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mapping system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폴라 맵핑 예측기를 통한 이동로봇의 장애물 회피 (Obstacle Avoidance for Mobile Robots Using Predictive Polar Mapping)

  • 김영중;김범수;임묘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447-2449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predicted polar mapping that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n unexpected moving obstacle detecting system. When the movement of the robot per a step becomes a bit large then static objects or background are detected as moving objects. Thus, the velocity of the robot becomes so slow. Therefore, to enlarge the movement of the robot, we propose the predicted polar mapping that predicts the polar mapped image after robot moves to be admissible. In order to verify experimentally our proposed procedure, we make several comparative tests in the corridor.

  • PDF

모바일매핑시스템으로 취득된 전방위 영상의 광속조정법 (Bundle Block Adjustment of Omni-directional Images by a Mobile Mapping System)

  • 오태완;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3-603
    • /
    • 2010
  • 대부분의 모바일 공간정보 획득시스템은 촬영범위가 좁고 기선 길이에 대한 제약이 따르는 프레임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촬영지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의 영상정보 획득이 기능한 전방위 카메라 탑재를 통해 프레임 카메라의 촬영 범위 및 기선 거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광속조정법(Bundle Block Adjustment)은 다수의 중첩된 영상의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방위 영상에 적합한 광속조정법의 수학적 모델을 제안하여 전방위 영상의 외부표정요소 및 지상점을 추정하고자 한다. 먼저 전방위 영상에 적합한 공선조건식을 이용해 관측방정식을 수립한다. 그리고 지상 모바일매핑시스템(GMMS, Ground Mobile Mapping System)에 탑재되어 있는 GPS/INS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와 정지 GPS 및 토털 스테이션(Total Station)을 통해 측정한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확률제약조건 (Stochastic Constraints)식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확률제약조건 요소 및 추정 미지수를 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모델별로 추정된 지상점 좌표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그 결과, 지상기준점을 확률제약조건으로 사용하는 모델에 적용한 경우에 지상점이 ${\pm}5cm$ 정도로 정확하게 추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방위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대상객체의 3차원 모델 추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고속카메라와 MEMS IMU/GPS를 이용한 모바일매핑시스템 경량화 방안 연구 (Study on Lightweight Mobile Mapping Systems Using High Speed Camera & MEMS IMU/GPS)

  • 우희숙;송기성;권광석;김병국;황택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73-79
    • /
    • 2011
  • 최근 공간영상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신속하게 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매핑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매핑시스템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면서 공간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고가의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는 관측시스템(다수의 카메라, IMU/GPS, 시각동기화 장치, 자료취득 및 처리장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측시스템 구성은 자료 생산 과정이 복잡해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량 조건을 만족해야하기 때문에 적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각동기화 장치를 대체하고, MEMS IMU/GPS로도 양질의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경량모바일매핑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 구조 및 처리 과정이 단순화되어 구축 및 운용비용이 줄어들고, 휴대가 가능한 수준으로 크기로 줄어들어 다양한 부문에서도 신속한 공간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로봇을 위한 $H_{\infty}$ 필터 기반의 강인한 동시 위치인식 및 지도작성 구현 기술 ($H_{\infty}$ Filter Based Robust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Mobile Robots)

  • 전서현;이건용;도낙주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1호
    • /
    • pp.55-60
    • /
    • 2011
  • 이동로봇의 동시 위치인식 및 지도작성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알고리즘은 확장 칼만 필터 SLAM(Extended Kalman Filter SLAM, EKF-SLAM)이다. 하지만 칼만 필터를 사용할 때, 시스템 설계자는 외부 입력에 대한 시스템적 특성과 외부 노이즈의 확률적 모델을 알고 있어야 하나, 실제 환경에서는 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칼만 필터를 불확실성이 심한 실제 환경에 적용할 경우 내부 변수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필터의 수학적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거나 또는 부정확한 상태 변수값을 추정하기도 한다. 이에 비해 $H_{\infty}$ 필터는 외부 모델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없을지라도 강인하게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H_{\infty}$ 필터의 특성이 이용로봇의 SLAM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H_{\infty}$ 필터에 가번한 SLAM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모의 실험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통해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EKF-SLAM에 비해 다소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siness Collaborativ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Using MOXMDR-DAI+

  • Lee, Jong-Sub;Moon, Seo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23-230
    • /
    • 2020
  • Companies have made an investment of cost and time to optimize processing of a new business model in a cloud environment, applying collaboration technology utilizing business processes in a social network. The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changed from traditional BPM to the cloud and a mobile cloud environment. We proposed a collaborative system for operating processes in social networks using MOXMDR-DAI+ (eXtended Metadata Registry-Data Access & Integration based multimedia ontology). The system operating cloud-based collaborative processes in application of MOXMDR-DAI+, which was suitable for data interoperation. MOXMDR-DAI+ applied to this system was an agent effectively supporting access and integration between multimedia content metadata schema and instance, which were necessary for data interoperation, of individual local system in the cloud environment, operating collaborative processes in the social network. In operating the social network-based collaborative processes, there occurred heterogeneousness such as schema structure and semantic collision due to queries in the processes and unit conversion between instances. It aimed to solve the occurrence of heterogeneousness in the process of metadata mapping using MOXMDR-DAI+ in the system.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an visualize business processes. And it makes it easier to operate the collaboration process through mobile support. Real-time status monitoring of the operation process is possible through the dashboar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llaborative process through expert search using a community in a social network environment.

GML Based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

  • Chung Yeong-Jee;Jeong Chang-W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80-83
    • /
    • 2005
  • At present, GML becomes the global standard for the XML encod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Geo-Web. GML is being applied to a wide range of geographic applications including GIS and location-based services, telematics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 We made an effort to design and implement a GIS computing environment by thin client for mobile web mapping service. We are interested in the GML applications that include traditional GIS system for navigation service and location finder for points of interest (POI) services. This paper summarizes the Tourism information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 of a small area (Han-Ok Villag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in Jeonju-city), in which moving travelers can obtain proper information services at the current location associated with traditional monuments, cultural products, food, and conveniences. In the paper, we report on the design of the thin client/server system for a mobile environment.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we give a general overview of the organization of the system and of the important concerns of our design. Second we focus on our system supports for location and POI determination, and design concerns. Finally, we show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PDA, the procedures involved in the service, and the executed results.

이동 로봇의 강인한 위치 추정을 통한 실내 SLAM (Robust Mobile-Robot Localization for Indoor SLAM)

  • 모세현;유동현;박종호;정길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01-306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for robust self-localization and indoor slam using external cameras (such as a CCTV) and odometry of mobile robot. First, a position of mobile robot was estimated by using maker and odometry. This data was then fused with camera data and odometry data using an extended kalman filter. Finally, indoor slam was realize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his was demonstrated in the actual experiment.

Boresight calibration을 이용한 외부표정요소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EO parameters using Boresight calibration)

  • 박수영;윤여상;김준철;정주권;주영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9-134
    • /
    • 2003
  • Mobile Mapping System needs system calibration of multi sensors. System calibration is defined as determination of spatial and rotational offsets between the sensors. Especially, EO parameters of GPS/INS require knowledge of the calibration to camera frame. The calibration parameters must be determined with the highest achievable accuracy in order to get 3D coordinate points in stereo CCD images. This study applies Boresight calibration for the calibration between GPS/INS and camera, and estimates the Performance of the calibration.

  • PDF

Rapid Implementation of 3D Facial Reconstruction from a Single Image on an Android Mobile Device

  • Truong, Phuc Huu;Park, Chang-Woo;Lee, Minsik;Choi, Sang-Il;Ji, Sang-Hoon;Jeong, Gu-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5호
    • /
    • pp.1690-1710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apid implementation of a 3-dimensional (3D) facial reconstruction from a single frontal face image and introduce a design for its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The proposed system can effectively reconstruct human faces in 3D using an approach robust to lighting conditions, and a fast method based on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 algorithm to estimate the depth. The reconstruction system is built by first creating 3D facial mapping from a personal identity vector of a face image. This mapping is then applied to real-world images captured with a built-in camera on a mobile device to form the corresponding 3D depth information. Finally, the facial texture from the face image is extracted and added to the reconstruction results. Experiments with an Android phone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as an Android application performs well.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 is an easy 3D reconstruction of almost all facial images captured in the real world with a fast computation. This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in the Android application, which requires only a short time to reconstruct the 3D depth map.

무인 시스템의 자율 주행을 위한 영상기반 항법기술 동향 (Survey on Visual Navigation Technology for Unmanned Systems)

  • 김현진;서호성;김표진;이충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3-139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무인 시스템의 자율 항법기술에 대한 동향을 요약한다. 영상기반 항법기술로는 비주얼 서보잉, 비주얼 오도메트리, 영상 기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이 있다. 비주얼 서보잉은 목표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 사이의 피쳐 차이로부터 원하는 속도 입력을 계산하여 무인 로봇을 목표 자세로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비주얼 오도메트리는 무인 시스템이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동 궤적을 추정하는 기술로, 기존의 dead-reckoning 방식보다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 기반 SLAM은 무인 시스템이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미지의 환경에 대한 지도를 구축함과 동시에 자신의 위치를 결정해 나가는 기술로, 정확히 알지 못하는 환경에서 무인차량이나 무인기를 운용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술들이 적용된 해외의 연구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영상기반 항법기술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