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ck-up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51초

수화 온도 저감형 결합재를 이용한 매스콘크리트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현장 Mock-up Test를 중심으로- (A Study on Field Application of the Mass Concrete using Hydration Temperature-Reducing Binder - Focused on the Mock-up Test-)

  • 서일;권해원;박희곤;김유진;김우재;이재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71-372
    • /
    • 2010
  • 본 연구는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발열 시멘트 및 온도 저감형 결합재를 사용하여 현장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 Mock-up Test를 실시한 결과이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저발열 및 온도 저감형 결합재를 사용한 수화열은 각각 44, $54^{\circ}C$로 나타났다.

  • PDF

잠수함 개념 설계를 위한 디지털 목업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Mock-up for Conceptual Design of a Submarine)

  • 김태환;전상후;신동목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157
    • /
    • 2009
  • In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submarine, an expensive real mock up is usually built as a reference because of the spatial constraints of a submarine.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and automated design process for a submarine that uses a digital mock up. Various equipment libraries are built for feature based design. Using the developed digital mock up, this paper shows various ways to verify the design, including a space analysis to check for any interference between pieces of equipment and the hull and an ergonomic analysis using lifelike dummies to examine the work space and operability. As a part of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a design automation system was also developed to generate surface point data for the outer hull, pressure hull, casing, and sail. The whole process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a submarine for verification.

NORSOK 적용 선박의 Cabin Unit Mock Up 차음성능 계측평가 (Sound Ins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for Cabin Unit Mock Up in Vessel Satisfying NORSOK Standard)

  • 박진형;박형식;박노준;권혁;서용석;서종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9
    • /
    • 2014
  • NORWAY 해역에서 시추 및 생산 작업을 위한 시추선 및 생산 설비의 경우, 엄격한 기준인 NORSOK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NORSOK 기준은 선원들의 안전과 안락성을 위한 Working Environment 만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선원들의 거주구역에 안락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소음의 기준을 제시하고 만족을 요구한다. Cabin Unit 이 적용되는 선박의 경우 실선과 동일 조건의 Mock Up 을 제작하여 차음성능 계측 및 평가를 실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NORSOK 이 적용되는 선박의 Cabin Unit 의 Mock Up 차음성능 만족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선조립공법을 활용한 원전구조물 철근모듈화 Mock-up 실험연구 (Mock-up Test for Nuclear Power Plant Rebar Modulation Applying Febrication)

  • 임상준;이병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4
    • /
    • 2015
  • To minimize construction of nuclear facility, it is required to reduce reinforcing bar amount and solve reinforcing bar concentration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ication design technology and modular of high strength reinforcing bar. Hence, KHNP reduces excessive reinforcing bar amount which can cause possibility of poor construction of concrete through design standard development and modular of nuclear facility structure using high strength reinforcing bar to raise economics and has its purpose to maintain high-level safety and durability as they are. After reviewing the rebar drawing of the NPP structures and performing the mock-up test, the rebar modulation method in the various area of the NPP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 PDF

부품수가 많은 조립체 설계를 위한 동시공학의 구현: Part (II) -설계 변경을 줄이기 위한 Digital Mocj-Up 시스템의 개발- (Implementation of Concurrent Engineering for Large Assembly Design: Part(II) -Developmen of a Digital Mock-Up System for Reducin Design Changes-)

  • 정융호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03-110
    • /
    • 1997
  • In the development of large complex assembly, most design changes are from the following reasons.: 1)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assembling sequence of downstream process. 2) interference and fit-up of related parts. 3) initial design changes which are not completely resolved. In order to reduce the first reason of above, the assembly-centric modeling methodology was proposed in the part (1) of the thesis. In this part (2), a Digital Mock-Up system, which is a tool to build a virtual mock-up in design stag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the other two reasons. The system can build a virtual assembly in various ways as followings.: 1) assembling parts which are located in user defined envelope. 2) assembling parts with the specified disciplines. 3) assembling parts that are selected in the part list. It can also make an assembly by the combination of above methods. In addition to that, it has the functions to read/write the virtual assembly and to explode parts of the assembly in desired direction. With the virtual assembly, engineers can design interference free parts without making physical mock-up. Th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with Oracle database management system in CATIA environment.

  • PDF

ITER 일차벽의 Cu/SS Mock-up에 대한 고열부하 시험 (High Heat Flux Test of Cu/SS Mock-up for ITER First Wall)

  • 이동원;배영덕;홍봉근;이종혁;박정용;정용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5-330
    • /
    • 2006
  •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조달용 일차벽의 제조 건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일차벽을 구성하는 Cu/SS mock-up을 제작하여 고열부하 시험을 수행하였다. Cu/SS mock-up은 CuCrZr과 SS316L이 사용되었으며, 두 금속은 $1050^{\circ}C$, 150 MPa의 조건에서 고온등방가압법 (HIP, Hot Isostatic Pressing) 과정을 통해 접합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고열부하 장치는 일본 원자력연구소의 JEBIS (JAEA Electron Beam Irradiation Stand)를 이용하였으며, 시험 조건은 FEM 코드인 ANSYS 해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시험은 $5MW/m^2$의 고열부하를 15초간 인가하고, 30초간 냉각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 종료 후 얻어진 시험결과와 해석결과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Mock-up 부재제작을 통한 비정형 건축 외장부재의 제작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Analysis and Quality Improvement in Fabricating Free-Form Buildings Facade Panels through Mock-up Panels Production)

  • 권순호;심현우;옥종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1-21
    • /
    • 2011
  • 비정형 건축물은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외장 디자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정형 형태의 외장부재는 NURBS (Non-Uniform Rational B-Spline) 라 불리는 이 방향 곡률로 구성된 불규칙한 자유곡선면을 포함하고 있어 실제 외장부재의 생산 및 시공을 위해서는 3차원 비정형 BIM 기술을 적용한 패널최적화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기법을 근간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비정형 건축물 BIM 도구인 디지털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패널형태를 구축하고 패널 최적화 결과를 도출한다. 최적화 결과 도출된 비정형 패널부재의 곡률 형상에 따른 Mock-Up 패널제작을 통해 패널종류에 따른 제작 용이성을 테스트하고 레이저 스케닝 기술을 사용하여 설계한 패널과 생산된 패널과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이방향 곡률 곡면부재의 제작정밀도를 분석한다. Mock-Up 부재 제작 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현행 비정형 외장부재 생산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단기 임시주거를 위한 설계계획 및 목업을 통한 성능평가 (Design Planning and Evaluation using Mock-up for the Short-term Temporary Housing)

  • 이원학;이병연;조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09-61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재해시 이재민의 주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설계 계획과 목업 제작을 통한 시공성, 주거환경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재난 재해발생시 이주민이 응급구호시설로 인근 학교의 강당 또는 체육관을 활용하고 있지만 거주성이 확보에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30일 이내 거주하는 단기 임시주택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량이면서 단열이 확보가능한 복합패널을 선정하여 목업을 제작하였다. 복합 패널을 활용한 목업은 약 1시간안에 완성하여, 시공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업을 통해 실험실에서 결로와 누수실험을 진행하였다. 외부온도 약 $0^{\circ}C$, 실내온도 약 $32^{\circ}C$로 온도에서 결로현상은 발생하지 않았고,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확인해보면 단열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간당 60 mm의 강우를 모사하여 누수 실험을 진행한 결과 누수가 확인되지 않아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임시주거시설에서 모듈화된 평면, 시제품제작을 통한 시공용이성 확보, 향후 적재의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단열 및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중공슬래브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Work Panel)

  • 허무원;채경훈;박태원;강현욱;박현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85-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실물 스케일의 중공슬래브 Mock-up을 제작하여 즉시 처짐 및 장기 처짐에 대한 플랫 플레이트 중공 슬래브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공재가 적용된 Mock-up 실험체의 중공률은 24%로 설계하였다. 콘크리트 블록 하중 재하 시 슬래브의 가장 중앙부의 처짐인 No2의 경우 재하 시 처짐이 8.88mm 발생하였으며 이는 즉시 처짐에 대한 기준 값(ln/240=17.93mm)에 비하여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3개월간 처짐 량 계측 결과, 중앙부 처짐 량은 초기 처짐에서 6.792mm 더 추가되어 처짐이 발생하였지만, 이는 국내 구조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하중에 의한 기준 값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