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xella spp.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내 중학생의 손오염에 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al Contamination on the hand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 이명원;정태화;문광희;민경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1호
    • /
    • pp.19-26
    • /
    • 1988
  • 활동성이 강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남$\cdot$여, 학생에 따른 세균 오염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중학생의 보건 교육에 관심을 높이고자 하여 1985년 2월 4일부터 2월 15일까지 서울 시내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양손으로 부터의 세균을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손에 오염된 평균 세균수는 1학년 남학생 $3.08\times10^4$개 여학생$2.48\times10^4$개, 2학년 남학생 $3.32\times10^4$, 여학생 $1.64\times10^4$개로 2학년 여학생에 있어 특히 적은 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 중학생 손에서 검출된 세균의 속명은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Micrococcus, Bacillus, Neisseria spp., Branhamella, Acinetobacter, Moraxella, Chromobacterim, Alcaligenes, Flavobacterium, Pseudomonas, Actinobacillus, Pasteurella, Vibrio, Enterobacteria와 Plesiomonas로 17속으로 나타났다. 3. 속명이 밝혀진 균주 중 종명까지 밝혀진 것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midis, Micrococcus varians, Branhamella catarrhalis, Acinetobacter anitratus, Moraxella bovis, Moraxella urethralis, Pseudomonas aeruginosa와 plesiomonas shigelloid로 9종이 밝혀졌다. 4. Genus 중 전체 학생중 나타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Staphylococcus $(96.6\%)$이었고 그 다음 Enterobacterial $(14.4\%)$ Bacillus$(20.7\%)$, Branhamella$(17.2\%)$순으로 나타났다.

  • PDF

호남지역 농경지 토양에 분포된 농약내성균의 밀도와 살균제 Chlorothalonil의 분해 (Population of Pesticide Resistant Strains in Cultivated Soils of Honam Area and Degradation of Chlorothalonil in soil)

  • 이상복;최윤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5-191
    • /
    • 2001
  • 호남지역 농경지에 수년간 사용되어 온 타로닐, 만코지, 벤타존 및 부타클로르약제에 대한 내성균의 밀도를 조사하고 이들 내성균주를 분리하여 미생물속의 분포 및 타로닐의 분해정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남지역 농경지에 분포한 타로닐을 비롯한 4개약제 $500{\mu}g\;ml^{-1}$에 생존하는 내성균의 밀도는 $10^3cfu\;g^{-1}$이 상으로 시설재배지> 밭> 논토양 순으로 높았고, 약제별로는 벤타존> 부타클로르> 타로닐> 만코지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4개 약제 $500{\mu}g\;ml^{-1}$에서 분리된 내성균주의균속 분포율은 Acinetobacter속과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으나 Moraxella속은 낮게 나타났다. 타로닐 연용 밭토양에 $0{\sim}100{\mu}g\;g^{-1}$까지 처리후 20일간 배양시 사상균수는 초기보다 감소하였으나 호기성3, 방선균 및 타로닐내성균수는 크게 증가하였고, 멸균 토양중에서 다코닐약제 분해균주의 밀도는 $10{\mu}g\;g^{-1}$처리시 접종후 5일경에 가장 높았고, TD-25균주는 TC-23균주보다 높은 밀도로 나타났다. 다코닐 약제처리후 20일째의 약제잔류농도는 고농도처리에서 높았고 약제분해는 TD-25균주> 무멸균토양 함유균주> TC-23균주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진도견(Canis familiaris var. jindo) 유즙으로부터 분리한 세균의 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from Milk Samples of Jindo Dogs (Canis familiaris var. jindo))

  • 이주단;이윤경;오석일;정지영;손창호;신성식;오기석;허태영;서국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9-35
    • /
    • 2011
  • Lack of hygiene and puerperal mastitis are common causes of bacterial diseases in nursing neona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microorganisms from milk samples of healthy female Jindo dogs with suckling puppies and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gainst the isolated bacteria.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0 udders of 12 lactating Jindo dogs that were 2~4 years old without any clinical diseases including mastiti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64 milk samples (53.3%), either singly (76.6%) or in combination (23.4%). Staphylococcus (S.) spp. was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s (74.7%) isolated from canine milk, followed by Haemophillus spp. (10.9%), Streptococcus spp. (9.6%), Gardnerella spp. (2.4%) and Moraxella spp. (2.4%).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organism was S. warneri (31.3%).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se bacteria was tested with 17 antimicrobial agents by Kirbyand Bauer standardized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bacteria isolated from healthy canine milk were mostly susceptibl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cephalothin and ceftiofur, but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 neomycin and tetracycline.

정어리 내장세균의 특성과 균체외 단백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Their Extracellular Pretense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a)

  • 장동석;조학래;최승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4-190
    • /
    • 1984
  • 매년 정어리의 어획량은 많으나, 선도저하 속도가 빨라서 대부분 어분등 비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정어리의 빠른 선도저하에 대한 세균학적 원인규명의 일환으로 정어리 내장세균의 조성을 밝히고 단백질 분해능이 강한 세균을 분리하여 그 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생성 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된 정어리 내장에서 분리된 세균은 대부분 내냉성 중온세균이었고, 생균수는 $25^{\circ}C$의 호기적조건하에서 배양했을 때, $1.7{\times}10^4{\sim}3.6{\times}10^5/g$이었고, 혐기적조건하에서는 $2.9{\times}10^4{\sim}5.5{\times}10^5/g$이었으며, $18{\sim}20^{\circ}C$에서 48시간 방치한 시료에서는 호기성균이 $1.3{\times}10^7{\sim}5.5{\times}10^8/g$이었고, 혐기성균은 $3.8{\times}10^7{\sim}3.3{\times}10^8/g$으로 나타났다. 2. 신선한 시료에서 분리된 280 균주중에서 단백질 분해능이 있는것은 $20\%$였고, 지방분해능이 있는 것은 $62.5\%$, $H_2S$를 생성하는 것은 $10.5\%$였다. 또 상온에서 48시간 방치한 시료에서는 213 균주중 110균주가 단백질 분해능이 있었다. 3. 신선한 정어리의 내장에는 Moraxella spp.와 Pseudomonas spp.이 각각 $31.4\%,\;28.6\%$로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외 Flavobacterium-Cytophaga spp., Vibrio spp., Acinetobacter spp.등이 각각 $6{\sim}8\%$로 비교적 많은 편이며, 이외 $2\%$ 내외로 차지하는 세균종류가 수종있었다. 4, 분리된 280 균주중에서 단백질분해능이 제일 강한 균주는 Pseudomonas 101이었으며, 균의 발육 최적조건은 $25^{\circ}C$, pH7.5이었고 generation time은 76분이었다. 5. Pseudomonas 101 균주가 생성한 효소는 alkaline protease였으며, 효소의 활성 최적조건은 pH 9.0, $53^{\circ}C$였으며 pH $5.0{\sim}11.0$, 온도 $30{\sim}50^{\circ}C$ 범위에서는 효소활성이 강했다.

  • PDF

대전 대덕구 출토 복식 유물에 부착된 세균의 종류 및 섬유소분해효소 활성 (Bacterial Strains and Their Cellulase Activity from the Excavated Clothes at Daedeok-gu, Daejeon)

  • 이상준;차미선;조현혹;백영미;권영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0-74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ttached bacteria on the clothes excavated from Deajeon area dating on the 16th century. From the observation with colony shape, 17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n 7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with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Streptococcus sp., Alcaligenes faecalis, Gemella sp., Acinetobacter sp., Pseudomonas vesicularis, Aeromonas sain. salmonicida, Moraxella spp. In observation of the bacterial strains by the sort of textile, more bacterial strains were found in silk, cotton, and cotton batt than in ramie and hemp. It is suggest that hemp has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presence of lignin. In the comparison washed samples with unwashed ones, there were more kinds of bacterial strains in washed samples. In the cellulase activity tests, all isolated bacteria had low level cellulase activity.

동해남부연안 미역양식장의 병충해 (Some Seaweed Deseases Occurred at Seaweed Farm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5-170
    • /
    • 1981
  • 우리나라 미역양식의 발상지인 동해남부연안의 미역양식장에서 세균성이라고 생각되는 미역녹반증과징소갑각류의 기생에 연한 바늘구멍증, 미역 속구멍증 등의 병충해와 계장홍조류인 플리시포니아의 착생에 인한 피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김 녹반증과 유사한 녹색의 반점이 미역엽상체의 하반부에 나타나서 점차 확대되면서 반점의 조직이 붕괴하여 녹색의 테두리를 가진 구멍이 엽면에 생긴다. 엽상체 끝 부분의 구명은 더욱 확대 유합하여 끝 녹음을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 이 병증은 동일양식장에서도 중심부일수록 피해가심하고 주녹부, 특히 외해쪽은 피해가 적었다. 이 병증이 있는 엽체는 외관상 건전한 엽체보다 $70\sim100$배 더 세균에 오탁되어 있었으며 병증이 있는 엽체에서 분리된 세균중에서 다음 여에 속하는 균주가 많았다. Moraxella, Acromobacter, Vibrio, Flavobacterium, Acinetobacter, Pseudomonas. 2. 엽체에 1열로 동일간격으로 $5\sim10$개의 미세한 바늘구멍을 여기 저기에 볼 수 있었고 이들 바늘구멍이 다소 불규칙하게 모여 있는 것도 희구했다. 이것은 요각류인 Harpacticoid의 1종인 Thalestris sp.의 기생에 의한 것이다. 이 기생이 발견되었던 초기는 3월경에 나타났었으나 점차 출현시기가 앞당겨져서 지금은 전등의 12월부터 출현한다. 3. 단각류의 1종인 미역속별레, Ceinina japonica Stephesen이 중륵에 기생하여 엽상체 유실의 원인도 되고 심한 것은 중륵에서 종으로 엽상체가 2분되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양식말기에 주로 나타난다. 4. 조간대 암상에 생육하는 폴리시포니아 Polysiphonia spp.가 종연와 함께 씨줄에 다수 착생하였다가 양식장에서 미역 유아와 경합을 하여 미역 착생면을 차지하여 피해를 준다. 끝으로 본 조사는 1980등도 문교부연구조성비로 수행되었으며, 세균을 분리동정해 주신 장동석 교수와그의 교실원에 감사한다.

  • PDF

대단위(大單位) 낙농목장(酪農牧場)에서의 소전염성결막각막염(傳染性結膜角膜炎)(IBK)의 임상적(臨床的) 및 세균학적(細菌學的) 관찰(觀察) (Clinical Bacteriological and Observations on Infectious Bovine Keratoconjunctivitis (IBK) in an Integrated Dairy Farm)

  • 석호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3-59
    • /
    • 1985
  • A group of 80 Holstein calves, many with clinical signs of infectious bovine keratoconjunctivitis in summer seasons, was assembled for bacteriologic and ophthalmologic studies at an integrated dairy farm. Observations were started from 1980 to 1984 but bacteriological study was only carried out from thor spring in 1981 and continued during the Autumn in 1981. Corneal lesions and drugs sensitivity were also observ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Occurrences of IBK-affected cattle during the 5 years were predominent to calves in summer. 2. Among 142 eyes from 80 cattle, 53 isolates of Moraxella bovis(37.3%) were isolated from 37 cattle(46.3%). The prevalence of the infection for clinical eyes were higher than nonclinical eyes calves. 3. Miscellaneous organisms were found from age groups of 5 months to 9 months old. It were 8 hemolytic Neisseria spp., 3 Fungi, Mycoplasma sp. and 1 Pseudomonas sp., but 9 samples were unknown. 4. Prevalence of infection with M. bovis in bilateral clinical eyes were higher than unilateral eyes. 5. Incidence of corneal lesion was predominent in early stage as a watery tears(21.0%) and late stage as a leukomas of corneal opacity(22.8%). 6. The number of isolations of M. bovis and incidence of IBK varied from year to year; Higher incidence of IBK clinical signs were showed in calves from 5 months to 10 months old and the number of isolations of M. bovis was declined in order 8 months(100.0%), 4 months(75.0%), 5 months(66.6%) and 8 months(66.6%) old calves. 7. Chloramphenicol, Nitrofurantoin and Cephalothin were highly sensitive against M. bovis isolates and then Tetracycline, Neomycin, Erythromycin and Kanamycin were intermediate but low sensitive to Streptomycin, Colistin and Penicillin.

  • PDF

한국인의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oxifloxacin 400mg 1 일 1회 요법과 Clarithromycin 500mg 1일 2회 요법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 비교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 Comparative Study for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Moxifloxacin 400 mg Once a Day and Clarithromycin 500 mg Twice Daily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Bronchitis)

  • 김승준;김석찬;이숙영;윤형규;김태연;김영균;송정섭;박성학;김호중;정만표;서지영;권오정;이신형;강경호;이이형;황성철;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40-751
    • /
    • 2000
  • 연구배경 : Moxifloxacin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효과, 안전한profile과 유리한 약물동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fluoroquinolones보다 한단계 진보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베타-락탐계 혹은 기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들에 대해 매우 유효하다. Moxifloxacin은 특히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그리고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 감염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 다기관, 무작위, 공개, 비교시험으로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 투여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7일 투여 그룹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70명의 환자 중에서 87명이 moxifloxacin 투여군 이었고 83명이 clarithromycin 투여군이었다. Moxifloxacin 투여군종에서 76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5명), clarithromycin 투여군중에서 77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1명)이 치료효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임상적 성공율은 Moxifloxacin 투여군 76명중에서 70명(92.1%) 이었고 clarithromycin 투여군 77명중에서 71명(92.2%) 으로 유사하였다. 세균학적 Moxifloxacin 투여군이 73.5%, clarithromycin 투여군이 54.8% 으로 Moxifloxacin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내원시 시행한 객담의 세균 감수성 검사에서 moxifloxacin 투여군이 clarithromycin 투여군보다 Streptococcus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반응은 moxifloxacin 투여군 86명중에서 12.8% 에서 나타났고, clarithromycin 투여군 83명중에서 21.7%에서 발생하였다. 두통(4.7% vs 4.8%, 각각 moxifloxacin 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과 소화불량(2.3% vs 6.0%, 각각 moxifloxacin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 이 두 군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이었다. 결론 : 본 임상시혐의 결과,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간 요법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요법과 비교할 때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미생물학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낙동강 하류수질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Part of the Nagdong River)

  • 김용관;심혜경;조학래;유선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1-522
    • /
    • 1984
  • 낙동강 하류 수계는 농수산업을 비롯하여 각 산업의 용수 뿐만아니라 400만 부산시민의 상수 급수원으로서도 대단히 중요하다. 본 수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하구언을 축조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하구언 설치 이전과 이후의 수질 변화에 대한 기초재료를 얻기 위하여 1983년 8월부터 1984년 7월까지 계절마다 2회씩 모두 8회에 걸쳐 15개 지점에서 총 시료 120개를 취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한 수온, pH, 염소 ion 및 염분도, 화학적 산소 요구량, 전기전도도, 영양염류, 위생지표세균, microflora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의 연간변화는 $-1.5{\sim}29.0^{\circ}C$로 컸으며, 봄철의 수온은 $10{\sim}15^{\circ}C$로서 겨울철보다 약 $10^{\circ}C$ 상승하였고, 가을철의 수온은 전 지점에서 $20^{\circ}C$ 부근으로 매우 안정되었다. 여름철에는 기온의 상승에 따라 $21{\sim}29^{\circ}C$로 높았다. 2. pH의 연간변화는 $6.68{\sim}8.50$이었으며, 평상시의 pH는 상부수역에서 하구쪽으로 향할수록 점증하였으며, 하구수역에서는 8에 가까웠다. 그러나 강우량이 많았던 직후에는 오히려 상부수역이 높고 하구수역이 낮아지는 반대현상이었다. 3. 염소 ion 농도의 변화범위는 $7.4{\sim}l.020.5$ mg/l로 지점별 차가 심하였다. 또, 염분또는 $1.05{\sim}33.01\%$로 넓은 범위로 분포되었다. 상부에 녹산 수문이 있는 제3수로는 $25.76{\sim}31.58\%0$으로 육수나 하천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제1, 2수로보다 높은염도를 나타내며 안정되어 있다. 4. 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변화범위는 $1.45{\sim}14.94$ mg/l였으며, 상부, 중부수역과 각 수로의 기점은 5mg/l 이상이었고, 하구수역은 수산 2급 기준치인3 ppm을 모두 초과하였다. 5. 전기전도도의 변화범위는 $1.360{\times}10^2{\sim}5.650{\times}10^4{\mu}{\mho}/cm$였으며, 상부수역에서 보다 하구수역에서 월등히 높았으며 강우량이 많을시에는 전 수역에서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6. 영양염류의 년중 변화범위는 $NO_2-N\;:\;0.008{\sim}0.040$ mg/l, $NO_3-N\;:\;0.038{\sim}5.253$ mg/l, $NH_4-N\;:\;0.100{\sim}2.685$ mg/l, $PO_4-P\;:\;0.003{\sim}0.084$ mg/l, $SiO_2-Si\;:\;0.154{\sim}6.123$mg/l였으며, 각종 염류는 일반적으로 상부, 중부수역에서 높은 농도였으나, 강우량에 육수나 강수에 의해 운반되어 하구수역에서 농도가 높아진다. 특히 하구수역에서 질소, 인화합물이 20년전에 비하여 $2{\sim}3$배 증가되고 있어 이차적인 환역오염이 우려 된다. 7. 대장균군 최확수의 분포범위는 $7.3{\sim}460,000/100ml$였으며, 금곡에서 을숙도 구간인 중부수역에서의 기하평균치는 $3,476{\sim}34,700/100ml$으로 극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 수질의 여파와 장림천 괴정천에서 유입되는 오수로 제1수로의 수질은 $1.100{\sim}460,000/100ml$로 제 2수로 보다 5배나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다. 분편계대장균 최확수의 분포범위는 $3.6{\sim}460,000/100ml$였으며, 대장균군에서와 같은 양상이었다. 장구균 최확수는 $0{\sim}46,000/100ml$의 분포범위로 분편계대장균과 같은 양상이었다. 8. 대장균군으로 분리 동정된 총 452균주중에서 Escherchia coli group은 127 균주로 $28\%$, Citrobacter freundii group은 82 균주로 $18\%$, Enterobacter aerogenes group이 141균주, $31\%$로 제일 많았으며, 분류되지 않은것이 $22\%$ 정도였다. 9. 생균수의 연간 변화폭은 $<30{\sim}1.2{\times}10^5/ml$였으며, 각 수역별로 위생지표세균이 변화하였던 것과 같은 양상이었다. 10. 본 수계에서 분리 동정된 세균 총 659 균주중에서 Pseudomonas 속이 279 균주($42\%$)로서 제일 많았으며, Flavebacterium cytophaga 속이 131균주($20\%$), Moraxella속이 72균주($12\%$) 순이었으며, Bacillus 속이 $0.3\%$으로 제일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