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n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47초

해산어 종묘생산을 위한 물벼룩(Moina macrocopa)의 대량생산

  • 강석중;최병대;김광양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3-194
    • /
    • 2000
  • 근래에 들어 어류 양식 분야가 활기를 띠면서 어류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먹이생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응하는 먹이생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먹이생물로 이용되어온 것은 chlorella와 rotifer, artemia 등이며 chlorella와 rotifer는 현재까지 배양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어 이용되고 있으나 artemia는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급감하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전량수입에 의존하여 국가적 손실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체먹이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담수산 지각류, Moina macrocopa 배양밀도 향상을 위한 환경요인과 수중 격자의 이용

  • 권오남;이균우;박흠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7-198
    • /
    • 2002
  • 현재 주로 양식되고 있는 어종은 양적, 질적으로 우수한 종묘를 생산할 수 있는 초기 먹이생물 사육기술을 갖추고 있다. 이들 어종의 종묘생산과정은 rotifer, Artemia의 먹이단계를 거쳐 배합사료를 공급하는데, 최근 Artemia의 생산과 품질의 불안정으로 인해 겪게 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은 더 없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Artemia 단계의 다양한 먹이생물 개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중략)

  • PDF

해양 효모로 배양한 Moina macrocopa의 영양가

  • 박혜영;강창근;이원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7-208
    • /
    • 2002
  • 종묘 생산을 위한 사료 재발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나 대부분 Chlorella$\longrightarrow$Rotife$\longrightarrow$Artemia$\longrightarrow$인공사료의 순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Artemia는 다양한 크기로 먹이에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외화 낭비는 물론 최근에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 Artemia 생산이 억제되어 수입 양 제한 등으로 수입가격이 수배로 폭등한 실정이다. (중략)

  • PDF

Moina sp. 배양을 위한 해양효모의 유효성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증거

  • 박혜영;강창근;이원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2-153
    • /
    • 2003
  • 어류나 갑각류 등의 종묘 생산을 위해 아직은 살아 있는 먹이 생물이 필수적이며, 대체 사료가 일부 개발되었지만 실제로 종묘생산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먹이 생물은 외국산 Artemia이다. 특히 몇 년 전부터는 Artemia 대량 수출국인 미국 유타주에서 Artemia 채취를 일부 금지시켰으며, 동남아시아에서도 자국의 종묘생산용을 제외하고는 수출용 Artemia 채취를 금지할 예정이므로 이로 인한 외화 낭비를 막기 위해 이에 대한 대체먹이 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곶자왈 지역의 의약물질과 농약의 오염수준과 생태독성영향 (Contamination Levels of Pharmaceuticals and Pesticides in the Gotjawal Regions of Jeju Island and Associated Ecotoxicities)

  • 강하병;고수림;최윤송;이상우;고영림;오달영;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6-437
    • /
    • 2013
  • Objective: Gotjawal refers to a special geographical designation found in Jeju Province, Korea, where vegetation forms over a rocky area. Due to the important ecological value of Gotjawal, international concern about such areas is growing. However, only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Gotjawa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contamination and associated ecotoxicological effects of surface water bodies in Gotjawal. Methods: Surfac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sampling sites in two Gotjawal areas and were analyzed for several pharmaceuticals and pesticides in consideration of the potential sources of contamination. The ecotoxicity of the samples was measured using water fleas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and zebrafish (Danio rerio). In addition, effects on the gene transcription of zebrafish were investigated following exposure to the samples. Results: Nine pharmaceuticals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but none of the target pesticides were detected. Following acute exposure to two surface water samples, the survival of waterfleas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reproduction was not affected. In zebrafish, time-to-hatch was delayed and fry survival was decreased in some samples. On the other han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there were no gene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posure to the sampl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Gotjawal areas and associated ecotoxicitie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identify the cause of acute Daphnia toxicity and to determine potential consequences of longer-term exposure in Gotjawal areas.

계절적인 강우와 기온의 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반응 종에 관한 연구 (Study on Response-Species of Zooplankton to the Seasonal Change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 송영희;이원철;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9-20
    • /
    • 2003
  • 2002년 5월부터 11월까지 한강지류를 대상으로 강우와 기온에 따라 반응하는 분류군과 종을 조사하였다. 윤충류 (Rotifer) 23종, 지각류 (Cladocera) 10종, 요각류(Copepoda) 8종 그리고 원생동물(Protozoa) 1종으로 총42종이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5월이 가장 높은 풍부도와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여름 강우로 지각류와 윤충류의 풍부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가장 높은 풍부도를 보였던 윤충류의 5월 우점종은 Brachionus urceolari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 Brachionus quadridentatus, Brachionus calyciflorus였다. 8월에는 Monostyla bulla, Conochilus unicornis가 11월에는 Brachionus quadridentatu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가 다수 출현하였다. 지각류는 5월에 Moina weismanni, Simocephalus vetulus, Scapholebris mucronata, Chydorus sphaericus가 8월에는 소수의 Chydorus sphaericus, Scapholebris mucronata가 11월에는 Chydorus sphaericus, Alona rectangula가 우점을 이루었다. 클러스트링 (nearest neighbour clustering)을 통해 5월과 11월의 조사지에 따른 유형은 유사하였으나 8월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국 담수산 지각류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Freshwater Cladocera from Korea)

  • 윤성명;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175-207
    • /
    • 1987
  • A taxonomic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freshwater cladocerans from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85 to May 1987. Materials consist of both the specimens deposited at Department of Zo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ose collected at the freshwater regions such as rivers, lakes, ponds, bogs, rice fields, etc. During the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eciemens collected at the 123 locations in South Korea, 31 species of 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 this paper, the authors submit the figures of the 31 species, of which the following 13 species were descirbed as hitherto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Diaphanosoma Leuchtenbergianum Fisher, 1858 : Simocephalus vetulus 9O.F.Mller, 1776) ; S. esxpinosus (koch, 1841); Ceriodaphnia reticulata (Jurine, 1820) ; Scapholeberis mucronata (O.F. Mller, 1785) ; Moina weismanni Ishikawa, 1896 : Ilyocryptus agilis Kurz, 1878 ; Biapertura affinis (Leydig, 1860) : Camptocercus rectirostris Schodler, 1862 ; alona costata Sars, 1862 ; Disparalona rostrata (Koch, 1841); Pseudochydorus globosus (Barird, 1843) ; Leptodora kindtii(Focke, 1844)

  • PDF

담수산 로티퍼, Brachionus calyciflorus의 미소 배양 생태계에서 관찰된 혼재생물간의 종간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Coexisting Micro-organisms in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Culture Tanks as Microcosm)

  • 정민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14
  • One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s very useful as a live food organism for early larval rearing of freshwater aquaculture industry. However, the knowledge about freshwater rotifer culture is scarce. On the other hand, marine rotifer culture as live food organisms is done, almost perfectly. In this study, I show to be benefit experimental results for successful freshwater larval rearing through the observation with microcosm structure in freshwater rotifer culture tanks.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살충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ute Toxicity of an Insecticide Cartap to Several Species of Freshwater Animals)

  • 변상지;최승윤;김광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49
    • /
    • 1984
  • 본 시험은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 발현(發現)에 미치는 동물(動物)의 종류(種類), 수온(水溫) 및 pH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담수산동물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 LINNE),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G{\"{U}}NTHER$), 미꾸리(Misgurus anguillicaudatus CANTOR) 및 둥근물벼룩(Moina macrocopa STRAUS)이었다.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과 물의 경도(硬度)는 각각 $6{\sim}8\;ppm$, $22{\sim}40\;ppm$으로 고정하고, 수온(水溫)의 수준(水準)은 $20^{\circ}C$, $25^{\circ}C$, $30^{\circ}C$이었고 pH치(値)의 수준(水準)은 6, 7, 9이었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水溫) $25^{\circ}C$, pH 7에서 cartap의 TLm (median tolerance limit)치(値)는 금붕어, 왜몰개, 미꾸리에서 낮았고, 등근물벼룩에서 높았다, 금붕어에 대한 48시간 TLm치(値)는 0.88 ppm, 왜몰개는 0.26 ppm, 미꾸리는 0.13 ppm이었고, 등근물벼룩의 3시간 TLm치(値)는 306 ppm이었다. 2) pH치(値)를 7로 고정하고, 수온을 $20^{\circ}C$, $25^{\circ}C$, $30^{\circ}C$로 하였을 때, cartap의 TLm치는 금붕어와 왜몰개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낮아졌으나 둥근물벼룩에서는 $25^{\circ}C$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둥근물벼룩에 대한 3시간 TLm치(値)는 $20^{\circ}C$에서 107 ppm, $25^{\circ}C$에서 306 ppm, $30^{\circ}C$에서 77 ppm이었다. 3) 수온을 $25^{\circ}C$로 고정하고 pH치를 6, 7, 9로 하였을 때, 금붕어와 왜몰개는 pH치가 높아질수록 TLm치(値)도 높아졌으나, 둥근물벼룩은 높은 pH치에서 TLm치가 낮아졌다. 미꾸리의 사망율은 pH치가 커질수록 사망율이 현저히 증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cartap의 담빙산동물(淡氷産動物)에 대한 독성발현도(毒性發現度)는 동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수온(水溫)과 pH의 영향도 크게 받는데, 그 변화양상(變化樣相)은 요인(要因)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물벼룩 표준생태독성시험법 확립을 위한 10종 용매대조물질에 대한 독성반응 비교 (Comparison of Toxic Response of Cladocerans to Organic Solvents to Establish the Standard Test Guidelines Using Korean Native Species)

  • 김병석;박연기;양유정;홍순성;박경훈;정미혜;김세리;박경훈;예완해;김두호;윤종철;홍무기;경기성;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5
    • /
    • 2010
  •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 Daphnia magna대한 10종 유기용매에 대한 급성독성을 조사하여 독성이 낮으면서도 농약의 용해도가 좋은 유기용매를 시험에 사용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물벼룩에 대해 급성독성이 가장 강한 유기용매는 ethyl acetate로 조사되었으며 DMF, dioxane, isopropanol 3종은 무영향 농도가 EPA에서 급성독성시험에 추천하는 최고 사용농도인 0.5 ml/L 이하로 조사되어 다른 유기용매에 비해 독성이 강하였다. 따라서 독성이 낮으면서 수용해도가 높고 농약원제의 용해성이 좋은 acetone, methanol, ethanol, acetonitrile을 권장 시험용매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