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part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38초

두개내압상승(頭蓋內壓上昇)과 궐의(厥) 상관성(相關性)에 대(對)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고찰(考察) (The Eastern and Western Medical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 with I.I.C.P and Kwul)

  • 정승현;박성식;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3권
    • /
    • pp.237-26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pproach to I.I.C.P. centered on the meaning of consciousness disorder and the pathological aspect of Kwul (Jose consciousness ; faint, fall into a coma). The meaning of consciousness disorder and apoplexy is evidently involved the definition of Kwul. 1. It is found that the etymological interpretation on Kwul which the energy rises back to go through blocked space and the meaning interpretation of regarding Kwul as apoplexy with medical viewpoint, are related with consciousness disorder and motor disturbance in IICP in the aspect of the rise of Kwul and the abnormal rising of vital energy and blood, In addtion, the overall of meaning of Kwul is showed in table <1-1> by reference to doctors of many generations, 2. The pathology of Kwul includes abnormal rising, sthenia-syndrome in the upper part and asthenia in the lower, the origin of Kwul, the lower, looking like Yin by too sthenic Yang and looking like Yang by too sthenic Yin. The headache, vomiting, papilledema, paralysis of nervi craniales, coma, blood pressure rising, tachycardia by I.I.C.P can be regarded as a conception of trouble of vital energy, sthenia-syndrome of Kwul. The pulse pressure, brachycardia, bradypnea can be regarded as the conception of looking like Yin by too sthenic Yang. 3. In the emergency of Kwul, the abnormal ternimal reversion of the Kwulyin channel, Kuyang channel, and three Yins are related with the phenomenon in I.I.C.P. It is considered that the reverse movement of materials, I.I.C.P. can be closely observed by giving meaning on the meridian of Kwul in Somunkwulron. And the content of phrases of Naelyung which includes consciousness disorder refered in the chapter of Kwul, is compared with I.I.C.P. 4.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examination of optic symptom and abnormal posture in cerebral herniation ; understanding and working out counterplans of factors and symptoms of consciousness disorder by the observation of vital sign, check of general stages, neurologic inverstigation, clinical diagnosis, and subsidiary diagnosis; application of morphological change of opinion; addtion of the conception of demonstration centered on Yunkyung, Samyinkwulruk, asthenia and thenia of healthy energy in oriental medicine. 5. The similarity of Kwul and I.I.C.P. can be found from etiology and pathotenic factor. The similarity is clearly found by investigation of etiology, pathotenic factor, symptoms and thrapy of Kwul, disease symptom ar.d other symptoms.

  • PDF

호암천에서 처음 채집된 둑중개 개체군의 특성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 of First Record on the Cottus koreanus from Hoam Stream, Korea)

  • 변화근;이병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6-173
    • /
    • 2017
  • 호암천에 분포하는 둑중개의 형태적 및 개체군의 특징 조사를 2015년 10월과 2016년 4월에 실시를 하였다. 호암천 상류역(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대종천 상류)이 둑중개(Cottus koreanus)의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삼척오십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둑중개가 분포하는 범위는 기림사에서 용연폭포에 이르는 약 1.2 km 구간이었으며 수역은 약 $3,600m^2$ 이었다. 개체군 크기는 총 1,656개체, $100m^2$ 당 46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분포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좁았다. 호암천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머리길이(head length), 배지느러미 길이(VFR-L), 가슴지느러미 길이(PFR-L), 입의 폭(MW) 등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이 만 1년생은 40~59 mm, 만 2년생은 60~79 mm, 만 3년생은 8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239~468개이었으며 평균 361개 이었다. 성숙란의 직경은 $2.6mm{\pm}0.21$(2.3~3.1)로 대란형에 속하였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 = 0.00001TL3.01로 상수 a는 0.00001을, 매개변수 b는 3.01 이었고, 평균 1.26 이었다.

S-allylcysteine의 자궁경부암세포주 HeLa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llylcysteine on Cell Proliferation of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HeLa)

  • 김현희;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7-405
    • /
    • 2015
  • S-allylcysteine (SAC)은 숙성마늘에 다량 함유된 수용성 유기황 화합물로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뿐만 아니라 여러 유형의 암에서 예방 및 항암 치료를 위한 하나의 식품유래 대체물질로 주목 받아 오고 있다. 그러나, SAC에 의한 자궁경부암세포에서의 항암효과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SAC가 자궁경부암세포주 HeLa의 증식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세포 항증식 작용기전 중 세포자멸 및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양한 농도의 SAC가 처리기간에 따라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AC 처리는 HeLa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유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포의 viability 감소 그리고 농도 및 시간 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SAC는 DNA fragmentation assay 및 TUNEL assay에서 DNA 분절을 유도하였으며, 세포주기 분석에서 G2/M기에서의 세포주기 억제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AC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세포사멸의 유도 및 세포주기의 통제를 통하여 HeLa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당목(撞木)의 수종(樹種)과 열화(劣化) (Species Identification and Weathering of Wooden Striker on the Divine Bell of King Songdok)

  • 강애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4권
    • /
    • pp.71-78
    • /
    • 2003
  • 성덕대왕신종 당목의 수종과 오랜 세월동안 외부적인 요인(태양빛, 수분, 온도, 공기)에 의한 열화를 조사하였다. 당목의 수종은 느티나무(느릅나무과, Zelkova serrata)로 밝혀졌다. 열화로 인한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표면변색, 할렬, 목재면의 거칠어짐이 나타났다. 미세형태학적인 변화는 열화형태에 따라 세 부분(I, II, III-spot)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I-spot에는 재색으로 변색됨과 동시에 조직의 관찰이 불가능할 정도로 먼지층이 완전히 조직을 뒤덮고 있었다. 그와 달리 변색이 되었지만 조직의 관찰이 가능한 II-spot는 무수한 균사와 세포내강에 유입된 먼지 등의 오염물이 관찰되었다. 세포벽은 열화로 인해 물리적인 강도를 소실하여 약화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세포벽의 미세한 할렬과 찢김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균사가 세포를 뒤덮고 있지만 그로 인한 목재 부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면에서 불과 0.5 mm 아래의 III-spot는 목재의 고유한 적갈색을 유지하고 있으며 세포벽은 건전재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변화들은 목재부후와는 구별되었으며 표면에서 불과 0.5 mm 이하의 지극히 표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저지형 및 표층퇴적물 분포 (Seafloor Morphology and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 구본영;김성필;이광수;정공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1-146
    • /
    • 2014
  • 울릉분지 남서부의 대륙붕-대륙사면 해저지형과 지질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질학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빔 음향측심자료와 표층퇴적물 입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대륙붕은 약 ($0.5^{\circ}$의 경사로 수심 100 m 이내에서 나타나는 내대륙붕과 약 $0.2^{\circ}$의 경사로 수심 100-300 m 이내에서 나타나는 외대륙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사면에는 다양한 규모(~121 $km^2$)와 경사(최대 $24.3^{\circ}$)를 갖는 8개의 사면붕괴 지형이 관찰된다. 각 사면붕괴 지형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해저 지진과 전지구적 해수면 변동의 강한 영향 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된 해저사태 기원으로 추정된다. 내대륙붕과 대륙사면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지만, 외대륙붕은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다. 표층퇴적물 분포양상은 해수면 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주로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외대륙붕은 저해수면 시기 동안 퇴적된 조립질 잔류 퇴적물로, 내대륙붕은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현생의 세립 퇴적물로 피복되어 있다. 대륙사면의 표층퇴적물은 저해수면 시기에도 깊은 수심에서 반원양성 대류작용으로 공급된 세립퇴적물로 구성된다.

흰쥐 수지동맥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Eine Structure of Digital Arteries in Rat)

  • 김백윤;신근남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83-94
    • /
    • 1999
  • 미세혈관 수술의 발달로 수지동맥의 재접합술이 성행함에 따라 혈관벽의 구조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지만 수지의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흰쥐 수지의 충양근 안에 있는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 흰쥐 충양근 내의 미세동맥 (small arterioles)은 그 직경이 $12\sim20{\mu}m$로 중막이 한 층의 평활근세포로 구성된 종말소동맥 (terminal arteriole) 형태였는데 인체의 종말소동맥$(30\sim35{\mu}m)$에 비해 직경이 작았으며, 모세혈관은 직경이 $5\sim8{\mu}m$로 비슷하였다. 2. 모든 미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내막을 구성하는 내피세포는 연속형 (continuous type)이었고, 따라서 전체 세포질내에 포음소포(pinocytic vesicles)가 많이 관찰되었다. 3. 모세혈관 주위에서 자주 혈관주위세포(pericytes)가 관찰되었는데 철관주위세포의 긴 들기가 내피세포의 일부를 싸는 경우도 많았으며 이들은 기저판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4. 내피세포들 사이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접촉이 있었으나 특히 폐쇄띠 (tight junction)를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미세동맥의 내피하층은 기저판 아래에서 매우 불규칙한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곳곳에 내피세포와 중막을 구성하는 평활근세포의 막이 꽉 붙어 관찰되었다. 5. 미세동맥의 중막을 구성하는 한 층의 평활근세포의 세포질은 많은 filaments가 있어 균질성으로 보이는 균질성 영역 (homogeneous area)과 mitochondria, 조면내형질망, 골지복합체, polyribosome 등이 관찰되는 핵 주위의 비균질성 영역 (non-homogeneous area)으로 구분되었다. 6. 미세동맥의 외막은 섬유모세포의 아주 가느다란 돌기들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군데군데 교원섬유들이 관찰되었다.

  • PDF

수도품종의 위고현상과 생리 및 형태해부학적 구조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of Physiologieal Activity and Anatomical Structure to the Wilting Phenomena in Rice Plant 1. Reappearance of the Wilting Phenomena concerning to Physiological Aspects and Environment)

  • 이종훈;윤종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80
  • 본 시험은 신품종인 유신을 공시하여 실소와 가리의 시비수준을 달리하고 출수후 차광처리를 하여 급성위고현상의 발생을 재현시고, 위고현상의 발생과 식물체내 무기성분의 함양 및 근의 생리적 활역과의 관련성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1976년에 전국적으로 .유신품종에 대발생한 위고현상과 1977년에 전혀 발생이 없었던 기상적인 요인을 비교 검토하여 위고현상의 발생요인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신품종은 실소증비에 의해 엽신중당 영화수 (Sink/source)가 현저히 증가하고, 상위절간에 비해 하위절간의 신장률이 뚜렷한 품종적인 특징이 있다. 2. 유신품종은 실업증비에 따라 엽신의 호흡양이 타품종에 비해 현저히 증대하는 특성이 있음을 인정 할 수 있었다. 3. 위고극다비( $N_{30}$, $K_{10)}$ 하에서 근발육과 근의 생리적 활력이 저하했으며, 실소극다비+차광처리에서 더욱 현저한 저하를 보였다. 4. 또한 실고극다비+차광처리는 도체내 엽초와 간내의 K_2 O함량을 저하시키고, 특히 간내 K_2O/N 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을 명백히 저하시켰다. 5. 유신의 위고현상은 실소극다비구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고, 실고극다비+차광에서 50 % 처리구에서 격심한 발생을 유발 재현시킬 수 있었다. 6. 본 시험결과로 미루어 1976년에 대발생한 유신의 급성위고현상은 도작기간 일사양이 현저히 부족했던 기상적인 요인이 주요인이며, 농민의 실소과잉시용이 위고현상을 조장하는 부요인으로 해석되었다.

  • PDF

한국연안해역 와편모조류 시스트 연구에 관한 고찰 (Summary on the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of Modern Sediments from Korean Coastal Waters and Adjoining Sea)

  • 윤양호;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43-274
    • /
    • 2013
  • 한국 연안 해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연구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연안과 내만은 물론 제주도 남부와 황해 일부해역을 포함한 동중국해를 대상으로 수행한 45편의 학술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었고, 대상 해역은 적조발생 등 부영양화 해역이나 연안개발이 이루어지는 해역에 집중되었으며, 동해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없었다. 연구 내용도 단순한 출현 종 분석에서 부영양화 진행 등 해양환경의 변화과정 추적, 적조 발생에서 종자군으로서 역할, 세디맨트 트랩을 이용한 시스트의 형성과 변화양상 추적, 수소이온 농도 등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형태변화, 실험실에서 특정 종의 발아 특성 등 국제적 수준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출현종이나 출현 세포밀도 역시 해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연구는 아직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단편적이면서 개별적 내용으로 매우 제한적인 연구성격을 나타내었다. 특정 해역에 편중된 연구결과와 특정 연구 연구 집단에 의해 산발적인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양에서 표층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표영 환경의 누적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양환경 변화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는 데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도 조직적인 인력양성과 함께 해양생태계의 구성인자로서 필수 해양생물 분야로 취급하는 연계적인 연구 추진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 소장의 미소융모막 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of the small intestine in iwetagonimus yokogatvai infection in mice)

  • 홍성태;유재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9-20
    • /
    • 1991
  • 요꼬가와흡충은 국내에서 가장 감염이 혼한 장흡충으로 은어나 기타 담수어에 의해 매개되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이 흡충에 감염되면 심한 설사를 하며 이때 소장의 점막이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소장 상 피세포의 미소융모막에 분포하는 몇 가지 소화효소의 활성도가 요꼬가와홉충의 감염과 치료에 의하여 받는 영향 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이 흡충에 감염되면 충체가 빠르게 배출되어 감염 2주 이후에는 투여량의 10% 이내의 충체만이 감염되어 있고, 상부 공장에서 감염 2∼4주에만 퇴행성 변화와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minopeptidase, disaccharidases (sucrase, maltase, trehalase, lactase)의 환성도가 십이지장과 상부 공장에서 감염 2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하부 공장에서는 증가하였다. 감염 3주 이후에는 감염군에서의 활성도가 정상 대조군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감염 1주에 치료한 군의 활성도는 치료 후 2주에 감염대조 군의 활성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감염 3주에 치료한 군은 치료를 안한 감염군과 같은 환성도를 보였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의 소장에서 초기에 미소융모막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러한 변화는 형태학적인 병변의 생성 및 회복과 또한 감염된 충체의 수의 시기적 변화와 일치하였다. 요꼬가와흡충 감염 초기에 소장의 소화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미소융모막에서 일어나는 소화 및 홍수를 저해하고 이에 따라서 설사가 초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폐흡충 피낭유충 표피의 형태학적 관찰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surface of Pu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 김경민;안명희;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29-140
    • /
    • 198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surface structure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sensory papillae. Metacercariae were isolated from crayfish, one of the second intermediate tost of P. westermani in Bogil island, Chollanam-do (Province), Korea, where has been known as an endemic area of human paragonimiasis. Isolated metacercariae were encysted and examined with light.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for morphological features. On the surface of iBetacercariae, three types of sensory FaFillae were identified. Large domed papillae ($3~5{\mu\textrm{m}}$), which were covered with wrinkled plasma n!embrane of the worm, were distributed on the oral and ventral suckers only. On the oral sucker, these large domed papillae were 12~13 in number. On the other hand large domed papillae on the ventral sucker were constantly 6 in number and hexagonal in distribution. Small domed papillae ($2~3{\mu\textrm{m}}$), of which surface was more smooth than those of large ones, were distributed symmetrically on the ventral (30~32 pairs) and dorsal surfaces (40~42 Pairs). Ciliated Papillae ($0.8~1.5{\mu\textrm{m}}$) were observed about 5~6 in number around the oral sucker and 3~5 pairs each on the ventral and dorsal surface of the body. Single Fcinted spines covered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except around the excretory pore. Spines on the anterior fart of the body were 0.9~2.0${\mu\textrm{m}}$ in length and $45~55/100{\mu\textrm{m}}$2 in number, and were gradually reduced in length ($0.4~1.4{\mu\textrm{m}}$) and in nuns.her ($12~27/100{\mu\textrm{m}}$2) toward the posterior part. The body wall of p. westermoni metacercariae was consisted with anucleated syncytium layer, fibrous interstitial layer and musclar layer. In the anucleated syncytium, biconcave ($0.15~0.55{\mu\textrm{m}}$) and spherical ($0.08~0.16{\mu\textrm{m}}$) secretory granules, which were transferred from epidermal cells via protoplasmic tubules, mitochondria and rihoEorses, T-ere observed. Spines originated around the basement membrane protruded externally. Epidermal cells were consisted with a nucleus and a cytoplasm, and connected to syncytium with protoplasmic tubules. In the cytoplasm many secretory granules, mitochondria, Golgi complex, endoplasmic reticula, ribosomes and lipid droplets were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