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la punctulat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들깨류사 종.속 수집 유전자원의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 (Leaf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llected Perilla Related Genus and Species Germplasm)

  • 곽태순;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8-333
    • /
    • 1995
  • 들깨관련 종·속 수집 유전자원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자소(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축면자소(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Decaisne), 청자소(Perilla frutescens var. Kudo for viridis Makino), 들깨풀(Mosla punctulata Nakai), 산들깨(Mosla japonica Maxim) 및 쥐깨풀(Mosla dianthera Maxim)에 대한 잎품질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들깨관련 종·속 가운데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속 유전자원보다 주경엽수가 많았고 길이에서 3배 정도, 폭에서 약 5배 정도 컸었다. 2. 들깨관련 종·속 모든 수집 유전자원이 들깨보다 방향성 정도가 높아 방향성 개량육종의 교배재료로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3. 잎의 유연성 면에서는 Perilla속 유전자원이 Mosla 속 유전자원보다 부드러웠다. 4. 종실성분함양에서 들깨에 비하여 들깨관련 수집 종·속의 기름과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리놀렌산 함량이 높아서 공업용 또는 의약용을 위한 고리놀렌산 들깨품종개량의 교배재료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5. 수집 Perilla속 유전자원의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과 기름함량, 단백질함량 그리고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수종의 생약추출물이 PC12 Cells 중의 Dopamine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Dopamine Content in PC12 Cells)

  • 신정수;김영호;배기환;김학성;이명구
    • 생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5-270
    • /
    • 1998
  • The effects of MeOH extracts of ninety kinds of medicinal herbs on dopamine content in PC12 cells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the MeOH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40\;{\mu}g/ml$ of Symplocarpus renifolius, Adenocaulon himalaicum and Mosla punctulata decreased $38.5{\sim}60.0%$ of dopamine content. Tyrosine hydroxylase, the rate-limiting enzyme of the catecholamine biosynthesis,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the MeOH extracts of Symplocarpus renifolius, Adenocaulon himalaicum and Mosla punctulata ($19.9{\sim}31.3%$ inhibition at $40\;{\mu}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bioactive herbal medicines exhibited partially an inhibitory effect on dopamine biosynthesis by the reduction of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in PC12 cells.

  • PDF

순형과(脣形科) 종실유(種實油)의 지질분획별(脂質分劃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Lipid Classes of Seed Oils of the Labiatae Family)

  • 조용계;이왕경;임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3
    • /
    • 1988
  • Contents of total lipids,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of seed oils of 16 species of the Labiat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ipid contents of seeds were shown to be 40.6% in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32.2%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31.9% in lsodon japonicus, 32.7% in l. inflexus, 48.3% in l. serra, 35.1% in Mosls dianthera, 38.2% in M. punctulata, 33.4% in Nepeta cataria, 26.3% in Agastache rugosa, 30.9% in Eisholtzia ciliata, 18.9% in Salvia splendens, 23.9% in Lycopus maackianus, 49.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30.9% in Ametystea caerulea, 33.1% in Leonurus sibircus and 34.3% in Scutellaria basicalensis. 2) Contents of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rom the seed oils amounted to 98.6%, 0.7%, 0.8%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95.5%, 1.3%, 3.1%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95.1%, 1.8%, 3.1% in l. japoincus; 91.4%, 3.5%, 5.1% in l. inflexus; 96.8%, 0.7%, 2.5% in l, serra; 96.0%, 1.8%, 2.2% in Mosla dianthera; 94.7%, 2.0%, 3.3% in M. punctulata; 90.1%, 2.4%, 7.5% in Nepeta cataria; 90.1%, 3.4%, 6.5% in Agastache rugosa; 86.3%, 3.3%, 10.4% in Elsholtzia ciliata; 94.3%, 1.5%, 4.3% in Salvia splendens; 87.2%, 2.9%, 9.0% in Lycopus maackianus; 87.0%, 1.5%, 11.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91.8%, 1.6%, 6.6%; 95.5%, 0.4%, 4.1% in Leonurus sibricus; 89.0%, 1.4%, 9.6% in Scutellaria baicalensis. 3) Total lipids revealed the predominace of unsaturated fatty acids (82.0-94.5%) and larger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mposition of ${\alpha}-linolenic$ acid (0.4-67.9%) and linoleic acid (11.2-82.9%). High level of ${\alpha}-linoenic$ acid was present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67.9%),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66.0%), lsodon japonicus (65.2%), l. inflexus (59.0%), l. serra (57.3%), Mosla dianthera (60.9%), Nepeta cataria (58.3%), Agastache rugosa (58.5%) and Elsholtzia ciliata (46.2%), and followed by linoleic acid (11.2-32.1%) and oleic acid (9.3-12.2%). However,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in the total lipids of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62.4%), Ametystea caerules (82.9%), Leonurus sibricus (60.9%) and Scutellaria baicalensis (63.4%), with very small amounts of ${\alpha}-linolenic$ acid (0.4-3.1%). The total lipids of Salvia splendens, Lycopus maackianus and Mosla punctulata also contained linoleic acid of 31.3%, 48.8% and 53.4%,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alpha}-linolenic$ acid of 34.5% 27.0% and 16.7%. Palmitic acid was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in all the oils investigated (4.1-14.2%). 4) Fatty acid profiles of neutral lipid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total lipids in all the seed oils, but different from those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atty acid composition pattern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showed a considerably increased level of saturated fatty acids (19.0-66.8%, 17.8-35.2%) mainly composed of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and a noticeable low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41.2-80.9%, 64.7-82.1%) which was ascribed to the decrease in ${\alpha}-linolenic$ acid of high ${\alpha}-linolenic$ acid seed oils, and in linoleic acid of high linoleic seed oils, compared to that of total lipids and neutral lipids.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 식생 특성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 강병화;마경호;심상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03
  • 휴경지의 식생 특성을 묵밭과 묵논과 같이 토양의 수분상태가 다른 조건과 휴경 연차에 따라 조사하였다.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컸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다년생으로의 천이가 빠르게 일어났다. 천이 단계는 휴경 기간보다 휴경지의 토양 조건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묵밭의 경우 휴경 2년차에 우점하였던 돌콩, 칡, 쑥, 새팥 노랑물봉선 등은 휴경이 6년간 진전된 경우 칡, 억새, 돌콩, 쑥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변하였다. 논을 건답상태로 휴경한 경우 3년차에는 들깨풀, 돼지풀i 강아지풀 등이 주요 우점 초종이었으나 7년차에는 억새, 미국쑥부쟁이, 쇠치기풀 등이 우점하여 다년생으로 천이되었다. 논을 습답 조건으로 휴경한 경우 수생 잡초가 우점하였다. 7년차에는 갈대, 돌콩, 부들, 고마리가 우점하였으나, 11년차에는 갈대, 줄, 고마리, 부들이 우점하는 초종이었다. 휴경지의 식물종 다양성은 건조한 토양 조건보다 다소 습한 조건의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건조 자생식물 종별 꽃다발 이용 가능성 검토 (Study of Dried Korean Native Plants Using for Floral Clusters)

  • 손관화;권혜진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66-274
    • /
    • 2008
  • 건조 후 장식용 꽃다발을 만들기 적합한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충남 성환을 중심으로 지리산, 설악산, 제주도 등 한국의 여러 지역을 탐사하여 70여 종류의 식물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식물을 자연건조한 후, $22{\times}22{\times}37cm$ 포장상자에 맞는 사방형 핸드타이드 반구형 꽃다발로 상품가능성이 있는 식물은 37종류였다. 조사된 37종류의 식물 중 개밀, 새, 산조풀, 오리새, 피, 왕바랭이, 띠, 참억새, 억새, 큰쥐꼬리새, 수크령, 큰조아재비, 갈대, 포아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나래새의 17종이 포함된 화본과 식물이 가장 많았고, 사철쑥, 인진쑥, 산쑥, 사자빌쑥, 물쑥, 감국, 각시취의 7종이 포함된 국화과 식물이 두 번째였으며, 그 외 냉이, 다닥냉이, 말냉이 3종이 포함된 십자화과와 배초향, 향유, 꽃향유의 3종이 포함된 꿀풀과가 세 번째였다. 선정된 37종류의 식물 중 꽃다발 상용가치가 높은 식물은 피, 띠, 큰쥐꼬리새, 큰조아재비,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사철쑥, 산쑥, 감국, 배초향, 향유, 꽃향유, 괭이사초, 순비기나무의 14가지였다. 꽃다발, 리스, 꽃꽂이 세 가지 장식물을 모두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식물을 조사, 수집하여 건조시킨 후 단일 식물 재료로, 꽃다발은 $22{\times}22{\times}37cm$의 포장상자에 들어갈 수 있는 반구형으로 제작하였고, 리스는 리스틀에 식물재료를 바짝 붙이는 기본형으로 $22{\times}22{\times}6cm$의 포장상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꽃꽂이는 $22{\times}22{\times}22cm$ 포장상자에 들어 갈 수 있는 반구형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식물 중 상품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갈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사철쑥, 산쑥, 감국, 향유, 꽃향유, 들깨풀, 순비기나무 등 10종류였다.

실외 화분용 자생식물 선발 (Selection of Korean Native Plants as Outdoor Pot Plants)

  • 손관화;김훈식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98-109
    • /
    • 2010
  •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times}$ 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times}$ 높이 13 cm)에 식물을 채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 사자발쑥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 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 긴병꽃풀 꽃향유 산박하 들깨풀, 콩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 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 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지풀 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