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d content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초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Techniques and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Korean Onggi Potter)

  • 김재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142-157
    • /
    • 2015
  • 이 연구는 옹기장인들의 옹기제작기술을 전통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으로 구체적인 옹기제작기술 속에 전통지식들이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특히 옹기제작 관련 전통지식들이 어떤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기술과의 관계에서 어떤 양상을 띠는가 하는 점들에 주목한다. 옹기제작 과정은 크게 재료의 준비, 기물의 성형, 소성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매 단계마다 고유한 전통지식들이 존재한다. 먼저 재료준비 단계에서는 각종 흙에 대한 지식들이 주를 이룬다. 흙의 색깔과 성질, 좋은 옹기흙의 지역 분포에 대한 정보, 옹기 제작에 적합한 것으로 흙을 재조정하는 기술 등이다. 그리고 두 번째의 기물 성형단계에서는 물레의 구조와 형태, 흙을 쌓아올리는 데 필요한 기술, 각종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완성된 형태의 옹기를 건조하는 기술 등이 주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소성 단계에서는 가마에 대한 지식과 가마 제작 기술, 가마 내 옹기를 쟁이는 기술, 화목에 대한 지식과 불 때는 기술, 불의 종류 등이 주를 이룬다. 이들 지식들은 각각 별개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는 어느 한 과정이 잘못되어도 완전한 옹기의 생산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지식의 내용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은 재질 색상 형태 분포양상 용융점 강도 물리적 성질 등과 같은 과학적 범주에 속하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이들 지식들은 공식적 제도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것들이라기보다는 비공식적인 도제교육을 통한 오랜 경험속에서 터득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지식의 체계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데, 주로 민속과학(ethnoscience)적 분류와 범주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들 지식들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보면 '자연 및 우주에 관한 지식'범주에 속한다. 이와는 달리 신체와 사용 도구, 그리고 제작하고자 하는 기물을 일체화시켜 내는 것으로 '신체기술(body techniques)'이라 부를 수 있는 것들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옹기장인들 스스로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며, 그들이 굳이 설명을 하더라도 해당분야에 대한 경험과 식견이 없는 한 이해가 쉽지 않다. 이러한 지식들은 습득 및 전승방식에 따라 구분해보면,'옹기 장인의 일반적 지식'과 '특정 옹기 장인만이 갖춘 고유한 지식'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식이 갖는 축적된 시간의 깊이에 따라 '역사가 긴 지식'과 '최근에 만들어진 지식'등이 있을 수 있다. 옹기제작과정에서 드러난 옹기 장인들의 기술과 전통지식은 재료의 준비과정에서부터 최종 완성품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수많은 범주와 층위의 기술들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기술의 사슬(techniques chain)'이라고 할 만하다. 이때의 기술은 반드시 자연과학적 범주의 기술(techniques)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솜씨(skill)를 비롯하여 장인들 스스로도 의식하기 어려운 습관적 행위들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층위의 기술과 지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의 공간감각 향상을 위한 가상학습공간 구축 (Developing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for Improving Spatial Sense of Young Children)

  • 차은미;이경미;이정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54-160
    • /
    • 2007
  • 공간감각은 주위 환경과 그 환경에서의 물체에 대한 직관적 느낌으로, 유아기는 이러한 공간감각의 기초능력이 발달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들은 공간에 대한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탐색을 통해 공간감각을 발달시켜 나가므로, 신체적인 움직임을 통해 공간을 탐색하는 경험은 공간감각 향상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을 이용한 유아의 공간감각 향상을 위해 4가지 콘텐츠를 제안한다: 물방울 게임, 골키퍼 게임, 웅덩이 피하기, 도형 맞추기. 제안된 4가지 콘텐츠는 날씨와 같은 외적 환경과 물리적 공간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지 유아들의 신체 활동이 가능하도록 가상 학습 공간으로 구현되었다. 또한, 구현된 가상학습공간은 유아의 행동을 인지하여 가상학습공간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있다. 유아들의 행동에 바탕을 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공간감각 형성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즐거움, 흥미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동해 울릉분지 남서해역 해양투기장의 퇴적물 특성 (Sediment Characteristics of Waste Disposal Sites in the Southwestern UUeung Basin, the East Sea)

  • 천종화;허식;한상준;신동혁;정대교;홍기훈;김석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4호
    • /
    • pp.312-322
    • /
    • 1999
  • 동해 울릉분지 남서측 해양투기장해역의 퇴적환경을 밝히기 위하여 해저지형과 퇴적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울릉분지 남서측 외대륙붕에 위치한 해양투기장 정해역은 팔림세스트(palimpsest) 퇴적물과 니질퇴적물의 교호퇴적상이 두껍게 나타난다. 울릉분지 남서측 대륙사면에 위치한 병해역은 대륙붕단으로부터 사질퇴적물의 간헐적인 유입을 제외하고는 반원양성 입자들의 수직적인 집적에 의해서 유동성이 큰 니질퇴적물(fluidized mud)이 해저지형을 평행하게 피복한다. 정해역과 병해역에서의 시추퇴적물에서는 저서생물의 교란에 의한 생흔구조들이 다수 관찰되며, 이에 의해서 퇴적물의 수직적인 혼합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표층퇴적물은 잔류퇴적물의 재동에 의한 조립질의 팔림세스트와 세립질퇴적물의 상대적 함량, 분급도, 그리고 중광물 특성들에 의해서 네 종류의 사질퇴적물(S-1, S-2, S-3, S-4)과 두 종류의 니질퇴적물(M-1, M-2)로 구분된다. 사질퇴적물들은 대부분이 태풍 또는 폭풍우로 야기된 고에너지 환경하에서 잔류퇴적물로부터 제동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반해 니질 퇴적물은 낙동강에서 유입된 현생 퇴적물, 대륙붕에서 재동된 세립질퇴적물, 그리고 동한난류(East Sea Warm Current)에 의해서 뜬짐으로 공급되는 입자성 부유물질 등으로 다양한 기원을 가진다.

  • PDF

유아의 공간감각 향상을 위한 가상학습공간 구축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for improving spatial sense of young children)

  • 차은미;김현주;이경미;이정욱;김은정;이소정;홍은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3-787
    • /
    • 2006
  • 공간감각은 주위 환경과 그 환경에서의 물체에 대한 직관적 느낌으로, 유아기는 이러한 공간감각의 기초능력이 발달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들은 공간에 대한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탐색을 통해 공간감각을 발달시켜 나가므로, 신체적인 움직임을 통해 공간을 탐색하는 경험은 공간감각 향상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을 이용한 유아의 공간감각 계발을 위해 4가지 콘텐츠를 제안한다: 물방울게임, 골키퍼 게임, 웅덩이를 피하기, 도형 맞추기. 제안된 4가지 콘텐츠는 보다 넓은 공간을 활용한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 학습 공간으로 구현되었다. 또한, 구현된 가상학습공간에는 유아의 행동을 인지하여 가상학습공간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있다. 유아들의 행동에 바탕을 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공간감각 형성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즐거움, 흥미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 PDF

진해만 패류양식장의 저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Bottom Mud of Shellfish Farms in Jinhae Bay)

  • 조창환;양한변;박경양;염말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1
    • /
    • 1982
  • 진해만 패류양식장의 어장가치를 진단하는 기초자료를 준비코자 양식장 저이의 오염정도를 구명하고 아울러 저이오염원의 기원을 파악코자 1981년 하계 중 만내 87개의 조사지점에서 저직성분을 조사하였다. 1. 저는 만 전체에 걸쳐 이질로 덮혀 있었다. 2. 페오파이친색소양은 $7.6-48.2{\mu}g/g$건이, COD양은 9.7-38.5 mg/g건이, 강열감양은 $8.1-14.2\%$ 그리고 유화물양은 0.1mg/g 이하로부터1.07mg/g 까지 이었다. 3. 상기 4개 항목의 양의분포는 다함께, 진해만 입구부인 잠도근처에서 견내양쪽으로 갈수록 많았으며, 저이오염도는 패류양식장이 많은 가조도 서부해역이 가장 높았다. 4. 가조도 서부해역의 대부분이 COD와 유화물양에 있어 부영양역의 상한치를 상인하고 있었다.5. 이오염의 주원은 양식패와 부착동물 배비물인 유기물의 축적이라 추측되었다.

  • PDF

한국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ic Organisms along the Korean Coasts in Summer Season)

  • 이정호;임현식;신현출;류종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2호
    • /
    • pp.87-102
    • /
    • 2022
  •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군집구조와 저서환경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2017년 8월 총 117개 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과 저서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는 613종이었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1,228 개체/m2, 평균 생물량(습중량)은 110.9 g WW/m2으로 나타났다. 남해의 완도해역과 동해 해역에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으며, 출현종수가 많은 정점에서 동시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종은 고리버들갯지렁이인 Heteromastus filiformis 이며, 이종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상위 우점종 중 동해해역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정점들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한 종은 양손갯지렁이류인 Magelona johnstoni 및 대나무갯지렁이류인 Maldane cristata 이며, 각각 3위 및 9위의 우점순위를 차지하였다. 특징적으로 얼굴갯지렁이류인 Pseudopolydora kempi와 Rhynchospio sp.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정점에서만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 결과 지리적으로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수심이 깊고 니질함량이 많은 정점군인 동해해역(정점군 A),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많지만 비교적 수심이 얕은 정점군인 남해해역(정점군 B), 니질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적은 정점군인 서해해역(정점군 C)으로 구분되었다.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는 분급도, 실트함량, 니질함량, 유기물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해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Theora lata와 Eriopisella sechellensis는 유기물함량과 비교적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nd 함량과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는 수심, 퇴적상,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변증록(辨證錄) 권지십사(卷之十四)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Byun Jeung Rok(辨證錄)" Vol.14)

  • 이현정;송지청;정현종;이종환;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7-293
    • /
    • 2011
  • "Byun Jeung Rok(辨證錄)" written by Jinsatak(陳士鐸) is composed of 14 volumes. In relation to the contents, it is organized into 126 gates(門) and 770 remaining syndromes(餘證) where internal medicine, external medicine, pediatrics, gynecology(內科 外科 小兒 婦人), etc. are divided into sub-sections of cold damage, cold stroke, wind stroke(傷寒 中寒 中風), etc. He explained the symptom, cause of disease, method of treatment, prescription, construction of prescription, instruction of medicine and prognosis(症狀 病因 治法 處方 處方構成 服用法 預後) thoroughly. This study, as an inquiry of the sec 14 volume pediatrics(小兒), deals with febrile fit cacotrophy vomiting diarrhea(驚疳吐瀉), coprozoic parasite(便蟲), smallpox(痘瘡), eruption(疹症), eating mud(喫泥), fetal toxin(胎毒). It was written very logically so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analysis of the symptoms are brief and appropria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clinical value for future generations and is applied by them. Finally, this topic was studied in hopes of helping later pediatrics clinical treatment.

  • PDF

한국남서해역 표층퇴적물 중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요인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 Sea, Korea)

  • 신현호;윤양호;박종식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05-214
    • /
    • 2007
  •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 of the southwest s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21 stations in September 2003, and 36 stations in June, 2004. The water mass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the southwest sea of Korea is characterized by various oceanographic conditions due to coastal waters of Korea and China. The Tsushima warm currents and the cold bottom water of the Yellow Sea. Mud content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central region such as, Namhaedo, Yeosu and Goheung coast than in western region such as, Wando, Haenam and Jindo coast in the South Sea of Korea. A total of 35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21 genera, 33 species, 2 unidentified species. Cyst abundance ranged from 13 to 527 cysts $g-dry^{-1}$, showing higher abundance in the coastal areas than in western region of the South Sea of Korea. From the result of the PCA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was not only related to the different water masses which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sea but also to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water temperature, light, surface sediment faces and phytoplankton biomass.

Distribution and Origi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urface Sediments Inside Hallim Harbor of Jeju Island, Korea

  • Moon, Sang-Hee;Lee, Min-Gyu;Kam, Sang-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1145-1157
    • /
    • 2003
  • The surface sediments inside Hallim Harbor, one of the major harbors of Jeju Island, were sampled three times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1) and analyzed for 16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recommended by US-EPA as priority pollutants, to assess their distribution levels and to suggest their possible origins. The concentrations of PAHs ranged from 19 to 496 ng/g on a dry weight basis with a mean value of 245 ng/g, and the levels were low to moderate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in the world. Based on comparisons of individual and total PAH concentrations with effects-based and equilibrium partitioning-based on sediment quality guidelines, the potential for the biological effects were expected to be low. The sedimentary PAHs may be correlated with organic carbon and mud contents to some extent. From the examinations of the four PAH origin indices, such as LMW/HMW (low molecular weight 2-3 ring PAHs over high molecular weight 4-6 ring PAHs), phenanthrene/anthracene ratio, fluoranthene/pyrene ratio, chrysene/benzo〔a〕anthracene rati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diment PAH contaminations were ascribed to both pyrolytic and petrogenic origins.

해양치유자원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웹 GIS 기반 해양치유포털 구축 (Development of a Web GIS-based Marine Healing Portal for Building and Utilizing Marine Healing Resource DB)

  • 박용길;김계현;이재혁;이성재;이기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6-1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는 각광을 받고 있는 해양치유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시범연구로서 선정된 4개의 시범지자체를 대상으로 해사와 해수, 소금, 머드, 해조류, 산림, 기상 등 7개의 주요 해양치유 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GIS 기반의 관련 DB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구축된 DB의 원활한 활용과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웹GIS 기반의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포털에는 GIS 기반의 해양치유에 필수인 해양자원의 주제도는 물론, 국내외 연구문헌, 해양치유요법 관련 매뉴얼과 시범 지자체의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였다. 구축된 해양치유포털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향후 국내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가 클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향후 해양치유자원의 확대 구축과 보다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를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