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orophium acherusicu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장봉도 갯벌의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와 조피볼락(Sebastes schiegeli)의 섭식생태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Sympatric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the Jn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4-94
    • /
    • 2007
  • The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reli populations was investigated in the Jangbong tidal flat near Incheon,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 modified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e stomach contents of 124 greenling and 115 Schlegel's black rockfish were analyzed. The diet of H. otakii was dominated by the amphipods Gammaropsis iaponicus, Caprella scaura, Isaeopsis sp.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the shrimps Latreutes mucronatus and Alpheus japonicus, the mysid Neomysis orientalis and the bivalve Mytilus edulis. In contrast, S. schlegeli mainly fed on the mysids N. orientalis, N japonica, and N. awatschensis, the shrimps Exopalaemon carinicauda, A. japonicus and L. mucronatus, and the fish Pholis fangi and unidentified gobiids. A comparison of the frequency and abundance of food items showed that crustaceans (e.g. amphipods, mysids and shrimps) were important foods for both species. Their main dietary components, however differed which is probably due to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wo species and their prey items. In conclusion, greenling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despite being sympatric on a tidal flat have distinct food habits and low dietary overlap (Schooner's index: 0.1). These results indicate, to some extent, resource partitioning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available foods in the tidal flat.

한려해상국립공원 조하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Korea Strait, Korea)

  • 윤건탁;서인수;김광봉;최병미;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124-133
    • /
    • 2009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6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거제 해금강지구에서 여수 오동도지구에 이르는 총 25개 정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284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단위면적당($m^2$)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2,002개체와 154.92 gWWt이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자료를 기초로 LeBris index(1988)를 이용하여 상위 20까지의 우점종을 선정하였다. 개체수에 있어서 상위 20위 우점종은 전체 출현 밀도의 47.64%를 점유하였고, 중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 이(S. longifolia), I. pulchella, M. californiensis, M. multibranchiata, Tharyx sp. 1 및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 fragilis)등이었다. 반면, 생체량에 있어서는 상위 20위 우점종들이 전체 중량의 70.47%를 점유하였고, 이 가운데 극피동물문의 염통성게(S. lacunosus), 연안거미불가사리 A. cadicola)와 이매패류의 새조개(Fulvia mutica)의 생체량이 높았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정점(정점 1과 4)과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점군 1은 펄함량이 우세한 정점들로, 정점군 2는 죽은 패각과 모래함량이 높은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특히, 펄함량이 높은 정점 군에서는 다모류의 양손갯지렁이(M. japonica), 오뚜기갯지렁이(S. scutata), P. pinnata, Tharyx sp. 1과 절지동물문의 단각류(옆새우류)에 속하는 M. sinense 및 E. sechellensis 등이 우점하였다. 반면, 모래함량이 많은 그룹 2에서는 다모류의 I. pulchella, M. multibranchiata, 단각류의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M. acherusicum), 극동육질꼬리옆새우(G. japonicus) 및 연안거미볼가사리가 특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