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ity Management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5초

LTE 시스템에서 그룹 기반 M2M 단말 이동성 관리 (Mobility Management of M2M Devices with Grouping in the LTE System)

  • 노희태;이장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19-1127
    • /
    • 2012
  • 최근 이동통신의 새로운 미래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M2M 통신의 특성 중 하나는 기존의 통신에 비해 단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수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제어 신호가 네트워크에 혼잡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3GPP 표준화단체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이 같은 다수의 M2M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그룹 기반 이동성 관리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성이 같은 다수의 M2M 단말을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가 동적으로 그룹핑하고, 그룹을 대표할 그룹 헤더를 선출하여 그룹 헤더가 그룹을 대표하여 Tracking Area Update (TAU)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M2M 단말이 개별적으로 TAU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다.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개별적으로 TAU를 수행했을 때보다 최대 80% 정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효과를 보인다.

MIH 서비스를 이용한 고속 NetLMM 프로토콜 (Fast 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

  • 박시헌;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1호
    • /
    • pp.35-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 중인 NetLMM(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WG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NetLMM 프로토콜에서 핸드오버 지연을 개선하기 위해 IEEE 802.21 MIHS(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를 적용하였으며 Fluid Flow Mobility Model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Fast NetLMM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Fast NetLMM 프로토콜은 다른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Inter-Networking Architecture for Cost-Effective Mobility Management Support

  • Song, Myungseok;Jeong, Jongp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4호
    • /
    • pp.1344-1367
    • /
    • 2014
  • Mobile traffic is increasing a masse because of the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mobile technology. Accordingly, the Network Local Mobility Management (NETLMM) working group [1] of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has standardized Proxy Mobile IPv6 (PMIPv6) [2] as a protocol for accomplishing the transmissibility of mobile terminals. PMIPv6 is a network-led IP-bas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which can control terminal mobility without depending on the type of access system or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By combining PMIPv6 and the mobility of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we can establish terminal mobility and session mobility through a more effective route. The mobility function can be improved and the overlap of function reduced as compared to that in the case of independent operation. PMIPv6 is appropriate for a non-real-time service using TCP, and SIP is appropriate for a real-time service using RTP/UDP. Thus, in the case of a terminal using both services, an effective mobility management is possible only by using PMIPv6 together with SIP. In order to manage mobility in this manner, researches on PMIPv6-SIP are in progres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paper suggests a new PMIPv6-SIP architecture where when a mobile terminal conducts a handover, a network-led handover while maintaining the session without the addition of a special function or middleware is possible along with eff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by comparing the delay and the packet loss that occur during the handover to the Pure-SIP.

IP 기반 통합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이동성 지원을 위한 세션 관리 방안 (Session Management Scheme for Supporting User Mobility in a IP-Based Convergence Network)

  • 유명주;박주만;이종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6호
    • /
    • pp.652-662
    • /
    • 2016
  • 본 논문은 IP 기반의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단말을 변경해가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끊김없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 이동성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이동성 기술들과 현재 진행 중인 대부분의 이동성 관련 연구들은 단말 이동성 지원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유형의 이동성을 지원하기에 한계가 있다. 제안방안은 사용자 고유의 식별자인 UID(User Identifier)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고유의 식별자인 TID(Terminal Identifier) 간 매핑 관계와 사용자 고유의 영구적인 3계층 주소를 이용한 패킷 구성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에 단말을 변경하더라도 세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방안에 의한 성능 향상을 검증하기 위해 수식을 이용하여 기존 사용자 이동성 방안과 제안방안의 핸드오버 시그널링 비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방안이 기존방안 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차량통신망 지원을 위한 PMIPv6 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 (PMIPv6-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s)

  • 임유진;안상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1호
    • /
    • pp.66-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차량통신망 내 V2I(Vehicle-to-Infrastructure) 환경에서 이동 중인 차량에게 끊김없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PMIPv6(Proxy Mobile IPv6) 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은 근거리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로 원거리 이동성을 가지는 차량통신 망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통신망 환경에서 PMIPv6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두 가지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 시나리오에서 요구되는 원거리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 기법이 인터넷 서비스 단절시간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Analytical Approach of New Random-walk 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IP-based Mobile Networks

  • Song, Myungseok;Cho, Jun-Dong;Jeong, Jongp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13
    • /
    • 2014
  • In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s, provisioning of IP-based network architecture and seamless transmission services are very important issues for mobile nodes. For this reason, a mobility management mechanism to support global roaming is highly regarded. These technologies bring a broader life by using a global roaming account through the connection of multiple devices or technology to mobile users; they also provide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of fast handover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F-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 Proxy Mobile IPv6 (PMIPv6), and fast Proxy Mobile IPv6 (FPMIPv6) using the fluid-flow model and random-walk model. As a result, the location update cost of the PMIPv6 and FPMIPv6 is better than that of HMIPv6 and F-HMIPv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s superior to the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n the mobility environment.

비용효과적인 이동성 관리 지원을 위한 새로운 인터네트워킹 아키텍쳐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Inter-Networking Architecture for Cost-Effective Mobility Management Support)

  • 송명석;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5호
    • /
    • pp.181-190
    • /
    • 2013
  • PMIPv6(Proxy Mobile IPv6)는 네트워크 주도형 IP 기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로서 액세스 시스템의 종류나 단말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단말 이동성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PMIPv6에 SIP 이동성을 접목하면 더 효율적인 경로를 사용해 터미널 이동성 및 세션 이동성을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관리를 위해 현재 PMIPv6-SIP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성능평가 및 수학적 모델링이 표준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PMIPv6-SIP 아키텍쳐를 제안하고 핸드오버 시에 발생되는 지연과 패킷손실을 Pure-SIP과 비교하여 수학적인 모델링을 통한 효과적인 성능평가를 제안한다.

셀 단위로 증가하는 위치영역을 고려한 영역기준 위치등록의 모형화 및 성능 분석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Zone-Based Registration Considering Cell by Cell Expansion of Location Area)

  • 김경희;백장현;정호연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7-79
    • /
    • 2003
  • An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for mobile sta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Even though many a mobility management schemes have been proposed, mos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dopt the mobility scheme based on zone-based registration. This paper studies the mobility management scheme that combines zone-based registration and 2-step selective paging. We assume cell by cell registration area, not ring by ring registration area of previous studies, and set up a new mobility model based on 2-dimensional random walk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zone-based registration to evaluate its performance exactly. We provide numerical results using proposed model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zone-based registration and 2-step selective paging under various circumstances.

Key Challenges of Mobility Management and Handover Process In 5G HetNets

  • Alotaibi, Sult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139-146
    • /
    • 2022
  •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are emerging to enable high data rates for mobile users and novel applications that encompass both human and machine-type interactions. An essential approach to meet the rising demands on network capacity and offer high coverage for wireless users on upcoming fifth generation (5G) networks is heterogeneous networks (HetNets), which are generated by combining the installation of macro cells with a large number of densely distributed small cells Deployment in 5G architecture has several issues because to the rising complexity of network topology in 5G HetNets with many distinct base station types. Aside from the numerous benefits that dense small cell deployment delivers, it also introduces key mobility management issues such as frequent handover (HO), failures, delays and pingpong HO. This article investigates 5G HetNet mobility management in terms of radio resource control.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key challenges for 5G mobility management.

인지 네트워킹 환경 하에서 체류시간 관리 최적화를 통한 사용자 이동성 모델 기반 이동성 관리방법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User Mobility Management Scheme based-on Dwell Time Optimization for Effective Inter-working with Heterogeneous Networks under Cognitive Networking Environments)

  • 최유미;김정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5호
    • /
    • pp.77-83
    • /
    • 2012
  • 다양한 서비스와 네트워크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이종 네트워크별 효과적 이동성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종 네트워크 중 이동 IP 네트워크의 구조에 적합한 이동성 모델을 고려하고 주어진 환경 하에서 사용자 이동에 따른 다양한 성능평가와 관련된 지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래의 스마트 인지 네트워킹 환경 하에서는 개별 사용자의 이동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무선 접속을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과적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이동성 모델은 개별 네트워크 측면에서 다루어지면서 새로운 융합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는데 적합성이 낮으므로 새로운 이동성 모델을 고려하여 융합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