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evoked potentials (MEP)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 김종만;양병일;이문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24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AOPT) on manual dexterity and corticomotor facilitation in stroke patients. Ten hemipar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participate the three conditions; base condition (Base), physical training (PT), AOPT.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serve the action in the video that a therapist moved the blocks during the AOPT conditions. Corticomotor facilitation was determined in three conditions by monitoring changes in the amplitude of motor-evoked potentials (MEPs) elicited in hand muscles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MEP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after participants attended to three conditions. For the manual dexterity,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Ps amplitude significantly tended to be larger than PT and Base condition. The scores of BBT in the AOPT condi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finding of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physical training for observation of an action is beneficial for enhancing a dexterity of paretic arm in stroke patients.

Evidence of Cortical Reorganization in a Monoparetic Patient with Cerebral Palsy Detected by Combined Functional MRI and TMS

  • ;장성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96-103
    • /
    • 2005
  • 뇌성마비로 인해 오른 손에서 단부전마비를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장치와 경두개 자기 자극기를 사용하여 운동신경의 회복기전을 연구하였다. 대상자는 21세 된 남자 환자로 오른손에 경미한 운동 기능의 손상을 보였고,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에서 좌반구의 precentral knob에서 병변을 보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촬영은 한 명의 대상자와 여덟 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헤드코일을 사용하여 1.5 T의 장치에서 BOLD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운동 수행은 1 Hz 주기로 손가락의 굴곡과 신전을 반복하는 과제가 제시되었다. 경두개 자기 자극은 원형 코일을 사용하여 코일의 앞쪽 부분이 대상자의 두피에서 1 cm 정도 떨어진 정접 부위에 적용되었고 양측의 짧은엄지벌림근에서 발생된 운동 유발 전위가 동시에 측정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의 결과에서 환자의 비손상측(좌측) 손과 정상군의 좌측 손의 운동 수행 시 오른쪽의 일차운동감각영역(SM1)의 precentral knob에서 활성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의 손상측(우측) 손의 운동 수행 시, 좌측 일차운동감각영역의 손상된 precentral knob 내측 부위에서 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경두개 자기 자극의 결과에서 손상측 짧은엄지벌림근에서 발생된 운동 유발 전위에 해당하는 뇌 부위가 환자의 정상측과 비교하여 1 cm 내측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손상측 손의 운동 기능이 손상된 precentral knob의 내측 부분으로 전위되어 신경재구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