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bir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동림저수지에서 월동조류 개체군의 시계열적 변화와 환경 요인 (Temporal variation of wintering bird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Donglim reservoir)

  • 박종철;김우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29
    • /
    • 2017
  • 본 연구는 동림저수지에서 지난 18년(1999~2016)동안 1월에 조사한 조류자료를 대상으로 시계열적 변화와 환경 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자료는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를 활용하였고, 연도별 개체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환경 요인은 1월 평균 기온과 평균 저수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류의 개체군 변화는 2개의 물새 그룹과 산새 그룹 1개의 증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물새 그룹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시기는 산새 그룹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시기에 비해 월평균기온이 $1.4^{\circ}C$ 이상 높았다. 이에 비해 저수율의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기온의 영향을 받는 가창오리의 도래 여부는 나머지 하나의 물새 그룹과 산새 그룹에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기온 변화가 조류의 광역적인 공간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가창오리와 같이 개체군이 큰 종 또는 무리의 이동은 조류의 지역적인 종구성과 개체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광역적인 규모에서의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종 분포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지역적인 규모에서 조류 개체군의 시계열적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로로부터 거리가 다른 지역에서 번식기 조류군집의 차이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Caused by Different Distance from the Road)

  • 허위행;임신재;이우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29-33
    • /
    • 2003
  • 도로의 건설로 인해 산림생태계의 단절이 발생한 백두대간의 진부령, 진고개, 삽당령, 백복령, 화방재, 이화령, 덕산재, 여원재 등 8개 국도 지역에서 번식기 조류군집을 대상으로 2002년 4월부터 6월까지의 기간동안 도로로부터 거리가 다른 지역별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가까운 지역보다 먼지역에서 관찰된 종수와 개체수가 많았다. 또한 길드 구조의 분석 결과 도로의 인접지역이 도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보다 나무구멍 둥지자원과 수관층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다. 이는 도로의 건설로 인해 조류의 서식지 환경이 변화하게 되고 그 결과 조류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성 조류의 번식기 음성녹음을 이용한 조류군집 평가 (Evaluation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in the Breeding Season by using the Sound Recording System)

  • 유승화;한현진;김동원;주우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6
    • /
    • 2018
  • 번식기 조류 조사(Breeding Bird surveys)는 생태계 내 군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물다양성이 급변함에 따라 산림성 조류조사 데이터의 정확성 및 공간적인 확대와 시계열적 모니터링을 위해 음향 센서 등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와 현장 조류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시기 산림성 조류의 군집 다양성 평가에 음향 녹음 센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현장조사 및 녹음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지역의 곰배령과 조침령, 그리고 소백산지역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권역 48개 지역, 186개 지점이었다. 녹음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개체수, 울음소리 횟수는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의 종의 수, 개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음성의 횟수는 현장조사(관측과 청음 병행)에서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종균등도와는 약한 상관관계 혹은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음성녹음 자료를 분석할 경우 조류군집의 종조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번식기의 음성녹음에 비하여 번식기의 음성녹음은 녹음결과와 종다양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the Assessment of Closed Trails at National Park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 Kim, In-Kyu;Lee, Joon-Woo;Cho, Woo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habitat status of wild birds at closed-trails and the control group of opened-trails in the national park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After evaluating each area based on this, it's aimed at being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opening of trails. Upon field investigations and analyzing existing literary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total of 76 bird species living around the trails.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60 species can breeding and 10 species are protected by law. Upon assessing the scores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tandards of this study, Area I had 7 scores, area II had 13 scores, area III had 5 scores, and area IV had 16 scores, showing that the control group open-trail area IV between Jeongryeongchi and Seongsamjae had the highest score, and that area III of Wolyeongdae~Chotdaebong~Daeyasan~Miljae~Wolyeongdae had the lowest score. Evaluation of closed-trail according to wild bird species (Avifauna) was attempted in this study, but there were more bird species living in open-trails, while also having higher evaluation scores. Therefore, if opening trail is needed in the future due to excessive desires of visitors or inevitable social demands, it is judged tha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mammals highly affected by people should be evaluated to open up the sector with the lowest score. Also, it is judged that through methods such as reservation systems, the number of visitors should be controlled or night-time hikes should be prohibited so that nocturnal wildlife can freely use the trails.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QuickBird 다중분광자료를 이용한 산림 지형효과의 NDVI 특성 (NDVI signature for mountain forest in accordance with topographic effects using QuickBird multi-spectral data)

  • 홍민기;박순철;김광득;윤창열;김천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18
    • /
    • 2010
  • 위성 주사 및 촬영자료는 지표면의 반사광을 다중분광 형태로 주사하여 기록된다. 그리나 각 밴드에 기록된 지표복사체의 반사치는 피복체의 분광특성만을 나타내기 보다는 태양고도 및 방위, 그리고 지형 등에 따른 방향성 영향이 포함되기 때문에 산림의 관리 및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식생지수를 추정할 때에 오차의 범위를 넘어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동일 방향성 조건의 수종에 따른 고유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이하 NDVI)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형효과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QuickBird 다중분광(MS)자료 기반의 NDVI값을 사면향별로 분석하여 산림 NDVI의 방향성을 증명하였다.

  • PDF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Yangdong Traditional Village

  • Shin, Snag-Sup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09
    • /
    • 2003
  • Yangdong village is located at Kangdong-myun, Kyungju, Kyungsangbuk-do, Korea. There are two major families, the Sons of Wallsung beginned from Son, So(1433∼1484) and the Lees of Yeohkang the descendant of Lee, Unjeok. They are lived together under check and help for 500 years. The village located on the hill of Ankang plain. There are Homyung mountain and Sonaiu peak in front of it and Solchang mountain on the back. 47 shaped ridges form Blue dragon to the east, and White tiger to the west. Ahnrockchon flows from north Joined Hyungsan river and flows into Youngilman. Therefore the village is located at mountain on it's back and along with stream. Buildings are deployed on the valley between hills, it is not easily detected, but it give it's atmosphere of mountain village. Villag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combined with natural environment, folk belief, feng-shui, and social system of confucianism. Blended buildings affected between ruling and ruled classes or among different families shown environmental design accomplishing united cultural space. The prospect of Yangdong village, a mountain village, expressed two sides of visible scenery of open inside and invisible from outside. Observation point such as head family house, pavilion, and village school are deployed at the point taking bird's-eye view, which striving mental stability.

도로개발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 (Planting Plan of Ecological Corridor at Destroyed Mountain Area as a Result of Road Construction)

  • 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1-337
    • /
    • 2002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시 학고개지역에서 도로건설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의 브릿지형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대상지 및 주변지역 자연생태계 조사 분석단계와 식재계획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자연생태계 조사분석은 지형구조, 식물군집구조, 동물서식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식재계획은 이동종선정, 식재공간구분 및 개념, 식재종 및 식재밀도를 제시하였고, 식재기본계획도를 작성하였다. 대상지의 지형구조는 산림능선을 훼손한 급경사 지형에 브릿지형의 생물이동통로 유형 조성이 가능하였고 동물의 이동은 생물이동통로 양쪽 끝부분에만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은 도로를 기점으로 동서 지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이들 두 지역 모두 산복과 산록부는 졸참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이었으며, 능선부에는 소나무림이 토지극상으로 분포하였고 이들 두 지역간 유사성도 높은 상태이었다. 야생동물서식구조는 야생조류와 일부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야생조류는 총 7종 57개체, 설치류는 2종 2개체가 관찰되었다. 식재계획에서 이동목표종은 야생조류와 일부 포유류로 설정하였고, 이들 종의 이동을 위한 식재공간은 야생조류 이 동 및 서식 공간과 포유류 이동지 역 을 구분하였으며 , 세부적으로 완충지역으로 브릿지 입출구 사면지역의 관목식재지, 차폐식재지, 양쪽 산림지역과 연결된 급경사지역 초본식물 군락식재지, 야생동물 유도식재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군락식재지, 포유동물 이동을 위한 군락식재지, 야생조류 서식처 조성을 위한 군락식재지로 구분하였다. 식재종은 주변산림지역에서 상재도가 높은 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각 공간별 식재밀도를 고려하여 식재기본계획도를 작성하였다.

Evaluation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by using a Sound Recording System -Verification for the Avifauna evaluation in the non-breeding season -

  • Yoo, Seung-Hwa;Han, Hyun-Jin;Kim, Dong-Won;Joo, Woo-Young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4-183
    • /
    • 2015
  • We have conducted a verification test of correlation between bird community indices and bird sound recording results in order to use the equipment which deals with the automatic sound collecting system, the song meter. The study areas include four sites which are Gombaeryoung and Zochimryoung in Jeombongsan Mountain and Jookryoung and Gochiryou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We collected the bird sound data five times using a sound recorder and field survey results in the same place of the study site. As a result of the sound recording from the field survey, the species recorded by three researchers of sound analyst include common resident species or species which have a relatively conspicuous call and song. On the contrary, the species recorded by only one researcher are a relatively rare or inconspicuous species or was familiar with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ach researcher. The number of species recorded by only one researcher totaled fourteen species (36.8 %), and that of two researchers totaled twelve species (31.6 %), and that of three researchers totaled twelve species (31.6 %). The correlations of the number of species among three researchers was not significant in some results, but the sum or maximum count of the number of species was useful to estim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researchers and the indices of field survey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sound recordings,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among the three researcher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the species abundance index in the field survey at the same site, however it did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evenness index. As a result of sound analysis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ound recording system; song meter, the number of frequencies in bird songs and call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field survey at the same site. The number of calls and songs decreased as time went by. Finally, we could test the active time range and change the activity strength by using a sound recording system. In particular, that sound recording system is able to collect data in same time and site, so it is expected so that the equipment not only replenish a shortage of researchers and survey periods in field research in a short term monitoring survey, but also be able to acquire statistical objectivity.

서울시 우면산 도시자연공원내 도시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생태공원 조성기법 (Creation Techniques of Ecological Park to Consider Urban Forest Ecosystem in Woomyeonsan Urban Nature Park, Seoul)

  • 이경재;이수동;장종수;안인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9-96
    • /
    • 2005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echnique of ecological park to compatible mountain ecosystem near the urban in Woomyeonsan Urban Nature Park. It was proposed to differential technique from established ecological park focused on changing the cognition of nature, wetland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and studying by served sound leisure program(nature observation and experience, etc.), in compatible mountain and urban forest near the Urban. Firstly, to achieve this aim, it was carried out delicated research and analysis that were the angle of inclination, trail, fauna, actual vegetation, bird and insect, and then to selected nature trail course and analysis capability through it.. In the basic concept and plan, firstly to make park aid mark and foundation mark, and then to establish the detail programs, nature observation program, management and organization program. This site where valley and mountain coexist was highly capable but whole site was very steep, so usable area is very narrow. To make Woomyeonsan nature ecological park escape from the established wetland type, ecological park and the park of event have to use nature material and introduce visitor. To establish it as the Nature Culture observation park and reflect on forest, valley of Woomyeonsan was divided into three display places; Nature ecosystem Zone, Meditation Zone, Nature Culture experience Zone and Nature Culture observation Center. For satisfying with ecological park aid mark and foundation mark, it was proposed to settle management plan for volunteer control and organization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