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umentality and Represent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 (Urban Parks in Seoul as Place Representation - Focusing on Monumentality, Symbolism & Place Memory -)

  • 한소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7-52
    • /
    • 2010
  • 본 연구는 근대에 조성되기 시작한 서울의 도시공원의 조성과 관련한 제 전반의 사항들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을 주요 목적에 두고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개방 이후 조성된 서울의 대부분 공원들이 다양한 형태의 기념성,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거나 혹은 장소 자체 기억을 재현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하고 연구를 착수하였다. 공원 내 상징성, 기념성, 장소기억의 물리적 혹은 비 물리적 요소들의 재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내 기념성 및 상징성이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기념비, 동상 등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는 공원의 조성 목적이 기념공원에 부합하는 경우 좀 더 적극적인 형태로 기념비적 요소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외의 경우는 공원 전체의 개념과는 관계없이 국가에서 임의로 지정한 상징성을 띠는 조각물이나 동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장소기억의 경우, 과거에는 기념성이나 상징성 구현 방법과 같이 동상이나 일부 건조물 등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일정 시기 장소기억을 공원 전체에 조화시키는 양상을 띠기 시작한다. 둘째, 비 물리적 재현요소들의 경우 공원 명칭에서 기념성 및 상징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들어서는 명칭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는 많이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공원의 부분 장소 명칭에서 장소기억과 관련하여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공원 내에서 벌어지는 이벤트의 경우, 탑골공원 등 개방 초기 조성된 공원들에서 일부 당시의 시대 상황을 기념하기 위해 설정된 경우 등이 있었다. 장소기억이 강조되어 최근 조성된 공원들의 경우 이와 관련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에 두고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김수근의 자유센터에 대한 비평적 독해 (A Critical Reading of Freedom Center Apacle by Architect Kim Su Geun)

  • 강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5-154
    • /
    • 2012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reedom Center Apacle in Seoul designed by Kin Soo Geun who was a leading architect in Korean Modern architecture. Freedom Center was built in 1963, that was the largest monumental building to support military regime during cold war period in Korea. This paper deals with historical background of construction of Freedom Center and its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imilar monumental buildings, especially Corbusier's Chandigar and Kenzo Tange's Hiroshima Peace Center. The Monumentality in Freedom Center came from the reference to these two buildings and its site plan. This paper tried to show how similar the layout of buildings between the Freedom Center and Peace Center. The origin of the sublime aura in Tange's linear layout of Peace Center is from Japanese Famous Shrine(Jinku). Kim translated it to serve the ideological purpose to protect from socialist regime in the name of freedom. Its over-scaled roof and weak contents showed Freedom center was a kind of theaterical setting belong to formalist building. But in spite of its symbolic and representational gesture its also had a architectonic physical quality to make it a monument. The change and duration in time testified the autonomous power of architecture in Freedom Center. Freedom Center was also important for using the exposed concrete and its superior finish. It was influenced not from western way of Benton Brut which was usually called New Brutalism but Japanese way of treating expose concrete. In spite of its limits Freedom center achieved new trend and sensibility in Korean Modern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