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penma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논벼에 대한 Penman-Monteith와 FAO Modified Penman 공식의 작물 계수 산정 (Estimation of Paddy Rice Crop Coefficients for FAO Penman-Monteith and Modified Penman Method)

  • 유승환;최진용;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13-23
    • /
    • 2006
  • In 199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ddressed that FAO Modified Penman method possibly over-estimates consumptive use of water comparing to the measured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PET) and Penman-Monteith method can be better choice for accurate PET estimation. Nevertheless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research efforts about paddy rice crop coefficient for Penman-Monteith method. This study aims to estimate paddy rice crop coefficients for Penman-Monteith and FAO modified Penman methods in the manner of comparing two equations. To estimate the crop coefficients, measured evapotranspiration data during 1982-1986 and 1995-1997 were used. The average Penman-Monteith crop coefficients ranged from 0.78 to 1.58 for translated paddy rice and from 0.87 to 1.74 for flood-direct seeded paddy rice. The average FAO Modified Penman crop coefficients ranged from 0.65 to 1.35 for translated paddy rice and from 0.70 to 1.58 for flood-direct seeded paddy rice.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 박창근;황준식;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39-949
    • /
    • 2020
  • 현재 농업환경 및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지 수요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정부에서는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통합 물 관리시대를 본격화 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61%라는 가장 많은 용수를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논 용수 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잠재증발산량 산정식 선정에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은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ns: 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이 아닌 과거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정 Penman 식이다. 또한 실제 증발산량 산정의 주요 인자인 작물계수는 23년 전의 작물계수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기후 및 작물품종 변화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전주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Penman 및 Penman-Monteith 식을 비교한 결과 수정 Penman 식이 Penma-Monteith 식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큰 값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적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높게 발생되는 5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 두 산정방식에 의한 결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북 김제지역 4개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량과 산정된 농업용수 수요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잠재증발산량 뿐 아니라 담수심법에 따라 최적 수요량 산정방법에는 차이를 보였다.

수정 Penman 및 Penman-Monteith 논벼 증발산량 방법 적용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능 분석 (Analysi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Application of Modified Penman and Penman-Monteith Methods)

  • 조건호;한경화;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6호
    • /
    • pp.93-10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applications of two different evapotranspiration (ET) estimation methods on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WR) for paddy rice and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modified Penman (MP), traditional method, and the Penman-Monteith (PM), the new adopted method, were applied on 149 reservoirs located in Honam province for this study. The weather date was used from 1987 to 2016, and analysed the trend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during rice growing season between past and current 10 years respectively. The increased average temperature and rainfall were observed from the current 10 years compared to the past years. This phenomena impacts on the results of ET and IWR estimations with decreased IWR obtained from high rainfall regions and increased ET obtained high temperature regions. For the comparisons of application results of two ET approaches, the PM method showed lower ET and IWR, and hence more reliable storage capacity of the reservoirs respect to water supply to paddy field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fluences of different ET methods applications on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reservoirs are negligible for the cases of over 3.7 watershed ratio and 670 mm unit reservoir storage, while significant variations of the results obtain from the applications between two ET approaches for the opposite case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ield condi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M method estimating ET in the fields of paddy farming.

논벼에 대한 Penman-Monteith 공식의 작물 계수 산정 (Estimation of Paddy Crop Coefficients for Penman-Monteith Method)

  • 유승환;최진용;장민원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0-25
    • /
    • 2005
  • In 199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ddressed that FAO Modified Penman method possibly overestimates consumptive use of water comparing to the measured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PET) and Penman-Monteith method can be better choice for accurate PET estimation. Nevertheless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research efforts about paddy rice crop coefficient for Penman-Monteith method. This study aims to estimate paddy rice crop coefficients for Penman-Monteith method. To estimate the crop coefficients, measured evapotranspiration data during 1982-1986 were used. The average Penman-Monteith crop coefficients for transplanted paddy rice were ranged in $0.78\;{\sim}\;1.58$.

  • PDF

Penman식의 적용에 있어서 지역별 일사량 추정을 위한 계수의 산정 (A Calculation of th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the Regional Radiation in Using the penman Equation)

  • 고희원;황은;김시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6-110
    • /
    • 1989
  • To suggest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imation of crop evaportranspiration by the ca- lculated coefficients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suitable to the different regions of korea in application of Penman equcation, the daily data such as sc(skycover), n(actual sunshine hours), N(possible sunshine hours), Rs(horizontal solar radiation) and Ra(extraterrestial solar radiation) for 10 years (from 1977 to 1986) collected from 19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efficients a, b and c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taken by the regression method with the daily and monthly mean data of the skycover and the ratio of Rs to Ra were shown as a=0.619, b= -0.0202, c= -0.0023 and a=0.64, b=0.0377 c=0.0001 in ave- rage respectively. 2. The coefficients a and b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analysed by the regression and arithmetic method from the daily ratio of sunshine hours and Rs to Ra were shown as a= 0.157, b= 0.529, and a=0.119, b= 0.726 in average, respectively. 3. The coefficients a and b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calculated by the regression me- thod based on the monthly ratio of sunshine hours and radiation were shown as a=0. 319 and b= 0.557 in average. 4. The values of a and b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take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ratio of sunshine hours and radiation showed high significance level. 5.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coefficient of variance between the radiation calculated from the coefficients by the regression and arithmetic method with the daily data and the actual radiation were analysed and compared to the results by the coefficients of the modified Penman method (a=0.18, b=0.55) and by those of the F.A.O inodified Penman method(a=0.25, b=0.5).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coefficient of varia- nce by the regression method in this study showed the lowest value. 6.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egression method using the coefficients take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sunshine hours and the ratio of radia- tion based on the daily data has the highest accuracy in estimating the radiation. 7. The averag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estimating by the modified Penman me- thod using the coefficients a and b derived by the regression method from the daily meterological data was closer to the actual evapotsranspiration of grass measured in Suwon area than the estimated evapotranspiration by the modified Penman method and the F.A.O modified Penman method.

  • PDF

온실의 환경요인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수경 재배 파프리카의 증산량 추정 (Transpiration Prediction of Sweet Peppers Hydroponically-grown in Soilless Culture via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 Greenhouse)

  • 남두성;이준우;문태원;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1-417
    • /
    • 2017
  • 광도, 포차와 같은 환경요인과 엽면적 지수와 같은 생육요인은 증산 속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Penman-Monteith의 증산 모델과 인공신경망(ANN)에 학습에 의한 증산속도 추정값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cv. Fiesta)의 증산속도 추정은 로드셀을 이용한 배지의 중량변화를 통해 계산하였다. 온도, 상대습도, 배지 중량 데이터는 1분 단위로 2개월간 수집하였다. 증산량은 일차식으로는 정확한 추정이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Penman-Monteith식에 보정 광도를 사용한 수정식 Shin 등(2014)을 사용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ANN을 사용하여 증산량을 추정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도, 온도, 습도, 엽면적지수, 시간을 사용한 입력층과 5개의 은닉층으로 구성된 ANN을 구축하였다. 각 은닉층의 퍼셉트론 개수는 가장 정확성이 높은 512개로 하였다. 검증 결과, 보정된 Penman-Monteith 모델식의 $R^2=0.82$이었고, ANN의 $R^2=0.94$로 나타났다. 따라서 ANN은 일반적인 모델식에 비해 정확한 증산량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후 수경재배의 효율적인 관수전략 수립에 있어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도 포장의 실증발산량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over Paddy Rice Field)

  • 이변우;김병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18-524
    • /
    • 1990
  • 수도포장에서의 실제 증발산량을 보웬비-열수지법에 의하여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대형 및 소형증발계 증발산량 및 Penman-Monteith 모델에 의해서 계산된 기초증발산량으로 부터의 수도포장 실제증발산량 추정의 신속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수원측후소 수도포장에서 통일계인 서광벼를 공시하여 수행되었다. 실제증발산량은 BE-ARN system(Bilan D'Energie Automatique Regionale Numerique; I.N.R.A)을 이용하여 보웬비열수지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대형 및 소형증발계 증발산량은 수원측후소 로장의 잔디위에서 측정되고, 기준 증발산량은 당소의 종관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수정된 Penman-Monteith 모델로 계산하였다. 1. 일평균 알베도는 0.15-0.25 범위에서 변하였으며, 엽면적지수 4까지는 엽면적의 증가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였으며 그 이후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2. 수도포장에 입사되는 일사량중 맑은 날 순폭사량으로 배분되는 비율은 50-80% 범위였으며 생육시기가 진전됨에 따라서 낮아졌다. 3. 순폭사량중 증발산에 배분되는 비율이 열수지항중 가장 커서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서 80-120%의 범위였으며 생육후기에는 가장 낮았으며, 증발산잠열이 순폭사량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이유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생육기간중 일당 실제증발산량은 기상조건에 따라 0.1mm-8mm 범위에서 변하였다. 5. 보웬비-열수지법에 의한 실제증발산량과 대형증발계 증발량, 소형증발계 증발량 및 기준증발량과는 유의한 직선회귀 관계가 있었는데 이들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61, 0.793 및 0.914였다. 6. 대형증발계 및 소형증발계 증발산량 Penman-Monteith 모델에 의해 계산한 증발산량을 기준증발량으로 한 벼의 생육기간중의 평균 증발산비 또는 작물계수는 각각 1.57, 1.10 및 1.49였으며 각각의 변이계수는 28.7, 22.7 및 12.8%였다. 7. 기준증발량에 근거한 작물계수는 엽면적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하였으며 출수기경에 최대치를 보였으며,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8. 이상의 결과들의 종합하여 볼 때 실제증발산량의 추정에는 종관기상자료를 이용하여 Penman-Monteith 모델로 계산한 증발산량을 기준증량으로 이용하는 것이 증발계 증발량을 기준증발량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추정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실제증발산량(AET)과 Penman-Monteith 모델에 의한 기준증발량(RET)간의 회귀식 AET=0.1$\pm$1.52 RET를 이용할 경우 실제증발산량을 전생육기간을 통해서 약 10% 오차범위내에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생육시기별로 생물계수를 계산하여 이를 이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Comparis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with limited data in South Korea

  • Jeon, Min-Gi;Nam, Won-Ho;Hong, Eun-Mi;Hwang, Seonah;Ok, Junghun;Cho, Heerae;Han, Kyung-Hwa;Jung, Kang-Ho;Zhang, Yong-Seon;Hong, Suk-Yo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37-149
    • /
    • 2019
  • Accurate estim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is important to quantify crop evapotranspira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hydrological,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fields. It is estim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direct measurements with lysimeters, or by many empirical equations suggested by numerous modeling using local climatic variables. The potential to use some such equations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the necessary meteorological parameters for calculating the RET in specific climatic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RET equations using limited climatic data an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trends of the RET in South Korea. We evaluated the FAO-56 Penman-Monteith equation (FAO-56 PM) by comparing several simple RET equations and observed small fan evaporation. In this study,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Hargreaves equation, and FAO Penman-Monteith equation with missing solar radiation (PM-Rs) data were tested to estimate the RET. Nine weather stations were considered with limited climatic data across South Korea from 1973 - 2017, and the RET equations were calculated for each weather sta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mean error (ME), mean absolute error (MA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FAO-56 PM recommended by the Foo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showed good performance even though missing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data and could still be adapted to the limited data conditions. As a result, the RET was increased, and the evapotranspiration rate was increased more in coastal areas than inland.

농업용수 공급량 기반 논벼 수요량 산정을 위한 증발산량 산정 방법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ET methods Applied to Paddy Rice Water Demand Estimation based on Agricultural Water Supply)

  • 김상현;조건호;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415-415
    • /
    • 2020
  • 국내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에 있어서 논벼 수요량은 수정 Penman (Modified Penman: MP) 방법에 의한 증발산량을 기반으로 산정하고 있으나, 최근 국제식량농업기구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및 국내 농진청 등에서는 Penman-Monteith (PM) 방법에 의한 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벼 수요량 산정에 있어 우리나라 실제 현장여건에 적합한 논벼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기존에 적용하고 있는 MP 방법과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PM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 산정 결과를 실질적으로 벼 생산에 공급된 저수지 공급량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진청에서 PM 증발산량 작물계수를 도출한 현장실험지구를 포함하는 호남지역을 대상으로 저수지 100 만톤 이상의 한국농어촌공사 관리지역 중 농업용수 공급량 자료가 신뢰성 있는 대표지구를 선정하였다. 농업용수 실제 공급량 자료를 기반으로 두 증발산량에 의한 논벼 수요량 산정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MP 방법에 의한 수요량이 PM 방법에 의한 수요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MP 방법에 의한 수요량이 PM 방법에 의한 수요량 보다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차이가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대체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 농업용수 공급량 및 논벼 수요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공급량과 수요량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 비해 농업용수 공급일수가 감소함으로써 공급량과 수요량과의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농업용수 공급량을 기준으로 논벼 수요량 산정에 있어 증발산량 산정방법은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계획과 수리시설 설계에서의 이수안전도 확보차원에서 MP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적으로 논벼 수요량 산정은 증발산량 산정방법 외에도 유효우량 산정방법, 수로손실, 재배관리손실 등의 다양한 관련 인자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증발산량 산정방법과 더불어 이들 인자들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논벼 수요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요구된다.

  • PDF

지역특성을 고려한 pan 증발량 산정식 평가 (Evaluation of Equations for Estimating Pan Evapora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임창수;윤세의;송주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B호
    • /
    • pp.47-62
    • /
    • 2009
  • 지구가 온난화됨에 따라서 발생되는 기후변화는 증발과 같은 수문순환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IPCC, 2001). 또한 지역특성에 따른 기후변화가 증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지형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연별 pan 증발량을 모의하기 위한 6개 증발식들의 적용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56개 연구지역을 지리지형적 특성(도시화율, 해안근접성, 지역 평균경사, 수역면적)에 따라서 분류하고, 기존에 제안된 증발식(Penman, Kohler-Nordenson-Fox(KNF), DeBruin-Keijman, Priestley-Taylor, Hargreaves, Rohwer)을 적용하여 pan 증발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Penman 증발식의 풍속함수를 보정하고 보정된 식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KNF식은 가장 pan 증발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서 8.72%의 상대오차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Penman 식은 8.75%의 상대오차를 보였으며, 반면에 질량이동에 근거한 Rohwer 식이 기장 큰 상대오차(33.47%)를 보였다. 그리고 풍속함수와 풍속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 Penman 식의 풍속함수 보정을 통하여 증발량 산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