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Taebaek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태백산 개천절 제의 깃발에 그려진 별자리 연구 (A STUDY OF THE CONSTELLATION MAPS IN MT. TAEBAEK'S HARVEST CEREMONY FLAG)

  • 양홍진
    • 천문학논총
    • /
    • 제25권4호
    • /
    • pp.119-128
    • /
    • 2010
  • Gaecheonjeol is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when people hold a harvest ceremony. Nowadays, two representative harvest ceremonies of Korea are performed at Mt. Mari (摩利山) and Mt. Taebaek (太白山) on Gaecheonjeol (October 3rd). We study 28 flags with constellations appearing in the ceremony of Mt. Taebaek. These flags are lying in the outer of the circular stone wall during the ceremony. They represent an oriental heavenly star chart. We examine the shape, the connecting-pattern, the name, and the number of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and find several errors, such as, a wrong position, a typo of name, an irregular size, an omission, and so forth. Traditionally, the 28 oriental constellations are usu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has its own colour for each direction: Blue (E), Black (N), White (W), and Red (S). For the constellation flags in Mt. Taebaek, the colour of the flags is painted based on geographical directions, but the constellations are arranged followed by the direction of the celestial sphere. Thus, constellation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are counterchanged. Finally, we suggest some possible criteria for constellation map of the flags in this paper.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and CheonMunRyuCho (天文類抄) can be essential references for correcting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of Mt. Taebaek.

한국자생(韓國自生) 주목(朱木), 설악(雪岳)눈주목(朱木), 회율(檜率)나무의 집단(集團) 및 채취부위(採取部位)에 따른 탁솔함량(含量)의 변이(變異) (Variation in Taxol Content of Bark, Shoots and Needles of Seven Populations of Three Native Taxus Species)

  • 이용욱;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65-371
    • /
    • 199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주목(Taxus cuspidata S. et Z.), 설악눈주목(Taxus caepiltosa Nakai)과 회솔나무(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Nakai)에서 탁솔을 추출하고 정량하여 자생지별,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목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태백산에서, 설악눈주목은 설악산에서 10월에 수피, 줄기, 그리고 잎을 채취하였으며, 회솔나무는 울릉도에서 3월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량분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통계처리하여 각 집단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주목의 경우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은 수피에서 평균 0.006~0.017%로 가장 높았고 줄기에서는 0.001~0.005%이었고, 잎에서 0.0005~0.002%로 가장 낮았다. 수피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17%이었으며, 지리산, 소백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줄기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53%이었으며, 소백산, 지리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잎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13%이었으며, 태백산, 덕유산과 지리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설악눈주목에서의 탁솔함량은 주목보다 낮았으며, 수피와 줄기에서 평균 0.0035%이었다. 회솔나무에서의 탁솔함량은 줄기에서는 주목보다 높았으나, 줄기에서 평균 0.0064%, 잎에서 0.0006%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탁솔의 함량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생육조건에 따라서 큰 변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라산 집단의 일부 주목(Taxus cuspidata)은 높은 탁솔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설발육종하거나, 조직배양을 통하여 상업용 탁솔생산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중남부 삼림 지역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 (Cellular Slime Molds in Forest Soils of Central Areas of Korea)

  • 박미아;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230
    • /
    • 1996
  • A study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ellular slime molds(CSMs) in forest soils of central areas of Korea was carried out. Samples for CSMs isolation were collected from 4 study sites; Mt.Kyeryong, Mt. Taebaek, Mt. Sobaek and Mt. Sokri. In Mt. Kyeryong, six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ictyostelium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nutum, D. brefeldianum and Polysphondylium pall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0.75, and average density(clones /g soil) was 292. The results of soil sample analyses were that the concentration of Pb was higher than any other areas. In Mt. Taebaek, seven species were found; D.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uutum, P.pallidum. P. violaceum, P. cand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2.3,and average density was 1,108. Based on importance values calculated from study sites within each of three elevation ranges, several of the more widely distributed and abundant species have distribution patterns that show a response to elevation. In Mt. Sobaek, eleven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uutum, D. brefeldianum, D. crassicaule,D. deminutivum, D. implicatum, P. pallidum. P. violaceum and P. cand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3, and average density was 793. Species diversity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is area. In Mt. Sokri, six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 fasciculatum. D. mucoroides, D. minutum, D. purpureum, P. pallidum. and P. violace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2.4 and average density was 858. It was noticeable that D.purpureum were much more comrnonly found in this pinus evergreen forest. Key words: Cellular slime molds(CSMs), Importance value, Elevation, Average number of species, Average density.

  • PDF

설악산 대청봉의 식생 (Vegetation of Daecheong-bong. Mt. Seolag)

  • Baek, Soon-Dal;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13
    • /
    • 1983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vegetation of southern slope of Daecheong-bong, Mt. Seolag, Located at the northern part of Taebaek mountain chain in the Central Korea. The altitudinal zonation of the vegetation was analyzed by distribution pattern of dominant species along thermal gradient, In additiion to these procedure th plant sociological studies by Braun-Blanquet(1964) were carried out. It was recognized that the vegetation is consist of 16 associations including Quercus mongolic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and the forest zone is classified into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part of cool temperate forest and subarctic forest.

  • PDF

교가(校歌)에 나타난 대구의 지형관 - 대구 초·중등학교를 사례로 - (View of Landform revealed in School Songs: Based o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3-96
    • /
    • 2012
  • 대구지역 초 중등학교(328개교) 교가에 등장하는 자연지명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설립년도가 오래 된 학교 교가에 많이 등장하는 자연지명은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등 대구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자연지명과 달구벌, 태백산, 서라벌 등과 같은 대구의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이다. 2. 교가 노랫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자연지명은 초등학교의 경우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순이었고, 중등학교의 경우는 팔공산, 낙동강, 금호강, 비슬산 순이다. 3. 서라벌, 태백산 지명이 비교적 많아 대구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풍수적 관점에서의 팔공산과 태백산 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 4. 신개발지인 수성구, 달서구 일대에 분포하는 학교 교가에서는 전통적인 자연지명(대구지역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 포함) 외에도 주변 자연지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5. 달성군 내 학교의 교가에는 대구 대표적인 자연지명인 팔공산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달성군 지역민들은 팔공산 보다는 비슬산을 중심 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6. 대구 중심하천에 해당하는 신천의 경우 교가 노랫말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어 특이하다. 7. 본 연구에서 파악된 자연지명은 대구지역의 중심생태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뿐더러 각종 개발계획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생태공간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주목의 부위별 Taxol 함량 (Taxol Content in Various Parts of Yew Trees in Korea)

  • 변상요;강인선김공환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22-125
    • /
    • 1993
  • Taxol은 최근 항암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물질로서 매우 복잡하고 고 기능성을 갖는 diterpene 알칼로이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덕유산, 소백산, 태백산 및 수원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주목나무들의 부위별 taxol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소백산에서 채취한 주목나무에서 가장 많은 taxol 양이 분석되었다. 부위별로는 껍질, 잔가지, 잎 순으로 taxo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in Mt. Jabyeong)

  • 김병우;오영주
    • 동굴
    • /
    • 제61호
    • /
    • pp.17-46
    • /
    • 2000
  • Mt. Jabyeong(872.5m), limestone region in the Taebaek mountains, located in 37° 32'N, 129° 25'E and in Sangye-ri, Okgye-myeon, Gangreung-si and Samok-ri, Imgye-myeon, Jeongseon-gun, Gangwon-d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loristic composition from 1997 to 1998 in Mt. Jabyeong and report the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plants,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s and calci fuge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composed of 93 families, 313 genera, 3 subspecies, 57 varieties, 13 forms, 495 species, totaling 568 taxa. Among the vascular plants, 21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7 taxa were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 and calcifuge plants in this study area were composed of 21 families, 30 genera, 36 species and 14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The soil pH values of study site in Mt. chabyoung were ranging 7.4∼8, which showed that this site was a mostly limestone area with alkaline soil. And soil depth was formed to a relative thin layer, mostly 2~4cm thickness. This site showed high content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hich were ranging 40-45% and 15-25%, respectively.

  • PDF

RAPD 분석(分析)에 의한 전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유전변이(遺傳變異)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holophylla Max. Based on RAPD Analysis)

  • 김인식;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408-418
    • /
    • 1999
  • 전나무 천연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전적 구조를 추정하기 위해서 RAPD 표지자를 사용하였으며, 이의 통계적 분석에 AMOVA 방법을 이용하였다. 전나무 집단 전체의 평균 다형성 RAPD 표지자 비율은 71.9%였으며, 전체 변이량의 대부분은 집단내 개체간의 차이(80.2%)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집단간의 유전적 분화정도(${\Phi}_{ST}$)는 0.198로 조사되었다. 전체 집단을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두 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지역간 차이로 설명할 수 있는 변이량이 8.5%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rtlett 통계량에 의해 집단간 분산의 이질성을 조사한 결과, 태백산 집단과 가리왕산 집단이 특히 이 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태백산맥 지역의 집단들이 소백산맥 지역의 집단들 보다 상대적으로 유전적 이질성이 큰 것으로 나다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통계량과의 비교를 통해서 유전변이 분석에 있어서 AMOVA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발왕산, 태백산, 오대산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 군락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의 교목 아교목 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설악산 11, 22, 33종, 발왕산 15, 21, 33종, 태백산 10, 23, 36종, 오대산 14, 30, 3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전 조사지의 교목층은 주목과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주목, 분비나무, 시닥나무,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조사지에 있어서 종다양도는 교목층 0.834~1.234, 아교목층 1.125~1.32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오대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주목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의 형태적 형질의 지리적 변이 (: I. Geographic Variation of Morphometric Characters in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20
    • /
    • 1985
  • 태백산, 월악산, 팔공산 및 청주지역에서 채집한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를 사용하여 형태적 형질의 단변량분석 (univariate analysis)과 다변량분석 (multivariate analysis)을 행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은 서로 유사하여 동일아종임이 재입증되었다. 표본이 채집되었던 지역의 고도와 연관된 clinal variation이 discriminant analysis의 제일축(first axis)과 꼬리의 길이(length of tail vertebrae)에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