kuramoto, Kiyoshi;Watanabe, Makot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50.2-50.2
    • /
    • 2017
  • Spatial distribution of atmosphereless bodies in the solar system provides an important clue as to their origins, namely asteroids from Mainbelt or comets from outer solar system. It is, however, difficult to distinguish asteroids and dormant comets due to their similar appearanc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unique observation to differentiate asteroids and dormant comets in terms of 'polarimetry'. We observed (331471) 1984 QY1 (hereafter QY1) at large phase angles using the Multi-Spectral Imager (MSI) on the 1.6-m Pirka Telescope from UT 2016 May 25 to June 24. QY1 is a dormant comet candidate in terms of the dynamical properties (i.e. the Tisserand parameter with respect to Jupiter, TJ = 2.68). We analyzed the polarization degree of QY1 as a function of phase angle and found its maximum polarization degree, $Pmax=8.68{\pm}0.28%$ and $8.72{\pm}0.38%$, in RC-and V-band, respectively, around the phase angle of ${\alpha}=100^{\circ}$. In addition, we obtained the geometric albedo, $pV=0.16{\pm}0.02$ by means of an empirical slope-albedo law. The polarimetric properties and the albedo value we acquired are similar to those of S-type asteroids rather than cometary nuclei. In this presentation, we introduce our observation and findings. In addition, we further discuss a dynamical transportation process from Mainbelt to the current orb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