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n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농약의 급성독성 평가를 위한 담수생물의 감수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Susceptibility of Freshwater Organisms for the Acute Toxicity Test of Pesticides.)

  • 신천철;이성규;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0-134
    • /
    • 1986
  • 본 실험은 3종의 농약(butachlor, trichlorfon, BPMC)에 대하여 3가지 실험종인 S. subspicatus, M. rectirostris와 O. latipes에 대해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여 급성독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각 실험종간의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1) 제초제 butachlor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 값은 S. subspicatus가 0.23 mg/1, M. rectirostris는 1.3 mg/1, O. latipes 0.58 mg/1으로서 S. subspicatus에 대해 butachlor가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2) 살충제 trichlorfon과 BPMC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값은 S. subspicatus에 대해 290 mg/1와 56 mg/1이상이었고, M. rectirostris에 대해서는 0.0011 ㎎/1와 0.011 ㎎/1, 그리고 O. latipes에 대해서는 70 ㎎/1와 11mg/1였다. 따라서 갑각류인 M. rectirostris가 이들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3) 급성독성값의 비율로 농약별 실험종간 민감도를 비교해 보면 제초제 butachlor에는 S. subspicatu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이며, 살충제 trichlorfon, BPMC에 대해서는 M. rectirostri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임이 판명되어 차후 각종 화학물질의 급성독성 실험시에는 실험된 3종 모두를 이용한 실험방법이 요구된다.

  • PDF

우리 나라에 분포하는 스파르가눔의 실험실 내 생활사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Spirometra erinacei)

  • 이순형;위재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3호
    • /
    • pp.161-174
    • /
    • 1990
  • 우리 나라에서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스파르가눔의 중간숙주를 파악하고, 각 단계의 유충을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실에서 키운 물벼룩(Mesocyclops leuckarti, Eucyclops serrulatusi Moina sp.)과 참개 구리의 올챙이를 각 단계의 유충에 접촉 감염시키고, 다음 단계의 유충을 얻어 다른 숙주에 감염시켰다 각 시기에 있는 유충의 발육과 형태를 관찰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실험적으로 스파르가눔을 개와 고양이에 감염시켜 얻은 Spirometra의 충란을 증류수에서 $29^{\circ}C$로 배양한 결과 10~14일에 유충(coracidium)이 탈각 부화하였다. 이 때 광선이 탈각을 촉진하였다. Coracidium은 평균 $43.8{\times}36.9{\;}{\mu\textrm{m}}$의 크기이었고, 길이 $12.8{\;}{\mu\textrm{m}}$의 섬모로 덮혀 있었다. 2. Coracidium에 노출된 물벼룩 중에서 M. leuckarti와 E. serrulatus가 procercoid 유충을 체강에 가지고 있었 다. 감염 5일에 형태가 갖추어지고, 10일에 제 2중간숙주에 감염 력을 가지며, 한 달 이후에는 석회화되었다. 이 유충의 전단에는 미세한 소극이 밀생하여 있었고, 체내에 칼슘소구(calcium corpuscles)가 관찰되고, 후단에 cercomer가 형성되어 있었다. 3. 감염된 물벼륵과 접촉시킨 모든 올챙이의 복강에서 스파르가눔(plerocercoid 유충)이 회수되었다. 을챙이에 서 감염 후 20일에 길이 1mm이내의 서양배 형의 작은 충체가 관찰되었고, 45일에는 길이가 약 4mm정도의 유충이 회수되었다. 4. 마우스에 경구감염시킨 procercoid 유충은 감염 후 17일 및 19일에 스파르가눔으로 성장하였고 각각 5.7% 및 7.1%의 충체가 회수되었다. 5. 올챙이에서 얻은 스파르가눔을 개와 고양이에 감염시킨 결과 15~17일에 대변에서 Spirometra의 충란이 검출되 었다. 감염 후 6주에 개에서 회수한 충체는 길이가 110cm, 폭이 0.8cm이 었다. 성숙 편절의 자궁이 4~5회 의 나선형이고 한 펀절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 1 : 2.9이었다. 횡단 절편된 펀절에서 생식공과 질구가 간격을 두 고 개구하고, 음경낭과 저정낭이 하나의 낭을 형성하여 Spirometra erinacei의 기술과 일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우리 나라의 논, 저수지, 수로, 개천 등에 흔히 분포하는 담수 갑각류 중에서 M. leuckarti 와 E. serrulatus가 스파르가눔의 중간숙주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란의 배양에서부터 종숙주의 충란 배출까지 약 2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고, 우리 나라 자연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안정 배양을 위한 배양 용기의 크기 선택 (Selection of Culture Scale for Stable Culture of an Estunrine Cladoceran Diaphanosoma celebensis)

  • 정민민;김형신;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69
    • /
    • 1999
  • 전세계의 담수역에 널리 분포하는 Daphnia나 Moins와 같은 담수산 물벼룩은 잉어, 붕어, 금붕어와 같은 담수어의 종묘 생산과정에서 먹이 생물로서 널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는 안정 배양, 대량 배양이 어렵다는 이유로 로티퍼나 알테미아 이외에 널리 이용되는 먹이 생물은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해산 물벼룩보다는 비교적 배양이 용이한 기수산물벼룩 D. celebensis의 배양 용기의 크기가 안정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종 보존 배양 수준의 40ml 배양에서는 16일간의 배양 기간중 14일째에 최고 밀도가 3.416$\pm$0.396 ind./ml에 달하였다 1,500ml와 15,000ml의 준 대량 배양에서는 각각 배양 개시후 12일째와 21일 째에 14.2$\pm$2.122 ind./ml와 2.489$\pm$1.618 ind./ml의 최고 밀도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실험 기간중 배양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세가지 배양 수량간 상대적 개체군 증식 지수 (RPGI)의 비교 결과에서는 1,500ml의 배양 용기에서 가장 안정적인 증식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매일 수확 가능한 기수산 물벼룩 D. celebensis의 개체수를 계산한 결과에서도 (possible harvesting number/ind./ml/day) 1,500ml의 배양 용기에서 가장 높은 3.567$\pm$0.607ind./ml/day가 수확 가능하였다. 한때 필요성에 의하여 담수산 물벼룩을 해산어의 종묘생산 과정에서 먹이생물로 이용한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기수산 물벼룩을 해수에서 배양하여 해산 자치어의 먹이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