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penma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3초

Penman식에서 보정계수 (C)가 잠재증발산량에 미치는 효과 -수원지방의 수도에대하여- (The Effect of Adjustment factor(c) in Penman Equation -For Paddy in Suwon-)

  • 정하우;김성준;임정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57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the effect of Adjustment factor (C) in Penman equation In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by Doorenbos and Pruitt (1977), Potential Evapotranspiration(PET) was calculated in cases of (1) neglecting Adjustment factor (C=1, 0, A), (2) fixing Day/Night wind ratio (URATIO) to 2.0(B-l) and computing daily URATIO (B-2), and was compared with Actual Evapotranspiration (AET) for paddy fields in Suwon (1985-1986).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is study results ; 1. Using 1985-1986 meteorological data, daily average PET in cases of A, B-i, B-2 were 4.61 mm/day, 4.81 mm/day and 5.36 mm/day respectively and daily average AET was 4.26 mm/day. The increment ratios of PET based on case A were 100%, 104.34% and 116.27% 2. The range of Adjustment factor (C) in cases of B-i, B-2 were 0.916-1.140 and 0.922-1.392 respectively. 3. The regression coefficient(r) between AET and PET in cases of A, B-i, B-2 were 0.928, 0.924 and 0.915 respectively.

  • PDF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를 통한 논벼 증발산량 산정 방법 평가 (Assessment of paddy ri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based on comparison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 김상현;조건호;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131-114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공급계획 및 수리시설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논벼 수요량 추정에 있어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농업용수 공급량을 기반으로 평가해 보았다. 증발산량 산정 방법은 기존의 논벼 수요량에 적용 되어온 Modifeid-Penman (MP) 방법과 최근에 농촌진흥청에서 작물계수 개발에 적용한 Penman-Monteith (PM) 방법이 고려되었다. 호남지역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지구를 선정하여 기상특성을 분석하고, MP 방법과 PM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을 산정하여 현장의 용수 공급량과 비교분석하여 증발산량의 적용성을 평가해 보았다. 대상지구의 기상특성은 30년 기간 연평균 및 논벼 생육기간 평균기온은 증가하고 연평균 강우량과 논벼 생육기간 강우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상특성은 증발산량 산정과 논벼 수요량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증발산량 산정방법 적용에 의한 수요량 결과 비교분석에서 MP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이 PM 방법 보다 더 높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분석에서 MP 방법이 PM 방법 보다 더 적은 격차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현장여건이 반영된 농업용수 공급량 기반 평가에서 논벼 수요량 산정에 MP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농업용수 관리계획 및 용수공급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기후특성을 고려한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 지역화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Hargreaves Equation Based on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 문장원;정충길;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9호
    • /
    • pp.933-946
    • /
    • 2013
  • 유역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분석하거나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사항은 증발산에 대한 정량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발산량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은 기온, 풍속 등 기상학적 인자를 바탕으로 잠재증발산량 또는 기준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Hargreaves 공식은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간단한 경험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greaves 공식을 우리나라에 적용함에 있어 보다 정확한 기준증발산량 추정이 가능하도록 공식의 매개변수를 지역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일사량 관측자료와 기온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수정 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수정 관계식과 Penman-Monteith 방법에 의한 기준증발산량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Hargreaves 공식의매개변수지역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와 기온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기온자료로부터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기존 Hargreaves 공식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Penman-Monteith 방법에 비해 과대 또는 과소 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할 경우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온자료로부터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는 관계식에 대한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관계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obable Evapotranspiration of Paddy Rice using Dry Day Index

  • 장하우;김성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E호
    • /
    • pp.72-78
    • /
    • 1995
  • To support some knowledge in planning irrigation system, short or long-term irrigation scheduling or determining irrigation reservoir capacity, it is necessary to estimate peak irrigation requirement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demands for various return periods. In this paper Dry Day Index and Probable Evapotranspiration were evaluated to decide seasonal consumptive use of paddy rice for a design year using several decades' daily rainfall data and 5 years'('82~'86)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respectively. To obtain Dry Day Index that is defined as the number of probable dry days for a given period, Slade unsymmetrical distribution function was adopted. Dry Day Index was analysed for 5 and 10-day intervals. Each of them was evaluated with return periods of 1, 3, 5, 10 and 20 year. Their singnificance was tested by X$^2$ method. Based on these values, the Probable Evaportanspiration, that is the average daily ET both in dry days and rainy days during a given period, was estimated. Crop coefficient was also determined by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proposed by Doorenbos & Pruitt.

  • PDF

일조시간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 추정 (Estimation of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Daily Sunshine Hour)

  • 이길하;조홍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27-640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일사량과 일조시간에 관한 통상적인 선형관계식보다 정확한 비선형 관계식에 대한 적용검토를 수행한다. 일조시간을 이용한 일사량 추정에 이어서 Penman-Monteith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우리나라 20개 지점의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 자료를 포함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선형 그리고 수정 비선형 Angstrom 방정식을 보정하고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일조시간과 일사량 사이의 선형과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의 상대비교를 수행하였다. 선형 및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방법 모두 RMS 오차는 5.96, NSC(Nash-Sutcliffe Coefficient)는 0.95로 추정되었고,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기준 증발산량에 크게 기여하는 하계에는 그 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개선된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MS-PT) 알고리즘 기반 실제 증발산량 산정 (Evalu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algorithm)

  • 최민하;박종민;백종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6
    • /
    • 2016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에 따라 수문 순환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수문 기상 인자들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증발산은 수문순환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대기와 지표간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산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증발 접시 및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지점 자료만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의 변동성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지점 자료만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출하게 되면 공간적인 변동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약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위성 기반의 수문 기상인자를 물리식 기반 증발산량 산정식의 입력 자료로 구축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이에 대한 시 간적인 변동성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위성 기반 증발산량 산정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로 공기동역학적 항과 에너지 수지 항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Penman-Monteith 방법을 근간으로 수정하여 만들어낸 Remote Sensing based Penman-Monteith (RS-PM) 알고리즘이 있다. 그러나 RS-PM 기반의 증발산량 경우 태양복사열, 풍속, 온도, 습도와 같은 많은 수문기상인자들이 입력 자료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입력 자료를 사용하는 Modified Satellite-Based Priestley-Taylor (MS-PT) algorithm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순복사에너지 (Net radiation) 및 실제 증발산량 (Actual evapotranspiration)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청미천 유역에 설치되어있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순복사 에너지 및 실제 증발산량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기준증발산량 추정을 위한 Hargreaves 공식의 계수 보정 (Calibration of Hargreaves Equation Coefficient for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Korea)

  • 황선아;한경화;장용선;조희래;옥정훈;김동진;김기선;정강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8-249
    • /
    • 2019
  • 기준증발산량은 기온, 풍속, 습도 등 기상요소를 바탕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Hargreaves 공식은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간단한 경험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Hargreaves 공식은 풍속이 3 m s-1 이상인 지역에서는 과소평가 되고, 상대습도가 높은 지역은 과대평가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greaves 공식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보다 정확한 기준증발산량 추정이 가능하도록 계수 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종관기상관측지점(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의 최근 11 년(2008-2018) 동안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Panman-Monteith 공식으로 기준증발산량을 추정하였고, 이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지점별로 Hargreaves 공식의 계수를 보정하였다. 우리나라 82 개 지점에 대하여 지역별로 보정된 계수는 내륙지역이 50 개 지점이며, 0.00173~0.00232(평균0.00196)로 기본값인 0.0023 과 비슷하거나 낮게 산정되었다. 반면, 해안지역은 32 개 지점이며 지역별로 보정된 계수의 범위는 0.00185~0.00303(평균 0.00234)으로 동해안지역은 기본값과 비슷하거나 높게 산정된 반면, 서해안과 남해안지역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Hargreaves 공식의 계수를 보정하여 기준증발산량을 추정한 결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계수 보정 전 0.634~1.394(평균 0.857)에서 계수 보정 후 0.466~1.328(평균 0.701)로 낮아지고, NSC(Nash-Sutcliffe Coefficient)는 계수 보정 전 -0.159~0.837(평균 0.647)에서 계수 보정 후 -0.053~0.910(평균 0.755)로 높아짐에 따라 기준증발산량의 추정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Hargreaves 공식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Penman-Monteith 공식에 비해 과대 또는 과소 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계수를 보정하여 이용할 경우 정확도가 높은 기준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읍면동단위 기준증발산량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Database for Future Climate Scenarios)

  • 김태곤;서교;남원호;이제명;황세운;유승환;홍순욱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71-80
    • /
    • 2016
  • Meanwhil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ET0)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agricultural management including irrigation planning and drought assessment, the database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for future periods was rarely constructed especially at districts unit over the country.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provides several meteorological data such as precipitation, average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radiation for long-term future period at daily time-scale. This study aimed to build a database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climate forecasts at high resolution (the outputs of HadGEM3-R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o estimat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e implemented four different models such as FAO Modified Penman, FAO Penman-Monteith, FAO Blaney-Criddle, and Thornthwaite. The suggested database system has an open architecture so that user could add other models into the database. The database contains 5,050 regions' data for each four models and fou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developed database system provides selecting features by which the database users could extract specific region and period data.

漢江水系 다목적댐 下流 日 流出 模擬 硏究 (A Research on the Daily Runoff Simulation for the Downstream Region of Multipurpose Dams in the Han River)

  • 이상호;김영성;신용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575-585
    • /
    • 1997
  • 한강유역 다목적 댐의 하류지역에 대한 이수목적의 방류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일 단위 유역 유출체계를 구성하였다. 강우-유출 연속모의 모형은 NWSRFS의 유역요소를 Tabios III 등이 수정한 모형(1986)을 사용하였고, 잠재 증발산량은 Penman 식으로 산정하였다. 하도추적 모형은 DWOPER를 사용하였다. 하도추적 체계는 북한강을 본류구간으로 하고 소양강과 남한강이 합류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은 5개 소유역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구성된 체계로서 '86년과 '90년의 유출을 모의하였다. 4월부터 11월까지 모의한 결과, 하류 댐지점들의 7일 또는 30일간 계산 유량합은 방류실적과 8.7∼31.6%의 평균 절대오차를 보였다. 총 방류량을 총 계산 유량값과 비교할 때, 10% 이내의 절대오차를 보였다. 1986년의 경우에, 여주 수위관측소에서는 4월∼8월 사이에 약 0.5m의 수위계산 오차를 보였으나, 9월 이후에는 대부분 0.2m 이하의 오차를 보였다. 1990년의 경우에, 미래 저수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현재 저수위를 하류 및 내부경계조건으로 고정한 모형수행 결과, 실제 저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근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밭 관개의 계획용수량 및 시설용량의 정립에 관한 연구 -증발산량 실측에 의한 밭용수량의 추정에 관하여-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ject Duty of Water and Facility Capacity in Upland Irrigation - On the Estimation of Duty of Water for the Upland Crops by the Measurement of Evapotranspiration -)

  • 김시원;김선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44
    • /
    • 1988
  • The evaportranspiration of upland crops was measured by four types of lysimeter and wat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together with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by the crops was defind. Among th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formulas, the constant of wind function in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was corrected to agree with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Korea. The evapotranspiration of the crops in the project standard year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ropping system of the project area in Chungju, and from the estimated evapotras - spiration, net duty of water per one time and irrigation in terva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vapotranspiration of the same crop measured at the same plot was slightly different by the lysimetric methods, and among the four types of lysimeter, the accuracy of the floating lysimeter was the highest. 2. The yields among the watering treatments showed the significance of 5% in the expe- riment with red cabbage and Chinese cabbage, and significance of 1% in the crisphead lettuce, and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for the tested crops was defined ad pF 2.0 by the least squre difference test. 3. The evapotranspiration of the crops in the mid-season stage showed maximum among the growing stages, and the average daily evapotranspiration by the crops over the growing seasons of cabbage, crisphead lettuce, Chinese cabbage, summer cucumber, tornato, salary and autumn cucumber was 4.18mm, 4.77mm, 3.9qrnm, 5.68mnn, joonim, 4.26mm and 3.3qrnn, respectively. 4. From the investigated soil moisture extration pattern(SMEP) of the crisphead lettuce, cucumber and tomato, the proportion of the first layer in the initial stage showed over so%, and the SMEP of the lowest fourth layer during the late-season stage in the experiment cabbage and Chinese cabbage was 15.8% and 16.9, respectively, with showed that the root elongated th the lowest soil layer. 5. The total available moisture(TAM) of clay loam was 21.2-23.3mm and that of sandy loam was 16.1 - 19.0mm under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of pF. 2.0, and the total readily available moisture( TRAM) of the crops cultivated in the clay loam soil was larger than that cultivated in the sandy loam soil, and the TRAM during the mid-and late-season were larger than that of the inital and crop development stage. 6. The estimated evapotranspration by the corrected Pennam equation, whkh corrected the constant of the wind function in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was nearly agreed with the actually measured evaporanspiration of grass. 7. Among the several evapor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the evapotranspiration es- timated by the corrected Pennam equation was closed to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of reference crop (grass) evapotranspir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use the corrected Penman equation to determine the duty of water of corps. 8. The average crop coefficient (Kc) of cabbage by the corrected Penman equation was 0.94 and that of crisphead lettuce, summer cucumber, tomato, salary, Chinese cabbage and autumn cucumber was 1.07, 1.22, 1.02, 1.01, 1.35, 1.09, respectively 9. The estimated total evapotranspiration of cabbage in the project area( Chungju) by the corrected Penman equation was 223.9mm and that of crisphead lettuce, Chinese cabbage, summer cucumber, tomato, salary and auturun cucumber was 215.7mm, 205.9mm, 359.Omrn, 300.9mm, 332.lmm and 202.7mm, respectively. 10. The net duty of water per one time of the crops cultivated in the sandy loam soil, and the net duty of water per one time in the mid-season & late-season showed larger than that of the initial stage. 11. The shortest irrigation interval of cabbage in the project area was 4.2 days, and that of crisphead lettuce, Chinese cabbage, cucumber, tomato and salary was 1.2days, 2.3days, 1.8days, 2.2days and 2.7day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