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eme Analyzer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자동 색인을 위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의 실제적인 구현 및 적용 (Practic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for Automatic Indexing)

  • 최성필;서정현;채영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689-70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자동 색인을 위한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구현하였다. 현존하는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한 자동 색인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새로운 개념이나 아이디어의 도입 및 적용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다양한 어절 분석 기법들을 바탕으로 어절분석 속도의 최대화, 형태소 분석기의 모듈화 및 구조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특징은 이론적인 측면보다는 소프트웨어 공학적인 측면이 훨씬 더 강조된다 품사 사전의 구조화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체언 및 용언 분석 모듈, 수사 분석 모듈 둥이 구현되었다. 또한 형태소의 패턴을 이용한 미등록어 분석 기능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전체 시스템은 정보 검색 엔진인 K-2000 시스템의 색인 모듈로 장착되어서 적용되었다.

소셜 미디어 상 고객피드백을 위한 감성분석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Customer Feedback on Social Media)

  • 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80-786
    • /
    • 2015
  • SNS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실시간으로 자발적인 고객의 의견들을 대거 포함하고 있어 최근 기업들은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소셜 미디어상의 빅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사이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띄어쓰기와 철자 오류가 많아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로는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다. 또한 온라인 상의 문장은 짧다는 특징이 있어 상호 정보량, 카이제곱 통계량 등과 같은 기존의 의미 선택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문장 내 선택 할 수 있는 의미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감성 분류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초/중성 및 어절 패턴 사전을 이용해서 보정할 수 있는 모듈과 문장 내 품사의 우선순위를 이용한 의미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태소 분석기에서 추출된 품사 정보를 기반으로 용언과 체언을 분리해서 분석 해당 품사에 종속적인 속성 DB 구축 한 후 학습에 의해 누적된 속성 DB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긍/부정 감성을 추출한다.

빅데이터 수집 처리를 위한 분산 하둡 풀스택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Distributed Hadoop Full Stack Platform for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 이명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5-51
    • /
    • 2021
  • 급속한 비대면 환경과 모바일 우선 전략에 따라 해마다 많은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생성은 모든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의사 결정과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급속히 증가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무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표준 플랫폼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적재한 후, 정재한 빅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하둡 에코시스템 활용의 참조 사례들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3대의 가상 머신 서버를 통하여 하둡 2.0을 기반으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키워드로 검색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과 HBase에 적재하고, 적재된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형화된 빅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게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향후에는 데이터 심화 분석을 위한 하이브나 머하웃을 이용하여 머신 러닝을 이용한 클러스터링과 분류 및 분석 작업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가중치 기반 문단 추출 알고리즘 (Keyword Weight based Paragraph Extraction Algorithm)

  • 이종원;주상웅;이현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4-505
    • /
    • 2017
  •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는 문서 내에 사용된 단어들을 분류한다. 이를 기반으로 문장과 문단을 추출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해당 문서를 압축하여 주요 문단을 추출하는 시스템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문서 내에 사용된 키워드들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키워드를 포함한 문단들을 추출한다. 이는 해당 문서를 모두 읽지 않고 키워드가 포함된 문단들을 읽음으로써 문서를 이해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색에 사용된 키워드의 개수에 따라 추출되는 문단의 수가 다름으로 사용자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패턴의 검색이 가능하다.

  • PDF

On the Analysi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rphology for the Specialized Corpus in the Railway Domain

  • Won, Jong Un;Jeon, Hong Kyu;Kim, Min Joong;Kim, Beak Hyun;Kim, Young 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189-197
    • /
    • 2022
  • Today, we are exposed to various text-based media such as newspapers, Internet articles, and SNS, and the amount of text data we encounter has increased exponentially due to the recent availability of Internet access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Collecting useful information from a lot of text information is called text analysis, and in order to extract information, it is performed using technologies such a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for processing natural languag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a morpheme analyzer based on everyday language has been disclosed and is being used. Pre-learning language models, which can acquire natural language knowledge through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large numbers of corpus, are a very common factor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cently, but conventional morpheme analysts are limited in their use in specialized fields. In this paper, as a preliminary work to develop a natural language analysis language model specialized in the railway field, the procedure for construction a corpus specialized in the railway field is presented.

효율적인 한국어 파싱을 위한 최장일치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 기능 확장 (Functional Expansion of Morphological Analyzer Based on Longest Phrase Matching For Efficient Korean Parsing)

  • 이현영;이종석;강병도;양승원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03-210
    • /
    • 2016
  • 한국어는 문장 구성소의 생략과 수식 범위가 자유롭기 때문에 파싱보다는 형태소 분석 단계에서 처리하면 좋은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싱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형태소 분석기의 기능 확장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미지어의 추정, 복합 명사 및 복합동사의 처리, 숫자 및 심볼의 처리에 의해 여러 형태소 열이 하나의 구문 범주를 가질 때 이것을 최장일치 방법으로 결합하고 의미 자질을 부여하여 하나의 구문 단위로 처리하는 것이다. 제안한 형태소 분석 방법은 불필요한 형태론적 모호성이 제거되고 형태소 분석 결과가 줄어들어 태거 및 파서의 정확률이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을 통해 파싱트리는 평균 73.4%, 파싱 시간은 평균 52.9%로 줄었음을 보인다.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에서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의 분석 (The Analysis of Endings Which Begin with 'a/a in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 강승식;김영택
    • 인지과학
    • /
    • 제3권1호
    • /
    • pp.25-39
    • /
    • 1991
  • 한국어 어미 중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는 용언의 어간과 결합할 때 '아/어'가 축약되거나 '아/어'의 'ㅇ' 이 탈락되기도 한다.특히'ㅎ'불규칙 용언과 결합할 때는 용언의 어간모음과 화합되어 '-ㅐ-','-ㅒ-'로 바뀌는 경우가 있고,'-하다-'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과 결합하면 '-여-'혹은'-ㅐ-'로 바뀌게 된다.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에서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의 변이체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법형태소 사전을 어떻게 구성하여야하고, 문법형태소 사전이 주기억 장치에 적제될 때 2진트리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아/어' 로 시작되는 어미의 변이체를 형태소 분석할때 발생하기 쉬운 오류를 방지할수 있도록 한다.

Keyword Analysis Based Document Compression System

  • Cao, Kerang;Lee, Jongwon;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6권1호
    • /
    • pp.48-51
    • /
    • 2018
  • The traditional documents analysis was centered on words based system was implemented using a morpheme analyzer. These traditional systems can classify used words in the document but, cannot help to user's document understanding or analysis. In this problem solved, System needs extract for most valuable paragraphs what can help to user understanding docu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system extracts paragraphs of normalized XML document. User insert to system what filename when wants for analyze XML document. Then, system is search for keyword of the document. And system shows results searched keyword. When user choice and inserts keyword for user wants then, extracting for paragraph including keyword. After extracting paragraph, system operating maintenance paragraph sequence and check duplication. If exist duplication then, system deletes paragraph of duplication. And system informs result to user what counting each keyword frequency and weight to user, sorted paragraphs.

Design of Image Generation System for DCGAN-Based Kids' Book Text

  • Cho, Jaehyeon;Moon, Namme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1437-1446
    • /
    • 2020
  • For the last few years, smart devices have begun to occupy an essential place in the life of children, by allowing them to access a variety of language activities and book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using smart devices for education. Our study extracts images and texts from kids' book with smart devices and matches the extracted images and texts to create new images that are not represented in these books. The proposed system will enable the use of smart devices as educational media for children. A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DCGAN) is used for generating a new image. Three steps are involved in training DCGAN. Firstly, images with 11 titles and 1,164 images on ImageNet are learned. Secondly, Tesseract,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engine, is used to extract images and text from kids' book and classify the text using a morpheme analyzer. Thirdly, the classified word class is matched with the latent vector of the image. The learned DCGAN creates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text.

Development of the Rule-based Smart Tourism Chatbot using Neo4J graph database

  • Kim, Dong-Hyun;Im, Hyeon-Su;Hyeon, Jong-Heon;Jwa, Je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2호
    • /
    • pp.179-186
    • /
    • 2021
  • We have been developed the smart tourism app and the Instagram and YouTube contents to provide personalized tourism information and travel product information to individual tourists. In this paper, we develop a rule-based smart tourism chatbot with the khaiii (Kakao Hangul Analyzer III) morphological analyzer and Neo4J graph database. In the proposed chatbot system, we use a morpheme analyzer, a proper noun dictionary including tourist destination names, and a general noun dictionary including containing frequently used words in tourist information search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user's question. The tourism knowledge base built using the Neo4J graph database provides adequate answers to tourists' questions. In this paper, the nodes of Neo4J are Area based on tourist destination address, Contents with property of tourist information, and Service including service attribute data frequently used for search. A Neo4J query is creat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tention of a tourist's question with the property of nodes and relationships in Neo4J database. An answer to the question is made by searching in the tourism knowledge base. In this paper, we create the tourism knowledge base using more than 1300 Jeju tourism information used in the smart tourism app. We plan to develop a multilingual smart tour chatbot using the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intention classification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CRF), and transfer learning using the pretrained languag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