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ular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on Cytokine Production in Peripheral Blood Monocular Cell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 Park, Sae-Wook;Lee, Sun-Woo;Kang, Baek-Gyu;Lee, In;Cho, Kwang-Ho;Moon, Byung-So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1
    • /
    • 2006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DHSMT) on the production of various cytokines in lipopolysaccaride (LPS) stimulated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PBMCs) from CI patients. Method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MTT assay. ELISA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NF-{\alpha}$, $IL-1{\beta}$, IL-6, IL-8, IL-4, and $TGF-{\beta}$ 1 Results : The amount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IL-6, IL-8, IL-4,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 1 in PBMC culture supernata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PS treated cells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We show that DHSMT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IL-6, IL-8, and IL-4 induced by L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maximal inhibition rate of the TNF-${\alpha}$, IL-1${\beta}$, IL-6, IL-8, and IL-4 production by pretreatment of DHSMT (1.0mg/ml) was 38.52 ${\pm}$ 2.5% (P < 0.01), 44.02 ${\pm}$ 3.5% (P < 0.05), 45.32 ${\pm}$ 2.3% (P < 0.01), 42.30 ${\pm}$ 3.1% (P < 0.05), and 49.70 ${\pm}$ 3.1%(P &lt; 0.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DMSM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PS-induced TGF-${\beta}$ 1 production(P<0.05).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HSMT might have regulatory effects on cytokine production, which might explain its benefic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CI.

  • PDF

Netspag Lens를 이용한 Mono vision에서 시력개선 효과에 대한 P-VEP 연구 (The Effects of Visual acuity increase in mono vision by the P-VEP study using Netspeg lens)

  • 김덕훈;배한용;김선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5
  • 본 연구는 굴절이상을 가진 피검자의 단안에서 Netspeg lens를 착용 후 시력 개선의 상태를 P-VEP의 파형 분석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P-VEP는 3 channel의 Bausch Lomb system으로 기록하였다. 10명의 성인 피검자(남성 5인, 여성 5명; 평균 21세, 연령은 19세와 23세 사이)의 눈을 검사하였다. 피검자는 전신건강, 약물복용, 유전, 알레르기 그리고 안질환을 포함하는 문진 등을 조사하였다. 시력과 굴절검사는 Netspeg lens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단안을 기록하였다. 피검자는 P-VEP 기록을 하는 동안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단안의 P-VEP 자극을 본다. 연구의 결과 Netspeg lens를 사용한 단안은 사용하지 않는 눈에 비해서 시력 결상이 선영하게 자각되었다. 한편 P-VEP 검사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눈이 높은 진폭 나타 내었다. 그러나 P-VEP의 장복시간은 오히려 늦게 나타났다. 그러나 P-VEP이 형태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눈이 안정된 파형을 유지하였다. 한편 오른 눈과 왼눈의 유의성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단안에서는 그렇지 않는 눈에 비해서 시력과 시기능이 기능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 PDF

각막지형과 동공크기에 의한 굴절교정값의 변화 (Changes of Refractive Errors Caused by Corneal Shape and Pupil Size)

  • 노연수;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3-387
    • /
    • 2014
  • 목적: 동공크기가 달라질 때 각막의 고유한 형태가 굴절검사 완전교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33{\pm}1.78$세의 30명(60안)을 대상으로 검사실 조도 760 lx와 2 lx에서 각각 자각적굴절검사를 실시하여 단안 완전교정하고,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막지형을 측정한 후 peak data를 이용하여 각막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실 조도 760 lx에서 측정된 동공크기는 3.74~4.00 mm, 2 lx에서는 5.52~5.90 mm로 측정되었다. 760 lx에서 2 lx로 조도가 변화될 때 (-)구면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7안(28.3%), (+)구면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0안(16.7%), (-)원주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7안(28.8%), (-)원주굴절력이 감소한 경우는 9안(15.3%), 그리고 난시축이 변화한 경우는 36안(62.1%)이었다. 각막지형측정에서 나타난 peak data 분석 결과 각막 주경선의 변화는 4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결론: 동공확대에 따른 각막굴절면 확장은 각막의 고유한 형태로 인해 자각적굴절 검사값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각적굴절검사는 주된 생활환경에 맞는 조도조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동일 평면상의 자연 특징점 검출 및 추적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Planar Natural Feature Detection and Its Tracking)

  • 이아현;이재영;이석한;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4호
    • /
    • pp.49-58
    • /
    • 2011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커 기반의 증강현실 시스템은 카메라 입력영상 내에 마커가 항상 존재해야 한다는 제한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에 불편을 준다. 때문에 최근 배경 영상에서 취득할 수 있는 객체를 자연 마커로 생성한 시스템이나 배경 영상의 특징을 이용해 기하학적 지도를 작성하여 가상의 객체 정합에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들이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입력 영상에서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특징들을 검출하고, 이를 추적함으로써 카메라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특징점 추적에 사용된 추적 방법은 카메라에서 취득한 영상 밖으로 특징점이 벗어날 경우 더 이상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특징점을 재검출하여 객체의 정합을 유지하는 방법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미리 지정된 마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이 편리하고, 특정한 형태의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시스템보다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정간격의 두 능동마커를 이용한 저가형 단안 PSD 모션캡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ow-cost Monocular PSD Motion Capture System with Two Active Markers at Fixed Distance)

  • 서평원;김유건;한창호;유영기;오춘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2호
    • /
    • pp.61-7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게임에 적용 가능한 저가이면서 컴팩트한 모션캡쳐 시스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영화나 게임에 이용되는 모션캡쳐 시스템은 장비가 크고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간단한 가정용 게임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요즘 흔히 사용되는 USB CCD카메라를 이용한 모션캡쳐 게임은 속도가 느리고 2차원 인식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저가이면서 속도가 빠른 PSD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2차원 측정이 가능한 PSD센서를 이용한 3차원 모션캡쳐 시스템에는 2개 이상의 PSD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비전 기반의 PSD 모션캡쳐 시스템과 빛의 세기와 거리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하나의 PSD만으로도 3차원 측정이 가능한 광량보정 기반의 단일 PSD 모션캡쳐 시스템 등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된 두 시스템을 가정용 게임에 적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두 개 이상의 PSD 센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이고 복잡하다. 광량보정 기반의 단일 PSD 모션캡쳐 시스템의 경우에는 측정된 마커의 광량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기 하기 때문에 거리측정을 위해 전방향으로 균일한 광량을 가지는 마커를 만들어야 하므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마커가 광학적 특성만 동일하다면 두 마커 사이의 상대적 광량차이를 이용하여 3차원 측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저가이며, 빠르고, 컴팩트하고, 광각이며, 게임에도 적용가능한 단일 PSD 모션 캡쳐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개발된 시스템이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게임에도 사용되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인식 대비도의 변화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the Change in Contrast Threshold According to the Level of Optically Induced Retinal Defocus)

  • 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98
    • /
    • 2014
  • 목적: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대비도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알아보았다. 방법: 전체 69안을 대상으로 소수시력 각 단계별로 10단계의 다른 대비도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눈 앞에 +0.25 D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망막흐림을 유발한 다음 각 시표에 대한 단안시력과 인식대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유발된 망막상의 흐림이 증가됨에 따라 시력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0.25 D 부가하여 유발된 망막흐림에서 시력저하의 개인차는 1.2~0.6의 범위로 나타났다. +0.50 D와 +0.75 D 부가되었을 경우 각각 1.0~0.3과 0.9~0.1 범위의 개인차를 보였다. +1.00 D가 부가되었을 때 일부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는 대상안이 나타났고, +1.75 D 부가된 경우 모든 대상안들이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망막흐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인식 대비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최종적인 굴절이상 교정값을 결정할 때 잔여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구면과 토릭 소프트 렌즈로 교정한 약도 난시안의 대비감도와 눈부심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with Spherical and Toric Soft Contact Lenses in Low-astigmatic Eyes)

  • 이민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약도의 근시성 난시안의 토릭 소프트 렌즈와 다른 교정 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비감도 검사와 눈부심 장애 검사를 이용하여 시력의 질을 비교하였다. 방법: 1.50D이하의 경도 난시의 근시안인 남녀 대학생 20명(40안)을 대상으로 5가지 다른 방법(소프트렌즈 등가구면, 토릭 소프트 렌즈, RGP 렌즈, 난시교정 안경, 안경 등가구면)으로 교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교정시력이 20/20(1.0) 이상이었다. 대비감도 검사와 눈부심 장애 검사는 OPTEC$^{(R)}$ 6500을 이용하여 밝은 조도과 어두운(글레어) 조도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밝은 조도 하에서 난시교정 안경이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가장 높은 대비감도를 나타내었고, 토릭 소프트 렌즈, RGP 렌즈, 안경 등가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등가구면 처방 순으로 대비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두 정상 범위의 대비감도 영역에 포함되었다. 어두운 조도(글레어) 하에서는 토릭 소프트 렌즈 착용자가 가장 높은 대비감도를 나타내었고, RGP렌즈, 안경 등가구면, 난시교정 안경, 소프트 렌즈 등가구면 처방 순으로 대비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면 소프트렌즈 착용자는 어두운 조도(글레어) 하에서 정상 영역보다 낮은 대비감도 값을 보였다. 결론: 약도의 근시성 난시안의 교정으로 토릭 소프트 렌즈 교정이 구면 소프트렌즈보다 좋은 시력의 질(대비감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두운 조명에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야할 경우에는 토릭 소프트렌즈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청.장년층에서 조절력 및 조절반응과 조절용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Relation among Accommodative Amplitude, Response, and Facility in young adults)

  • 심현석;주석희;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5-11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조절력 및 조절반응과 조절용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이 없고 노안이 진행되지 않는 20~40대의 성인 남녀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시력을 완전교정한 후 조절력은 Push-Up 방법으로 검사하였고, 조절반응량검사와 조절용이성 검사는 각각 잭슨크로스실린더 ${\pm}$0.25D와 flipper +2.00/-2.00D를 이용하였다. 결과: 단안, 양안시 상태에서 조절력과 조절반응, 조절용이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양안시 상태에서 기대값과 다르게 나타난 안구의 수는 총 61안 중 23안(37.7%)로 이들 중 조절력이 12안(19.6%), 조절반응이 9안(14.7%), 조절용이가 2안(3.2%)으로 나타났고, 조절력과 조절반응이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4안(6.5%), 조절력과 조절용이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는2안(3.2%), 조절력과 조절반응, 조절용이 3가지 모두 기대값과 다르게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조절기능 평가 시 조절력검사와 조절반응검사, 조절용이성 검사는 각각 시행되어야 하며 조절기능의 결함이 의심 될 때에는 이들 항목의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 PDF

Obesity-Associated Metabolic Signatures Correlate to Clinical and Inflammatory Profiles of Asthma: A Pilot Study

  • Liu, Ying;Zheng, Jing;Zhang, Hong Ping;Zhang, Xin;Wang, Lei;Wood, Lisa;Wang, Gang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628-647
    • /
    • 2018
  • Purpose: Obesity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dysregulation, but the underlying metabolic signatures involving clinical and inflammatory profiles of obese asthma are largely unexplored. We aimed at identifying the metabolic signatures of obese asthma. Methods: Eligible subjects with obese (n = 11) and lean (n = 22) asthma underwent body composition and clinical assessment, sputum induction, and blood sampling. Sputum supernatant was assessed for interleukin $(IL)-1{\beta}$, -4, -5, -6, -13,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serum was detected for leptin, adiponectin and C-reactive protein. Untargeted gas chromatography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GC-TOF-MS)-based metabolic profiles in sputum, serum and peripheral blood monocular cells (PBMCs) were analyzed by orthogonal projections to latent structures-discriminate analysis (OPLS-DA) and pathway topology enrichment analysis. The differential metabolites were further validat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body composition, and clinical and inflammatory profiles. Results: Body composition, asthma control, and the levels of $IL-1{\beta}$, -4, -13, leptin and adiponectin in obese asthma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lean asthmatics. OPLS-DA analysis revealed 28 differential metabolites that distinguished obese from lean asthmatic subjects. The validation analysis identified 18 potential metabolic signatures (11 in sputum, 4 in serum and 2 in PBMCs) of obese asthmatics. Pathway topology enrichment analysis revealed that cyanoamino acid metabolism, caffeine metabolism, alanine, aspartate and glutamate metabolism, phenylalanine, tyrosine and tryptophan biosynthesis, pentose phosphate pathway in sputum, and glyoxylate and dicarboxylate metabolism, glycerolipid metabolism and pentose phosphate pathway in serum are suggested to be significant pathways related to obese asthma. Conclusions: GC-TOF-MS-based metabolomics indicates obese asthma is characterized by a metabolic profile different from lean asthma. The potential metabolic signatures indicated novel immune-metabolic mechanisms in obese asthma with providing more phenotyp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which needs further replication and validation.

A Study on Digital Healthcare Optometry System Using Optometry DB

  • Kim, Do-Yeon;Jung, Jin-Young;Kim, Yong-Man;Park, Koo-Rac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55-166
    • /
    • 2021
  • 최근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이 여러 분야로 전파되며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분야가 검안분야라고 파악하여 정밀한 렌즈 제작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검안시스템을 구현했다.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프롭터란 기기가 사용되며 이 기기는 안경을 의뢰한 피측정인의 시력을 측정하여 렌즈를 세팅해 준다. 그리고 피측정인이 안경 착용시 동공중심과 렌즈초점을 맞추기 위해 PD미터란 기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PD 측정 오차, 프롭터 수동제어로 인한 불편함 및 오차, 검안 정보를 축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램의 부재로 정밀한 렌즈 제작 및 검안 편의성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PD 측정을 위한 PD미터 설계, 프롭터 자동제어를 위한 프롭터 설계, 프롬터 제어 어플리케이션 설계, 피측정인별 검안정보를 활용해 렌즈를 자동 세팅해 주는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검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검안기 시스템을 구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