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cea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95초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 (Characteristics as Pulp and Papermaking Resources of Paper-mulberry (B. kazinoki) woods in Jeolla-do Region with Identically Genetic Marker)

  • 조아현;고인희;장경주;박규태;박선미;박선주;정선화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67
    • /
    • 2019
  •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의 품종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으로는 잎의 성상이나 암꽃의 포길이, 엽신의 폭과 같은 수목학 분수학적 관점으로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prime}H{\acute{e}}r.$ ex Vent.]의 수목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닥나무의 향명은 다양하게 불리지만 그 분류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 마커(ITS, matK, trnL-F, ndhF)의 염기서열 분석과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된 전라도지역 닥나무 8개체에 대하여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8개체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징인 섬유장, 섬유폭, 섬유 내강(Lumen)폭을 통해 Runkel ratio, Slenderness ratio, Flexibility coefficient, Rigidity coefficient를 도출하고 종이의 기계적 강도, 내절도와의 상관관계, 섬유와 섬유간의 결합력 등을 예측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펄프제지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양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

경상도지역 닥나무의 수목학 및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and Dendrological Study of Paper-mulberry (B. kazinoki) in Gyeongsang-do Region)

  • 고인희;조아현;장경주;박규태;박선미;박선주;정선화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68
    • /
    • 2019
  • 닥나무(Paper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하며 Hutchinson(1967)에 의하면 닥나무 속은 열대, 아열대, 난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약 6종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닥나무의 품종을 구분하는 것은 수목학적 관점으로 잎의 성상, 줄기의 색과 무늬 유무로 구분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목학적 특징은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가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닥나무를 참닥나무, 머구닥나무, 개닥나무 3가지의 향명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지역 9개체 닥나무를 대상으로 수목학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식물종의 기준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엽록체 속의 matK, trnL-F, ndhF, 3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4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고 상기 구간에서 얻어진 염기서열 비교분석 및 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수목학적 관점으로는 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으며 분자계통학적 연구로 모든 시료는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전통한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닥나무류 식물자원의 분류체계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30 Cultivars of Korean Mulberry (Rosales: Moraceae) in Korea

  • Kwon, O-Chul;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Ju, Wan-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82-89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30 mulberry cultivars converved in Korea based on the ITS rDNA region, and they were compared to 40 reference sequences from GenBank. The size and the G+C content of the ITS rDNA gene regions from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and 40 reference sequences varied from 612-630 bp and 58.19-61.62%,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TS rDNA regions of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and 40 reference sequence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2, and 3) and two subgroups (Group 1A and 1B within Group 1). The sequence lengths of the Korean mulberry cultivar numbers 1-26 and 27-30 were 615 bp and 616 bp, respectively. At 205 bp location of ITS1 rDNA region, the cultivar numbers 1-26 contain the nucleotide thymine but the cultivar numbers 27-30 contain the nucleotide adenine. 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nucleotide adenine at 206 bp location was found only in the four Korean mulberry cultivars (numbers 27-30). Based on these sequence information and phylogenetic result,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were identified as M. alba and M. australi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genetic database constructions and accurate variety identifications for unidentified mulberry varieties in Korea.

자목(柘木)의 콜라겐유도 생쥐 관절염에 대한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Cudraniae Lignum on the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최정호;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1-128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udraniae Lignum, which is the wooden part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Moraceae), on cytokine secretion from the joint cells of mice with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and verify its efficacy against rheumatoid arthritis. Methods : We prepared the hot-water extract, ethanol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of Cudraniae Lignum, and tested their effects on cytokine secretion from the joint cells of mice with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Results : 1. Cudraniae Lignum reduced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beta$, INF-$\alpha$ and IL-6 from joint cells. 2. The effect for reducing the secretion of IL-1$\beta$, TNF-$\alpha$ and IL-6 was strong in order of m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and hot water extract. 3. Considering the effect on cytokine secretion, the effective element is soluble in organic solvent, and is not volatile. 4. The ethanol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of Cudraniae Lignum lowered the survival rate of cells significantly, but still the survival rate was over 92%, suggesting the low toxicity of the extracts. Conclusions : Cudraniae Lignum is considered effective for rheumatoid arthritis, and the effective element is considered soluble in organic solvent.

Root bark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reduces LPS-induced inflammation in macrophages of atherogenic mice

  • Lee, Mi-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15-123
    • /
    • 2020
  • 동맥경화증은 동맥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내막층에 지질이 축적되어 발생 되는 염증성 질환으로 동맥 내막에 침윤되는 백혈구와 백혈구에서 분비되는 전염증성 싸이토카인에 의해 죽종형성이 시작된다. 꾸지뽕은 뽕나무과의 작은 나무로 그 추출물은 항염증, 항산화, 항암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맥경화증에서 효능은 명확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증의 초기 진행에서 꾸지뽕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고자 꾸지뽕 뿌리의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동맥경화증의 동물 모델인 ApoE 결손 생쥐에서 복강대식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복강대식세포에 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꾸지뽕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00㎍/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이 농도를 추가 실험을 위한 유효 농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 증가한 염증 싸이토카인(MCP-1, IL-1β, IFN-γ, TNF-α, IL-6)의 발현이 꾸지뽕 뿌리 추출물에 의해 감소하였다. 따라서, 꾸지뽕 뿌리 추출물은 동맥경화의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대식세포에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어 동맥경화증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오디추출물의 기능성 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

  • 김애정;여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82-82
    • /
    • 2003
  • 오디는 옛부터 보혈자음(補血滋陰), 생진윤조(生津閏操), 현훈이명(眩最耳鳴), 심계실면(心悸失眠), 수발조백(鬚髮早白) 등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심자(桑 子)라 하여 뽕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桑 ), 상실(桑實), 오심(烏 ), 흑심(黑 ) 등으로 지칭되며,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과실로 취화과(聚花果)에 속하며 작은 수과(瘦果)가 많이 모여 이루어진 장원형으로 길이 1 내지 2 cm, 지름 0.5 내지 0.8 cm이며 황갈색, 갈홍색 또는 암자색을 띠고 짧은 줄기가 있다. 작은 수과(瘦果)는 난원형으로 조금 납작한 편이며, 길이는 약 2 mm, 너비는 약 1 mm 이고 육질의 화편(花片) 4개가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오디에 대하여 자연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또한 이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해서도 그 작용과 연관지어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뇌졸중 가운데 뇌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의 감소 혹은 차단으로 발생되는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약 8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뇌신경세포 손상기전의 복잡성 등으로 뇌졸중으로 발생하는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천연물로부터 뇌허혈 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주로 한방에서 처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처방으로부터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도출은 그 처방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생약이 갖는 다양한 활성으로 인해 어려운 점이 있으며, 비록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과학적인 입증자료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된 자료를 토대로 오디추출물이 뇌허혈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in vitro system을 이용하여 오디추출물의 신경보호작용기전을 검색하고자 DPPH radical 의 생성억제효과,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추출물의 방어효과, LSP에 의하여 활성화된 BV-2 cell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색하였다. 오디의 DPPH 소거활성은 단일화랍물인 bacicalein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PC12 cell line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오디의 방어 효과는 LDH activity를 행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LDH 유리 량을 감소시켰다. 뇌손상시에 오디추출물의 염증방어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glial cell line인 BV2 세포주를 선택하여 배양한 후 LPS로 자극을 준 후 일차적인 염증지표인 NO양을 측정한 결과 BV2 cell에 LPS 100 ng/ml을 처리하는 경우 nitrite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때 오디추출물을 1, 5, 10 ug/ml의 용량으로 처리하는 경우 역시 저농도에서 NO생성량을 감소시켰다. 정리해보면 뽕나무과 식물인 오디는 신경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이러한 효과는 아마도 오디의 항산화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제주도에서 종자산포자로서 직박구리가 섭식하는 열매 현황 (The Status of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Hypsypetes amaurotis) as a Seed Dispersal Agent on Jeju Island)

  • 김은미;강창완;원현규;송국만;오미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69
    • /
    • 2015
  • Plants and birds have symbiotic relationship as the birds eat the fruits and disperse its seeds from the different places. Because Brown-eared Bulbul eats various fruits, We investigated the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seeds. Surveys were conducted at several area throughout Jeju Island at least twice a month from 2013 to 2014. We identified the fruits consumed by Brown-eared Bulbul through observation, pictures and interviews from the local residents. Results showed that this species consumed fruits from 82 plant species, belonging to 38 plant families. Thirty nine percent(39%) of these plant species belong to the Rosaceae, Lauraceae, Moraceae, Aquifoliaceae and Vitaceae and 33 species were classified as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plant which is 40% of the total plant species consumed. Two feeding types, which were gulper type and pecking type were observed for the Brown-eared Bulbul. It was also observed that this species preferred eating fruits of gulping type compared to that of pecking type. The average size of the fruits consumed through gulping was $8.92{\pm}3.41mm$ while it was $45.25{\pm}26.67mm$ for the pecker type. This bird species also consumed more fruits with globular shape compared to those of fruits with ellipse shape. For the fruit color, red and black-colored fruits were more preferred than yellow-colored fruits by Brown-eared Bulbul. Eaten frequency varied from 0.04 to 0.58 and the 10 fruits species were eaten frequently by Brown-eared Bulbul. This study would provide information for the role of Brown-eared Bulbul in the ecosystem as a seed dispersal agent.

대장암세포주 HT29에서의 Treculia africana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분석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reculia africana Extract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HT29 Cells)

  • 오유나;진수정;박현진;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15-522
    • /
    • 2015
  • Treculia africana Decne는 빵나무종으로 뽕나무과, Treculia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이 식물의 다양한 부위에서 추출한 물질은 항염증, 항균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백일해의 치료등 다양한 질환에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정확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 africana Decne 메탄올추출물(META)을 사용하여 항산화능 및 인체 대장암 세포주인 HT29에 대한 항암활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통해 분석한 결과, META의 IC50가 4.53 μg/ml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보유하 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ETA 처리에 의해 HT29의 생존율이 감소함과 더불어 IC50가 66.41 μg/ml로 강력한 세포사멸효과를 나타냈다. META 처리에 의해 HT29의 subG1 세포비율 및 Annexin V+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고, DAPI로 염색된 apoptotic body가 증가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Fas, Bax, cytochrome c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caspase 3, 8, 9를 활성화 시켜 최종적으로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META는 강한 항산화 활성과, 대장암세포에서 apoptosis 유도에 의한 높은 항암활성을 보유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