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scanned digital model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Accuracy of intraoral scans of edentulous jaws with different generations of intraoral scanners compared to laboratory scans

  • Kontis, Panagiotis;Guth, Jan-Frederik;Schubert, Oliver;Keul, Christi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5호
    • /
    • pp.316-326
    • /
    • 2021
  • PURPOS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different intraoral scans versus laboratory scans of impressions and casts for the digitiz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MATERIALS AND METHODS. A PEEK model of an edentulous maxilla, featuring four hemispheres on the alveolar ridges in region 13, 17, 23 and 27, was industrially digitized to obtain a reference dataset (REF). Intraoral scans using Cerec Primescan AC (PRI) and Cerec AC Omnicam (OMN), as well as conventional impressions (scannable polyvinyl siloxane) were carried out (n = 25). Conventional impressions (E5I) and referring plaster casts were scanned with the inEOS X5 (E5M). All datasets were exported in STL and analyzed (Geomagic Qualify).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s were evaluated by virtually constructed measurement points in the centers of the hemispheres (P13, P17, P23, P27) and lines between the points (P17-P13, P17-P23, P17-P27). Kolmogorov-Smirnov test and Shapiro-Wilk test were performed to test for normal distribution, Kruskal-Wallis-H test, and Mann-Whitney-U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eness, followed by 2-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cision (P < .008). RESULTS. Group PRI showed the highest trueness in linear and angular parameters (P < .001), while group E5I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P < .001). CONCLUSION. Intraoral scan data obtained using Primescan showed the highest trueness while the indirect digitization of impressions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To enhance the workflow, indirect digitization of the impression itself appears to be a reasonable technique, as it combines fast access to the digital workflow with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impression of mucosal areas.

Comparison of different impression techniques for edentulous jaws using three-dimensional analysis

  • Jung, Sua;Park, Chan;Yang, Hong-So;Lim, Hyun-Pil;Yun, Kwi-Dug;Ying, Zhai;Park, Sang-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3호
    • /
    • pp.179-18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novel impression methods and a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for edentulous jaws using 3-dimensional (3D) analysis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Five edentulous patients (four men and one woman; mean age: 62.7 years) were included. Three impression techniques were used: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CI; control), simple modified closed-mouth impression method with a novel tray (SI), and digital impression method using an intraoral scanner (DI). Subsequently, a gypsum model was made, scanned, and superimposed using 3D analysis software. Mean area displacement was measured using CI method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e impression surfaces as compared to those values obtained using SI and DI methods. The values were confirmed at two to five are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CI and SI were compared at all areas, while CI and DI were compared at the supporting areas.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for all dat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t P value <.05.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the CI and SI methods, the greates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andibular vestibule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the difference was < 0.14 mm in the maxilla. The difference in the edentulous supporting areas between the CI and DI methods was not significant (P>.05). CONCLUSION. The CI, SI, and DI methods were effective in making impressions of the supporting areas in edentulous patients. The SI method showed clinically applicability.

The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temporary crowns fabricated with several 3D printers and a milling machine

  • Junsik Lee;Sungwon Ju;Jihyung Kim;Sion Hwang;Jinsoo Ah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2호
    • /
    • pp.72-7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various 3D printers and a milling machine. MATERIALS AND METHODS. The die model was designed using CAD (Autodesk Inventor 2018 sp3). The 30 ㎛ cement space was given to the die and the ideal crown of the mandibular left first molar was designed using CAD (ExoCAD). The crowns were produced using the milling machine (Imes-icore 250i) and the 3D printers (Zenith U, Zenith D, W11)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 all groups, the interior of each crown was scanned (Identica blue) and superimposed (Geomagic Control X) with the previously designed d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e and the actual crown was measured at specific points. The Kruskal-Wallis test, the Mann-Whitney test, and Bonferroni's method were performed with a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P < .008 in inter-group comparison P < .001 in intra-group comparison). RESULTS. In all groups, the center of the occlusal area and the anti-rotational dimple are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and the marginal area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comparatively. The mean value of the difference in each area and the sum of the differences were higher in order of W11, Imes-icore 250i, Zenith D, and Zenith U. CONCLUSION. The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ethod shows higher accuracy compared to the sereolithography (SLA) method using the same resin material.

문화재 원형복원을 위한 수치사진측량과 광학스캐닝기법의 응용분석 (Application Analysis of Digital Photogrammetry and Optical Scanning Technique for Cultural Heritages Restoration)

  • 한승희;배연성;배상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869-876
    • /
    • 2006
  • 파편형태로 출토되는 토기 문화재의 경우 신속하고 정확한 복원이 중요한 과제이다. 기존의 방법은 시행착오법으로 조합하므로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왔다. 이를 3차원스캐닝방법으로 쉽게 모델링 할 수 있다면 조각끼리의 조합작업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原形)의 토기를 3차원 패턴스캐닝 방법과 사진측량방법으로 모델링하였으며 파손으로 인한 각각의 토기조각을 스캐닝하고 모델링하였다. 사진측량의 영상획득을 위해 Canon EOS 1DS real size 디지털사진기를 검정하여 사용하였다. 형성된 모델의 단면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조합하였으며 잔차와 칼라오차맵을 통해 오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상박물관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웹기반 3차원 시뮬레이션환경을 구축하였다.

Cone-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미맹출 영구치의 계측 (ACCUR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PREDICTING THE DIAMETER OF UNERUPTED TEETH)

  • 김성희;김영종;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9-144
    • /
    • 2012
  • 본 연구는 CBCT(Cone-beam computed tomography)영상에서 미맹출 치아 크기 측정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매복치를 주소로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 환자 중 진단 목적으로 CBCT 채득에 동의한 환자의 미맹출 견치 및 소구치 69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CBCT 영상에서 측정한 미맹출 치아의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와 동일한 치아가 구강 내로 완전히 맹출한 후 채득한 석고 모형에서 대상 치아를 digital caliper로 측정한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BCT 영상에서 미맹출 치아를 계측하는 방법은 재현성이 높다(ICC=0.91). 2. CBCT 영상에서 측정한 미맹출 치아의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와 석고 모형에서 측정한 대상 치아의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는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r=0.91). 3. CBCT 영상에서 측정한 미맹출 치아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와 석고 모형에서 측정한 대상 치아의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CBCT 영상에서 측정한 미맹출 치아 최대 근원심 폭경의 계측치가 석고 모형에서 측정한 대상 치아의 최대 근원심 폭경 계측치보다 평균 0.2 mm 작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임상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 생각된다.

디지털 수술용 가이드의 지지타입에 따른 정확도 평가 (The accuracy evaluation of digital surgical stents according to supported type)

  • 이준연;윤민호;박태석;전인곤;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16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하여 지지 형태에 따른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5세트의 치아모형에 대하여 양측에 지대치가 있는 치아지지형 무치악 모델과 근심에만 지대치가 있는 치아-조직 지지형 무치악 모델을 제작하였다. 모델을 스캐닝을 시행하고,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In2Guid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정보와 모델 스캐닝 정보를 중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USII, $4{\times}10mm$, Osstem, Seoul, Korea)에 대한 가상적인 위치배열을 실시하고 수술용 스텐트 제작하였다. DMAX 수술 키트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였다. 식립후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찍어 술전에 계획된 임플란트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 사이에 오차(angle difference, coronal difference, apical difference)를 측정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악궁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하악이 전반적으로 각도, 길이오차의 값이 작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스텐트의 지지 형태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치아지지형 스텐트가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길이오차와 각도오차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결론: 악궁(상악, 하악)은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치아 지지형 스텐트는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더 적은 오차를 보여 주었다.

다양한 CAD/CAM 제조 방식으로 제작한 3본 고정성 임시 치과 보철물의 정확도 비교 (Accuracy comparison of 3-unit fixed dental provisional prostheses fabricated by different CAD/CAM manufacturing methods)

  • 이혁준;이하빈;노미준;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31-38
    • /
    • 2023
  • Purpose: This in vitro study aimed to compare the trueness of 3-unit fixed dental provisional prostheses (FDPs) fabricated by three different additive manufacturing and subtractive manufacturing procedures. Methods: A reference model with a maxillary left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molar prepped and the first molar missing was scanned for the fabrication of 3-unit FDPs. An anatomically shaped 3-unit FDP was designed on computer-aided design software. 10 FDPs were fabricated by subtractive (MI group) and additive manufacturing (stereolithography: SL group, digital light processing: DL group, liquid crystal displays: LC group) methods, respectively (N=40). All FDPs were scanned and exported to the standard triangulated language file. A three-dimensional analysis program measured the discrepancy of the internal, margin, and pontic base area. As for the comparison among manufacturing procedures,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Results: Regarding the internal area, the root mean square (RMS) value of the 3-unit FDPs was the lowest in the MI group (31.79±6.39 ㎛) and the highest in the SL group (69.34±29.88 ㎛; p=0.001). In the marginal area, those of the 3-unit FDPs were the lowest in the LC group (25.39±4.36 ㎛) and the highest in the SL group (48.94±18.98 ㎛; p=0.001). In the pontic base area, those of the 3-unit FDPs were the lowest in the LC group (8.72±2.74 ㎛) and the highest in the DL group (20.75±2.03 ㎛; p=0.001). Conclus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MS mean values of all the groups.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subtractive manufacturing method, all measurement areas of 3-unit FDPs fabricated by three different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are within a clinically acceptable range.

가상 골격-치열 하이브리드 이미지 생성을 위한 구강 스캐너의 활용 (Intraoral Scan for Virtual Skull-Dentition Hybrid Images of Young Patients)

  • 이주희;양병은;이혜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7-64
    • /
    • 2022
  • 콘빔 전산화 단층촬영(CBCT)은 치열을 왜곡시켜 추가 치열 이미지가 필요하다. 치열 이미지로 주로 사용되는 석고 모형을 대신해 구강 스캐너로 CBCT의 치열 이미지를 보완할 때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만 12 - 18세의 20명에게 상악에 대한 석고 모형, 구강 스캔 이미지, CBCT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비교를 위해 두 종류의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였는데, 그 중 하나의 구강 스캐너로는 전악을 3분할하여 각각을 스캔한 후 이들을 병합해 전악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얻은 가상 골격-치열 하이브리드 이미지를 석고 모형을 통해 얻은 이미지와 중첩하여 각 기준점에서의 좌표 값의 차이와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구강 스캐너로 분할하여 스캔하는 방법을 시행했을 때 평균 거리 2 ㎛를 보여 가장 적게 나타났다. 구강 스캐너를 적절히 이용하면 가상 골격-치열 하이브리드 이미지를 위한 치열 이미지로 훌륭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oes the palatal vault form have an influence on the scan time and accuracy of intraoral scans of completely edentulous arches? An in-vitro study

  • Osman, Reham;Alharbi, Nawa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5호
    • /
    • pp.294-30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alatal vault configurations on the accuracy and scan speed of intraoral scans (IO) of completely edentulous arche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different virtual models of a completely edentulous maxillary arch with different palatal vault heights- Cl I moderate (U-shaped), Cl II deep (steep) and Cl III shallow (flat)-were digitally designed using CAD software (Meshmixer; Autodesk, USA) and 3D-printed using SLA-based 3D-printer (XFAB; DWS, Italy) (n = 30; 10 specimens per group). Each model was scanned using intraoral scanner (Trios 3; 3ShapeTM, Denmark). Scanning time was recorded for all samples. Scanning accuracy (trueness and precision) were evaluated using digital subtraction technique using Geomagic Control X v2020 (Geomagic; 3DSystems, US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was used to detect differences in scanning time, trueness and precision among the test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5. RESULTS. The scan process could not be completed for Class II group and manufacturer's recommended technique had to be modified. ANOVA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eness and precision values among the test groups (P=.959 and P=.658, respectively). Deep palatal vault (Cl II) showed significantly longer scan time compared to Cl I and III. CONCLUSION. The selection of scan protocol in complex cases such as deep palatal vault is of utmost importance. The modified, adopted longer path scan protocol of deep vault cases resulted in increased scan time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디지털 스캔 정확도 및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 비교 연구 (Accuracy of implant digital scans with different intraoral scanbody shapes and library merging according to different oral exposure height)

  • 정병준;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7-35
    • /
    • 2021
  • 목적: 현재 임상에서 스캔바디를 이용한 임플란트의 디지털 인상이 활용되고 있으나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덴티폼 상에서 36번 치아를 삭제 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3D 프린터로 주모형을 출력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세 종류(A, B, C)의 구내 스캔바디를 준비하여 각 그룹마다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36번 부위에 임플란트를 이상적인 위치로 식립 후 스캔바디를 15 N으로 체결하였다. 스캔바디가 체결된 주모형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master reference file (대조군)을 STL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file로 생성하였다. 이후 구강 스캐너로 10회의 연속적인 스캔을 시행하여 10개의 STL file (실험군)을 생성하였다. 3D 측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들의 STL file들을 중첩한 후 좌표계 상에서 다음과 같은 값들을 도출하였다: 1) 스캔바디 상 특정 point의 거리 편차 2) 스캔바디 장축의 각도 편차. 두 번째 실험으로는 스캔바디의 구강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스캔바디 스캔 데이터를 7, 4.5, 2.5, 1.5, 1.0, 0.5 mm 총 6 가지 높이로 준비하여 라이브러리 파일과 중첩하였다. 전체가 노출된 7 mm 데이터를 대조군으로 하여 거리 편차와 각도 편차를 계산하였다. 결과: 첫번째 실험에서 A, B 스캔바디 간(P = .278), B, C 스캔바디 간(P = .568), C, A 스캔바디 간(P = .711) 스캔 파일의 거리 편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 B 스캔바디 간(P= .568), B, C 스캔바디 간(P = .546), C, A 스캔바디 간(P = .112) 스캔 파일의 각도 편차 또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스캔바디는 구강 내 노출 높이가 높은 실험군(GH, Gingival Height = 4.5)의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가 높이가 낮은 실험군(GH = 0.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5). 결론: 스캔바디의 각기 다른 형태에 따른 스캔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캔바디의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라 라이브러리 중첩의 정확도는 증가한다. 추후 in vivo 환경에서 더 다양한 형태의 스캔바디를 이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