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kpo coastal water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8초

장기 파랑관측자료 분석 및 천해파 수치실험에 의한 강릉 해역의 천해설계파 (Shallow-water Design Waves at Gangreung Beach through the Analysis of Long-term Measured Wave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 Using Deepwater Wave Conditions)

  • 정원무;전기천;김건우;오상호;류경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43-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강릉 해수욕장 전면에서 20년간 관측된 파랑자료의 극치분석을 통하여 재현빈도 10, 20, 30 및 50년의 천해설계파를 도출하였다. 이들을 수산청(1988) 및 한국해양연구원(2005)에 제시된 강릉 해역에 대한 재현빈도별 심해파 조건을 경계조건으로 천해파 모델인 SWAN을 사용하여 관측지점에서의 파고를 구한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기존의 심해파 조건들로 계산한 강릉 해역의 천해파고는 관측치에 비해 상당히 작게 제시되었으며 그 차이는 재현빈도의 증가에 따라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해양연구원은 이전보다 상세한 격자와 WAM 모델을 사용하여 2004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의 역추산 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천해역의 관측 자료와 비교한 결과 1979~2003년의 자료에 비해 동계 폭풍파의 재현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2004년 이전에 대해서도 상세 격자와 WAM 모델을 사용한 역추산 자료의 생성 및 이를 사용한 심해파의 보완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구언 /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석환경변화를 고려한 목포항의 고극조위 산정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High Water Level at Mokpo Harbor Considering Tidal Environment Changes Induced by Seadike / Seawalls)

  • 강주환;문승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0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Proceedings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in Korea
    • /
    • pp.30-36
    • /
    • 2000
  • 목포해역에는 1981년과 1991년 및 1994년에 영산강하구언과 영암방조제 및 금호방조제가 각각 완공된 바 있으며, 이들 하구언과 방조제의 위치를 전반적인 목포해역의 형상과 수심도와 함께 Fig. 1에 도시하였다. Fig. 1에서 화원반도와 압해도 사이의 2개 섬으로 분리된 3개 수로를 남쪽부터 순차적으로 목포구, 중구, 북구라 하는데, 목포구의 단면이 월등히 커서 내측 수역과의 해수교환은 주로 목포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목포해역에서 목포구의 특별한 기능은 본문에서 여러 번 기술되고 있다. (중략)

  • PDF

Change in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of Oncorhynchus keta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 Young Seok Seo;Hyo Bin Lee;Joo Hak Jeong;Seong Jun Mun;Han Kyu Li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17-132
    • /
    • 2023
  •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s a species of anadromous salmonid inhabiting coastal rivers in the North Pacific and the Arctic in the Bering and i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among Pacific salmon species. It is an important fish species in Korea as the salmon releasing project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O. keta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period, and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glucose were analyzed from the blood sampl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Experiment I is a short-term water temperature experiment, in which water temperature stimulation was given for 4 hours at water temperatures of 12℃, 16℃ (control), 20℃, and 24℃, and a recovery period was given for 4 hours. Experiment II is an experiment in which water temperature stimulation was given for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at a high temperature of 24℃, and a recovery period was given for 12 hours, respectively. Experiment III is a long-term water temperature experiment, in which the water temperature was 12℃, 16℃ (control), 20℃, and 24℃ for 8 week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Experiment 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but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glucose in the plasma according to the set water temperatu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 II,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time of the high-temperature state, but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III,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 C (24℃) died in the 1st week,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glucose at the 1st and 8th weeks among the remaining experimental groups.

조석-해일 결합모형의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Coupled Tide-Surge Model)

  • 박선중;강주환;김양선;문승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48-25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조석과 해일이 결합된 범람모의 적용에 앞서 적용모형인 MIKE21 모형의 실시간 조석 및 조석-해일 결합모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시간 조석모의에 대한 적용성 검토결과, 한반도 주변해역을 모두 포함하는 광대역에 대한 모의결과임에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조석-해일 결합모의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높은 정도로 태풍 MAEMI(0314) 내습 당시의 수위 상승 양상의 재현이 가능하였을 뿐 아니라 태풍 MAEMI가 상륙한 통영, 마산, 부산 해역의 경우 관측조위와 정량적으로 매우 근접한 모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석의 영향이 강하고 수심이 복잡한 목포해역 일대에서는 조석과 해일 상호간의 비선형 효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특히 서남해안에서의 조석-해일 결합모형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Characteristics of Benthic Chlorophyll a and Sediment Properties in the Tidal Flats of Kwangyang Bay, Korea

  • Sin, Yong-Sik;Ryu, Sang-Ock;Song, Eun-Sook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49-161
    • /
    • 2009
  • Characteristics of benthic microalgae and sediment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intertidal flats of Kwangyang Bay, Korea. Sampling stations were selected every 100 m in the intertidal flats from land-side to open ocean at two different sampling sites. Samples were collected in June 2004, July, September, November, February and May 2005. Sediments properties were measured including temperature, water contents, sediment bulk density,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water.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 (0.5 cm) were measured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lorophyll a and various sediment propert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major mechanisms regulating biomass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flats using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ediment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maximum during winter and minimum during warm seasons ranging from 4.4 mg $m^{-2}\;to\;81.2\;mg\;m^{-2}$. No clear spatial variations were observed for the sediment chlorophyll a in the study sites.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benthic microalgae biomass was affected by sediment temperature and nutrients especially ammonium and silicate. Grazing effect was estimated using chlorophyll: pheopigments ratio, indirect indicator of grazing activity,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of the ratio and chlorophyll a implied that microalgae biomass is affected by grazing of zoobenthos although direct measurement of grazing activit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op-down controls in the benthic microalgae dynamics.

외국선박의 내수 및 영해 무단정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authorized Anchoring of Foreign-flag Vessels in Internal Waters and Territorial Sea)

  • 임채현;이창희;정대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0-289
    • /
    • 2022
  • 내수란 영해기선의 육지측 수역으로 연안국의 주권이 미치는 수역이며, 다만 직선기선을 채용하여 새로이 내수로 편입된 곳에서는 연안국의 주권과 함께 외국선박에게는 무해통항권이 인정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서남해안에 직선기선을 채용하여 무해통항이 인정되는 넓은 내수를 보유하고 있는데, 어업 안전 환경 안보 등 연안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내수를 이용하는 외국선박을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해의 경우에도 연안국의 주권이 미치는 수역으로 연안국의 주요 이익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수역이다. 최근 내수나 영해에서 무단정박 정류하는 외국선박과 충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우리나라 내수 또는 영해에서 무단으로 정박·정류한 외국선박의 충돌사고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외국선박의 내수 및 영해 통항에 관련된 국내외 법체계를 확인하고 고찰하여, 내수 및 영해에서 외국선박의 무단정박은 무해통항요건을 위반한 것으로, 관련 법률에 따른 처벌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내수 및 영해통항 및 정박에 관한 바람직한 법제도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recruited on artificial substrates in the Korean coast

  • Ye Ju Lee;Taekjun Lee;Jeongho Kim;Dong Gun Kim;Sook Shin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87-98
    • /
    • 2022
  •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south, and east coasts of Korea and to identify the indicator species representing each region. Acrylic attachment plate sets were installed in Jeongok, Mokpo, Tongyeong, Yangpo, and Gangreung, and the invertebrate fauna thus captured were identified. Monitoring was performed in each area from March 2017 to May 2018. Water depth, temperature, and salinity at each loca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influence of abiotic factors on the community structure. As a result, the mean depth of plates installed and the water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area. A total of 32 invertebrate species were identified in all localities, a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es compositions was found between Mokpo and Gangreung. The community structur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 change in the plate depth, and a larger number of indicator species appeared on shallower plates. Finally, we determin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invertebrates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the Korean ocean by characterizing the dominant invertebrate taxa and the indicator species at each site.

건기와 우기시 화원면 주변 해역의 수질 비교 (Water Quality in Hwawon Coastal Sea of Korea for Rainy and Dry Season)

  • 김도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3-200
    • /
    • 2007
  • 2006년 건기와 우기로 구분하여 연안개발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해남군 화원면 주변 해역의 15개 정점과 하천 2개 지점 그리고 공사장 배출구 1개 지점에서 pH, 투명도, 염분, SS, DO, COD, ${NH_4}^+$-N, ${NO_2}^-+{NO_3}^-$-N, TN, TP, ${PO_4}^{3-}$-P을 분석한 결과, pH, 투명도, 염분, SS의 경우, 90 mm이상의 집중 강우가 있었던 8월에는 공사장의 배출구와 하천수의 유입구 인근의 해역의 표층수에서 강우에 의한 담수의 유입과 공사장의 배출수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 지점에서는 정점 간, 수층 간 농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상과 달리 추계 건기에는 강한 바람에 의해 저층으로부터의 침전물질이 부유되어 SS의 농도가 하계의 강우시보다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외 COD, ${NH_4}^+$-N, TN, TP, ${PO_4}^{3-}$-P의 농도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공사로 인한 연안해역의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표층수의 수평적인 조사만으로 그 영향을 평가하기보다는 집중 강우에 의한 영향과 기상이나 해황특성, 침강특성이나 용출특성의 조사를 포함한 SS의 확산시뮬레이션 등으로부터 평가되어야 하겠다.

  • PDF

단면 유속관측을 통한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통과 유량 및 조량 산정 (Estimation of Net Flux of Water Mass and Tidal Prism at a Tidal Entrance through Bottom Tracking with ADCP)

  • 양수현;김용묵;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60-1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통과 유량 및 조량 산정을 목적으로 목포해역 내 조석 유입구에서 ADCP를 이용한 단면 유속관측이 수행되었다. 우선, 원시 관측자료는 지배적인 유속성분 도출을 위하여 단면의 회전정도를 고려한 좌표회전이 수행되었으며, 정규화를 통하여 수평/수직방향 Sigma 좌표로 변환되었다. 또한,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저면과 수면 근처의 Blank zone 데이터는 von-Karman 유속분포식을 이용하여 보간되었다. 보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단면통과 유량이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는데, 조석에 따른 단면통과 유량의 변화양상 뿐만 아니라 목포해역의 낙조우세적 조석특성이 잘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과거 연구들에서 제시되는 조량 산정자료의 조석조건을 보완하여 현장 관측자료에 기반한 조량산정 방법의 조건이 재정립되었으며, 새로운 정의에 근거하여 조석 유입구에서의 단면 유속관측 자료를 이용한 조량의 정량적 산정이 국내 최초로 수행되었다. 조량 산정결과는 과거 연구들로부터 도출된 조량과 조석 유입구 흐름 단면적의 상관관계 결과와 비교 분석되었으며, 산정된 결과는 과거 연구결과들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남해역 새우 양식장의 수질현황과 수질개선방안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Shrimp Aquaculture Farms of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 김도희;이화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9-163
    • /
    • 2004
  • 본 연구는 한국의 서남해 연안의 새우 양식장을 대상으로 pH, 염분, 용존산소, 암모니아질소 및 황화수소와 같은 새우 양식장의 수질과 저질을 조사한 후, 새우 양식장의 수질과 저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맑은 날씨와 흐린 날씨로 구분하여 현장의 새우 양식장에서의 용존산소의 일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정오부터 오후 6시까지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한 후 새벽 6시 경에 최소값을 보인 후 다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새우 양식장의 관리가 취약한 새벽녘에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인해 새우가 질식사 학 수 있으며, 계속적인 저 산소는 저질을 악화시켜 암모니아질소나 황화수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지나치게 용존산소가 낮은 경우와 용존산소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인위적 또는 자동적으로 용존산소를 조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의 새우 양식장에서의 암모니아 질소는 새우 양식장의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0.172-2.298 ppm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고, 황화수소 농도도 새우 양식장의 농도 기준을 훨씬 상회하는 0.075 ppm까지 나타나고 있어 암모니아질소의 생성 억제와 황화수소의 발생 억제가 새우 양식장의 수질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