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Family Housing(MFH)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리모델링 사업에 따른 공동주택의 가격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Price Variation for the Remodeled Multi-Family Housing)

  • 김재성;조규만;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7-258
    • /
    • 2016
  • Construction of Multi-Family Housing(MFH) was rapidly spread in the 1990s, it has been mostly passed more than 20 years and it is faced to aging time. Remodeling has emerged a major issu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an alternative of improvement and recovery the initial performance of the deteriorated MFH. But, Many decision-makers are struggling to determine whether to conduct a remodeling because of profitability.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the following step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i) remodeled MFH cases and comparative cases were collected, ii) the price information based on three time frames (i.e., before remodeling, after remodeling, and present) was collected, and iii) the relative price variation of the remodeled cases was analyzed and finally it is revealed that there are four patterns of price variation.

  • PDF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Determining the Price of Remodeled Multi-family Housing)

  • 김재성;조규만;김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3-22
    • /
    • 2016
  • 건설 산업에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은 최근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리모델링이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가치평가나 가격변화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정확한 가치나 가격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많은 의사결정자들이 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수행여부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 실제 리모델링이 이루어진 14개의 공동주택 사례를 수집하고, (ii)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변화된 다양한 특성들이 리모델링된 이후의 공동주택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중심으로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열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 요소들을 파악하고 리모델링 된 공동주택의 가격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수행 전에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평가를 위한 공동주택 단지별 에너지사용량 Database 구축 (Establishing a Energy Utilization Database for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Family Housing using District Heating)

  • 정재욱;홍태훈;지창윤;이승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05-113
    • /
    • 2015
  •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반영하고, 서울 및 수도권 도시에 대한 폭넓은 조사로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며, 다양한 Data source를 이용한 상호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1차 에너지사용량과 $CO_2$ 배출량을 포함한 325개 단지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한 공동주택정보관리시스템의 개선 필요사항을 제안하였다.

PHC-pile 공사비가 공동주택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 (The PHC-Pile Cost Effect on Sale Price for Multi-Family Housing)

  • 차용운;박태일;박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94-101
    • /
    • 2020
  • 본 연구는 기본형건축비 내 PHC-pile 공사비를 가산비로 제외함에 따라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년 3월 이전 기본형건축비에는 15m PHC-pile 공사비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분양가 심사에서 설계된 pile 물량을 고려하여 공사비를 조정해야 하지만, 이를 조정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국토부에서는 '20년 3월 고시에서, PHC-pile 공사비를 기본형건축비에서 제외하고, 설계된 pile만을 가산비로 인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방식과 개선된 방식의 pile 공사비를 추정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수도권에 분양된 7개 사례를 선정하여 PHC-pile 공사비를 추정하였다. 기존방식은 기본형건축비에서 pile 공사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추정하였고, 개선된 방식은 설계내역서의 물량을 기반으로 예정가격산정기준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방식으로 pile 공사비를 산출할 경우 기본형건축비가 약 2~3% 하락하였다. 또한 PHC-pile 공사비를 제외한 분양가격과 수도권 분양가격을 비교한 결과 수도권 대비 약 1%정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본형건축비 산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제도적인 개선을 통하여 국민 주거안정 도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