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all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초

Grovesiella abieticola (Tympanidaceae): an Unrecorded Endophytic Fungus from South Korea

  • Eo, Ju-Kyeong;Park, Eunsu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9-173
    • /
    • 2020
  • We report on an unrecorded endophytic fungus, Grovesiella abieticola (Zeller & Goodd.) M. Morelet & Gremmen isolated from Abies koreana of Mt. Halla in Jeju. In this study, we used a culture method to determine its conidia and compared relative species using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 2, and 5.8S ribosomal DNA sequence. Thus, we 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of G. abieticola in this paper.

남한의 산림생태계에 있어서의 낙엽의 분해모델 (A Model for Litter Decomposition of the Forest Ecosystem in South Korea)

  • Park, Bong Kyu;In So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1_2호
    • /
    • pp.38-51
    • /
    • 1981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estim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precipitatiion, and time on the decomposition of litters with litter bags of Pinus densiffora and Quercus mongolica at Gure where elevation in 50m, and at Nogodan where elevation in 1300m on Mt. Jiri. As the above results, decomposition model was proposed to rel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was investigated the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of litters from the stands of various forest communities in Kwangneung, Mt. Jiri and Mt. Hal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dels for the decay of organic carbon (C) was as follows: $C=Coe^{-Kt}$ (limiting factor;time) $C=Coe^{-K'te}$ (limiting factor;tempedrature) $C=Coe^{-KnP}$ (limiting factor:precipitation) As observed in litter bag method, the decomposition rate of litter in Pinus densiflora was slower than that of Quercus mongolica. The higher elevation, the slower decomposition rate. The decomposition of litters at Gure where elevation in 50m was equally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But at Nogodan where elevation in 1300m was much inflenced by precipitation. The decay constant of litters was larger in hardwood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In the same species, the more elevatiion, the less decomposition constant. The time required for the decay of 50%, 95^, 99% of the accumulated litters in the forest floor were faster in hardwood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In the same species, the higher elevatiion, the longer time required.

  • PDF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 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자연환경 평가 -II. 국내 자연공원과 울릉도의 식물군을 이용하여-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I. Based on the Plant Taxa of the Natural Parks and Ulleung island-)

  • 김철환;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49-58
    • /
    • 2001
  • 여러 자연공원의 환경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이용하였다. 식물군의 각 등급의 중요도에 따라 V등급을 구성하는 식물에는 20점, W등급 10점, III등급 5점, II등급 3.3점 그리고 I등급의 식물군에는 2.5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였다. 조사된 자연공원지역의 식물군에 따른 전체 평가점수의 순서는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덕유산, 울릉도, 소백산, 오대산, 팔공산, 치악산, 태백산, 속리산, 주왕산, 가야산, 두륜산, 계룡산, 북한산, 내변산, 월악산, 내장산, 청량산, 내 연산, 명지산, 조계산, 무등산, 월출산, 금오산, 주흘산, 비슬산, 황매산, 장안산, 선운산, 모악산, 선암산, 칠갑산 및 기백산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식물군에 따른 자연환경은 1,000점 이상을 얻는 한라산-덕유산은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700-1000점을 얻는 울릉도-오대산은 비교적 우수하고 500-700점을 얻는 팔공산-가야산은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300-500점을 얻는 두륜산-무등산은 보통으로 평가하였으며 300점 이하의 점수를 얻는 월출산-기백산은 열세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립공원의 식물군의 평가점수가 도립과 국립공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릉도는 총 150개의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이 분포하고 그에 따른 평점은 882.9점으로 집계되어 IUCN의 기준에 따른 환경부의 자연생태계 보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울러 여러 자연환경을 감안하면 자연풍경자원 우수형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울릉도는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국립공원으로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의 우수성의 판단을 의미하는 편견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안을 통해 기밀성 침해의 우려가 있는 메시지 명령어를 차단하고, 기능 명령어 차단에 의한 자원의 기밀성을 해결하였다.성 다한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교통가지 절제술에서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보상성 다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통가지 절제술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0.05), 면류(p<0.01)와 종류별로는 덮밥, 짜장밥(p<0.01), 해장국, 컵라면(p<0.05)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26세 이상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가공식품을 접하게 된 동기는 'TV광고', '호기심 ', '친구/가족들의 권유와 소개', '신문이나 잡지광고', '인터넷광고 및 홍보' 등의 순이었으며, 즉석가공식품의 구매장소로는 '편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네 인근슈퍼', '대형마트', '백화점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또는 비조리전공학생이 조리관련전공 학생보다 즉석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분화 고객에 대한 제품 개발과 홍보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일부 즉석가공 식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율이 높은 점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적극적인

  • PDF

위도와 해발고에 따른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고정량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orea with Respect to Latitude and Altitude)

  • 권기철;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99-308
    • /
    • 2006
  • 본 연구는 위도와 해발고에 따른 우리나라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고정량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해발 1,300 m, 1,000 m, 800 m),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지역(해발 350 m),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지역(해발 300 m),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지역(해발 800 m),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은 2,916~6,550 GJ/ha이고,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250~440 GJ/ha이다.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과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가 낮을수록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연간 에너지 고정량과 환경 인자간의 상관관계는 온도, 해발고, 임령, 사면 등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