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ascus ank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 배인영;이광연;신민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44-748
    • /
    • 2004
  • 포도주 양조 시 사용되는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를 대체할 수 있는 발효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Monascus anka로부터 얻은 균체를 이용하여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Monascus anka 균체의 alcohol dehydrogenase 생성능은 S. cerevisiae를 100%로 보았을 때 56.89%를 나타내었으나, 발효 경향은 초기에는 S. cerevisiae보다 낮았으나 발효 4일 이후부터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알코올 함량도 12%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적포도주는 S. cerevisiae 적포도주에 비해 pH는 낮았으나 산도와 환원당 함량은 높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적포도주의 색상은 증가하고 탁도는 감소하였으며,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가 S. cerevisiae 적포도주보다 좋은 색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페놀함량은 Monascus anka 균체를 이용한 적포도주(1608.01 mg/L)가 S. cerevisiae 적포도주(1337.60 mg/L)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Monascus anka를 이용한 적포도주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duction of a Mutant, Monascus anka 732Y3 from Monascus anka KFCC 11832 and its Morphological Observations

  • Kim, Jun-Sung;Choi, Kee-Hyun;Choi, Jang-Yoon;Lee, Yoon-Soo;Chang, Young-Yo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134-138
    • /
    • 1993
  • Monascus anka 732Y3 was induced from Monascus anka KFCC 11832 (IFO 4478, ATCC 16360) by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The growth of this new fungus is frequently more dependent on sexual propagation than asexual propagation, compared with that of its parental strain, M. anka KFCC 11832. Less conidia than those of M. anka KFCC 11832 were observed by a microscope. The optical density of the red pigments ($OD_{500}$) produced by M. anka 732Y3 was 157, which was about 10 times higer than that of M. anka KFCC 11832. Such high production of the red pigments by the mutant could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observations.

  • PDF

홍국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Monascus anka Powder)

  • 김도완;김용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50
    • /
    • 2003
  • 홍국 분말을 식빵에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홍국 분말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 수율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보다 홍국 분말 첨가구에서 낮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식빵의 색깔, 향기, 맛, 질감 그리고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 홍국 분말 1% 첨가군에서 기호도가 높았다. 제품의 색깔은 홍국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되고, a와 b값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 측정 결과 홍국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신장성, 경도, 점성, 파쇄성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탄력성은 감소되었고, 응집성은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이 홍국 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빵 재료로 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암, 항균, 혈압 강하, 콜레스테롤 억제 등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nascus anka의 균주선발 및 색소생성 조건 (Pigment production in Monascus anka)

  • 김수언;김정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3호
    • /
    • pp.239-246
    • /
    • 1990
  • 유기 용매에 추출되는 유리형의 홍국 색소를 보다 많이 얻기 위하여 Monascus anka의 균주를 자연 및 자외선 변이균주에서 선발하고 배양 조건을 탐색하였다. 균주 N3를 Lin's medium에서 진탕 배양, Nishikawa's medium에서 정치 배양 및 진탕 배양하여 균체성장과 색소생성에 소요되는 시간, 유기용매에 추출되는 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보았다. Lin's medium에서의 액침 배양에서는 수용성 색소가 우세하게 생성되는 반면 Nishikawa's medium에서의 정치 배양에서는 보다 많은 유기용매 가용성의 색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탄소원으로는 자당외에 에탄올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Sterol 합성저해제를 처리하였을 때는 상당한 색소 형성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이차원 TLC로써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색소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균주의 색소중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황색소의 하나를 분리하였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ankaflavin으로 동정하였다.

  • PDF

고체배양에 의한 Monascus anka의 적색색소 생성의 최적 조건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onascus anka on Solid Culture)

  • 이승민;김현수;유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0
    • /
    • 2003
  • Monascus anka KCTC 6121을 이용하여 백미에 의한 고체 배양을 통한 실험균의 적색 색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실험균주가 생산하는 적색색소 생산의 최적 배양조건은 초기 수분함량 25%, 2.5$\times$$10^{6}$/mL의 실험균주의 포자, 배양온도3$0^{\circ}C$, 배양습도 90%에서 배양 12일째가 가장 양호했다. 생산된 적 색 색소의 추출은 80% 에탄올에서 2일간 추출이 가장 양호했으며 2일 이후의 색소 추출은 색소 추출량에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균주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빛에 대한 안정성은 반 직사광선에서 색소의 색상이 30일간 8% 미만으로 감소하여 햇빛에 대한 안정성은 비교적 높았다.

Monascus anka균의 돌연변이주에 의한 적색색소의 생산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utants of Monascus anka)

  • 류병호;이병호;박법규;김희숙;김혜성;김동석;이주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6
    • /
    • 1989
  • M. anka, Nakazawa et Sato IFO 4478과 6540 균주를 사용하여 적색색소의 최적 생산 조건을 검토한 바 pH6.0, 온도 $30^{\circ}C$에서 10일간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기질로서 탄소원으로는, 3.0% 쌀과 질소원으로는 1.0% 깨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산률을 보였다. 한편 MNNG의 처리에 의한 M. anka 4478-27과 M. anka 6540-185의 변이주는 가장 높은 색소생산능을 보였다.

  • PDF

Jar Fermenter에 의한 홍국의 배양, 색소특성 및 안정성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anka in a Jar Fermenter)

  • 김선재;임종환;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6
    • /
    • 1997
  • Monascus anka가 생산하는 색소는 균체외 적색색소(ERP)와 황색색소(EYP) 그리고 균체내 적색색소(IRP) 와 황색색소(IYP)로 분리되었고 각각의 색소는 특징적인 absorption spectrum을 나타냈다 분리된 4종의 색소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암조건, 자외선 그리고 형광하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지만 일광하에서는 색소가 급격히 퇴색하는 경향을 나타내 저장시 광차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pH에 대해서는 각 색소가 pH 2.0~12.0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온도의 영향은 60~8$0^{\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유기산 중에 tartaric acid와 citric acid가 홍국색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ropionic, formic, acetic, butyric, malonic, malic acid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홍국색소의 변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속 이온은 Cu$^{2+}$이었다.

  • PDF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ed by Monascus anka Y7)

  • 이호재;박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8-342
    • /
    • 2002
  •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활성 특성을 규명하였다. Y7의 조황색소는 그람 양성균보다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Candida 등과 같은 효모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황색소의 항균성분 중 TLC로 분리한 E2 분획은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며 373 nm에서 주된 흡광 특성을 보이고 있고 흡수 파장 범위가 장파장 부위로 넓어져 있어 외관상 진한 밝은 황색을 나타내는 형광색소이다. Y7의 조색소 및 각 TLC 분획의 HPLC분석 결과 citrin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Y7의 항균 특성이 최근 Monascus 색소에서 안전성의 논란이 되고 있는 citrinin과는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E2 분획을 주로하는 조황색소는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황색소인 치자황색소, 아나토색소, 홍화색소보다 황색도(b/a)가 매우 높고 이들 색소와 유사한 색조를 나타내므로 항균성을 보유한 대체 황색소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Monascus anka로부터 유기배양에 의한 적색소의 대량생산 (Red Pigment Overproduction by Fed-Batch Culture of Monascus anka)

  • 김희구;박근태;손홍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17-621
    • /
    • 1998
  •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glucose by fed-batch culture of Monascus anka was investigated. In batch culture using fermentor, 200 rpm of agitation speed, 1vvm of aeration volume, and 10% (v/v) of inoculum size were optimal, respectively. The red pigment production was increased by removal of wall-attached mycelium. In an intermittent feeding fed-batch culture, dry cell weight increased to 30 g/l, adn the red pigment content reached 350 of absorbance at 495nm. In a continuous feeding fed-batch culture, dry cell weight increased to 22g/l, and the red pigment content reached 190 of absorbance at 495nm.

  • PDF

Monascus 속간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적색색소의 생산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Using Protoplast Fusion of Monascus anka)

  • 류병호;이병호;박법규;김희숙;김혜성;김동석;노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7-44
    • /
    • 1989
  • Monascus 균주의 적색색소의 최적 생산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Monascus anka IFO 4478과 IFO 6540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인 M. anka, 4478-27-37 $(Thi^-,\;Met^-),\;4478-27-62\;(Thi^-,\;Arg^-)$와 M. anka, 6540-185-24 $(Pan^-,\;Leu^-)$ 6540-185-72$(Arg^-)$의 균주를 이용하여 세포융합을 시도하였다. Protoplasts의 생성은 chitinase (10mg/ml), cellulase (5mg/ml) 및 ${\beta}-glucuronidase\;(5mg/ml)$의 혼합처리가 효과적이었고, 융합조건은 protoplasts를 30% PEG 6.000, $0.01M-CaCl_2$ 및 0.05M-glycine, pH 6.0으로 처리했을 때 융합빈도는 0.7%-0.85%이였다. 융합주 중에서 No. 14와 42의 색소 생산능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