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Gariwang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원식생 복원을 위한 산림표토내의 매토종자 적정 활용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 김남춘;김호연;최미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201-21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rest topsoil's usefulness from July 2013 to Oct 2014. Generally, there are abundant seeds in topsoils and it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Mt. GARIWANG is famous for biodiversity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suitable utilization methods of natural topsoils for restoration works at sky-slopes construction sites. Test beds was made to identify suitable collecting times and suitable topsoil thicknes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t. GARIWANG have diverse species and in topsoils we can find lots of burried seeds which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Second, according to indoor experiment, as the depth of topsoil used thicker, the number of plants and coverage rates were increased. Also,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coverage rates between 5cm and 8cm thick topsoil plots and it can be possible to use at least 3cm thick topsoils even thou lower coverage rates. Third, as the results of research about indoor and outdoor experimental plots, there were difference in plant emergency. If we use the stabilizer to protect soil erosion, then we can get more increased results at sloped outdoor experimental plots. Fourth,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re was 389 species in whole region of Mt. GARIWANG. Through this seed bank experiments, we can find 23 varieties, including 4 tree varieties and 19 herbaceous varieties. We can find lots of native herbaceous species from topsoils. Fifth, this research was done at the specific area of Mt. GARIWANG and used limited topsoils. But we monitoring more longer periods, then there will be more useful outcomes. Finally by researching topsoils of Mt. GARIWANG, we can find diverse native plants. Thus, we must reuse natural topsoils of Mt. Gariwang for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과 생태관광의 회복력(resilience)에 대한 시스템 사고 (System Thinking in the Resilience of the Ecosystem and Ecotourism of Mt. Gariwang Based on the Controversy around the Venue Construction for PyeongChang 2018 Olympic)

  • 전대욱;전진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5권3호
    • /
    • pp.61-79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thinking in the resilience of the SES (Social-Ecological Systems) around Mt. Gariwang, located in Jeongseon County, Gangwon Province, in particular with the disturbance that a new ski slope is planned to be built for the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It first performs a literature survey and newspaper article search to summarize the controversy with regards to credibl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al impacts of the plan, and then elaborates a series of CLDs (Causal Loop Diagrams) to infer the dynamics of the impacts. The results imply that the natural restoration seems to be hard because the development activities can cause a great deal of damage to the ecosystem mainly due to soil degradation and the mitigation of icy valley effects with water exploitation for making artificial snow and so on. Moreover most of the households near the planned site seem to leave with land compensation, thus more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ecosystem and the nearby society based on ecotourism.

  • PDF

Genotyping of the Wild Mushroom Lentinula edodes from Mt. Jungwang and Mt. Gariwang in Korea

  • Jeong, Yeun Sug;Jang, Yeongseon;Ryoo, Rhim;Kim, Ki-Hwan;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9-295
    • /
    • 2016
  • Lentinula edodes is an edible wild mushroom that can be found in mountainous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ild oak mushrooms were collected from Quercus mongolica at an elevation of more than 1,000 m on Mt. Jungwang and Mt. Gariwang in Gangwon province. We examined 10 oak mushroom strains to evaluate the genetic similarity among strains. Genetic similarity was deter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microsatellite markers (Led A2, Led A8, Led B2, Led B6, and Led D6) registered in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We also performed dual culture tests on potato dextrose agar for 2 months at $25^{\circ}C$. The observed heterozygosity across all microsatellites ranged from 0.00 and 0.60 among 5 microsatellite markers, and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values of Led A2, Led A8, Led B2, Led B6, and Led D6 were 0.0000, 0.8144, 0.6194, 0.4892, and 0.5702, respectively (mean value = 0.4987). Confrontation lines between strains were formed for almost all combinations. In conclusion, the oak mushroom populations of Mt. Jungwang and Mt. Gariwang have mixed gene pool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genetic similarities and variations among these populations.

광릉숲, 태화산, 가리왕산 활엽수림에서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 추정 (Estimation of Specific Leaf Area Index Using Direct Method by Leaf Litter in Gwangneung, Mt. Taewha and Mt. Gariwang)

  • 권보람;전지현;김현석;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
    • /
    • 2016
  • 광릉숲, 태화산 서울대 학술림, 가리왕산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연간 낙엽 낙지 생산량과 가을철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산출하고, 간접적인 방법의 것과 비교하였다. 연간 낙엽 낙지 생산량은 천이 단계 증가에 따른 임분의 바이오매스 축적량이나 수종구성 등에 따라 그 양과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Table 2), 특히 수종마다 낙엽의 양에 차이는 있지만 모든 임분에서 여름철 이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Fig. 1), 가을철의 한시적인 낙엽 수집만으로도 최대 엽면적지수의 추정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러한 낙엽의 수집으로 낙엽의 양 뿐만 아니라 수종마다 SLA와 탈락시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고(Table 3), 간접방법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각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국내 최초로 산출 할 수 있었다(Fig. 2). 본 연구를 통하여 수종별 낙엽량과 엽면적지수는 각 수종의 흉고단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간접방법에 의한 전체 엽면적지수를 흉고단면적의 비율을 곱하여 수종별 엽면적지수로 추정하는 것은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Fig. 3). 또한 간접방법에 의한 엽면적지수는 잎의 양이 늘고 밀집도가 높아질수록 과소평가되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Fig. 4, 5), 직접방법에 의한 엽면적지수와의 평가는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낙엽에 의한 직접적인 엽면적지수의 측정을 시도함으로써 다양한 수종이 공존하는 우리나라 온대 활엽수림에서 임분의 수종 구성과 밀도, 천이단계, 입지환경 등에 따른 낙엽량과 수종별 엽면적지수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아고산대 사스래나무군락의 식물군집구조 분석 연구 (The Structure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of Betula ermanii Community in Subalpine)

  • 윤다움;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50
    • /
    • 2024
  • 강원도 가리왕산, 발왕산, 방태산, 함백산의 아고산대에서 출현하는 사스래나무군락 25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 결과,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의 총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Group I)은 해발 1,082~1,192m 방태산 등산로 주변에 위치하고,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Group II)은 해발 1,230~1,373m 방태산, 가리왕산, 함백산의 능선과 사면에 위치한다. 사스래나무-신갈나무군락과 사스래나무-당단풍나무군락은 현재 교목층에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쟁 관계인 신갈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Group III)은 해발 1,428~1,464m 함백산과 발왕산 정상부 전석지에 위치한다. 현재 사스래나무 세력이 매우 우세하고 차세대 형성도 활발하여 앞으로도 사스래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스래나무군락은 일반적으로 해발 1,000m 이상에서 출현하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사스래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설악산 대청봉 및 지리산 반야봉 아고산대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1.210~1.293, 균재도는 0.698~0.795, 우점도는 0.208~0.302로 나타났다.

Effects of Deforestation Practice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Herpetofauna in Mt. Gariwang, South Korea

  • Choi, Woo-Jin;Park, Il-Kook;Kim, Jong-Sun;Koo, Kyo-Soung;Lee, Jung-Hyun;Park, Chan-Woo;Yang, Hee-Moon;Park, Dae-Si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88-191
    • /
    • 2018
  • To know if deforestation practice affects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herpetofauna in Mt. Gariwang, South Korea, we conducted field surveys over 12 times both at deforested (n=9 sites) and un-touched (control, n=12 sites) forest areas from March to October, 2017. Each survey site was approximately $100m\;long{\times}20m$ wide area, which in the middle of the site, mountain road presented. During each survey, we recorded the species and the number of amphibians and reptiles which identified. To compare environments between the two areas, we analyzed eight environmental variables, extracted from digital sources. Overall, we found one amphibian and four reptile species at deforested area, while each five amphibian and reptile species at un-touched area. The number of amphibian species significantly tended to be smaller at deforested area. The number of the survey sites where amphibians found and the number of amphibian individuals showed the same trend. For reptiles, although the number of reptile individuals showed some increases, all variables investigated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deforestation practice. Our results imply that deforestation practice negatively affects amphibians, but effects of that on reptiles are not evident.

Fungal Clusters and Their Uniqueness in Geographically Segregated Wetlands: A Step Forward to Marsh Conservation for a Wealth of Future Fungal Resources

  • Park, Jong Myong;Hong, Ji Won;Lee, Woong;Lee, Byoung-Hee;You, Young-Hyun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351-363
    • /
    • 2020
  • Here, we investigated fungal microbiota in the understory root layer of representative well-conserved geographically segregated natural wetlands in the Korean Peninsula. We obtained 574,143 quality fungal sequences in total from soil samples in three wetlands, which were classified into 563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 5 phyla, 84 genera. Soil texture, total nitrogen, organic carbon,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were variable between geographical site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gal phyla distribution and ratio, as well as genera variation and richness between the wetlands. Diversity was greater in the Jangdo islands wetland than in the other sites (Chao richness/Shannon/Simpson's for wetland of the Jangdo islands: 283/6.45/0.97 > wetland of the Mt. Gariwang primeval forest: 169/1.17/0.22 > wetland of the Hanbando geology: 145/4.85/0.91), and this variance corresponded to the confirmed number of fungal genera or OTUs (wetlands of Jangdo islands: 42/283> of Mt. Gariwang primeval forest: 32/169> of the Hanbando geology: 25/145). To assess the uniqueness of the understory root layer fungus taxa, we analyzed fungal genera distribution. We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fungal genera common to two or three wetland sites was relatively low at 32.3%, while fungal genera unique to each wetland site was 67.7% of the total number of identified fungal species. The Jangdo island wetland had higher fungal diversity than did the other sites an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uniqueness among fungal genera (Is. Jangdo wetland: 34.5% > wetland of Mt. Gariwang primeval forest: 28.6% > wetland of the Hanbando geology: 16.7%).

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Kalopanax septemlobus (Thunb.ex Murray) Koidz. in Gangwon-do)

  • 이철호;최영철;김세현;권기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7-242
    • /
    • 2000
  • 음나무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체목 단위로 산재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나무의 군집을 탐색하고, 인위적 간섭이 적고 보전상태가 양호한 강원도 흥정산, 발왕산, 가리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토양특성 등의 물리적 환경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1. 음나무 자생지의 입지환경 조사 결과 분포범위는 해발고 780~1,300m의 북서, 북동 및 북향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산복-사면에 위치하였으며, 토양 산도는 5.81($\pm$0.05)로 비교적 중성에 가까운 토양이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평균 22.30($\pm$8.1)(me/100g), 유기물함량 8.63($\pm$0.48)%로 비옥한 토양이였다. 2. 음나무의 평균 연륜 생장량은 1.60~2.41mm/year으로 발왕산이 2.41mm/year로 가장 높고, 가리왕산 1.98mm/year, 흥정산 1.60mm/year 순으로 생장량을 나타냈다. 초기 20년간의 생장량은 평균 생장량 보다 컸으나, 그 후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TWINSPAN에 의한 군집의 분리는 지역간의 군집분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음나무림의 평균 상대우점치 (MIV)는 흥정산지역 24.55%, 가리왕산지역 29.25% 그리고 발왕산지역 38.28%로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1.3124~1.3992 범위를 보여 대체적으로 3개 지역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음나무 층위별 분포형(Morista's index)은 교목층, 아교목층 및 관목층이 각각 0.9629, 2.9570, 20.5419로 나타나 교목층은 임의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다양성 분석 결과 상대우점도의 범위가 0.1476~0.2065으로 몇몇 종에 의한 단순림을 이루지 않고 다수의 종에 의해 혼효되어 자생하고 있으며, 유사도지수는 64.31~64.54% 범위로 3개 조사지역간에 식생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조사지의 상대우점치를 이용한 종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음나무는 사스레나무, 물참대, 까치박달나무 그리고 들메나무와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린재나무 1%, 쪽동백, 고로쇠 나무, 나래회나무, 느릅나무는 5%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태적 지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7. 직경급 분포에 의한 개체군의 생육 동태를 예측한 결과 흥정산 지역은 정규분포를 보여 앞으로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며, 발왕산의 경우에도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출현하여 음나무림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가리왕산의 경우는 치수나 어린 개체가 출현이 되지 않고 중경급과 높은 직경급의 개체의 밀도도 높지 않아 앞으로 이 집단에서는 음나무 집단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irst Report of Ceriporiopsis resinascens (Phanerochaetaceae, Basidiomycota) in Korea

  • Lee, Jin-Sung;Woo, Eun-Ju;Lim, Young-Woon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305-307
    • /
    • 2009
  • An unrecorded Ceriporiopsis species was collected at Mt. Gariwang, Gangwon Province, in 2008.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 fully resupinate basidiocarp, a reddish white to pinkish poroid hymenophore and a monomitic hyphal system with clamp connections, the species was identified as Ceriporiopsis resinasce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eriporiopsis resinascens in Korea. We confirmed the identity of the species as Ceriporiopsis resinascens based on ITS sequence analysis.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gchang-gun)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3-499
    • /
    • 2010
  •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