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Vot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이동통신 AMPS에서 광대역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드웨어 설계에 관한 연구 (H/W Design and Implementations of the Wideb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the AMPS)

  • 이준동;김대중;김종일;이영천;조형래;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47-25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이동 통신의 AMPS 방식에서 통화를 하기 위해 셀 사이트와 이동체간에 오고 가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광대역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AMPS 방식에서 이동체가 셀 사이트와 통화를 하기 이전에 채널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BUSY / IDLE 비트를 추\ulcorner라흔 회로, 동기 감지 회로, 인터럽트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적은 버퍼 용량을 차지하면서 실시간 처리를 할 수 있는 majority vote, BCH 인코딩 및 디코딩을 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법에 따른 계산상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실시간 처리 소프트 웨어를 제안하였다.

  • PDF

서명 요청자의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RSA에 기반한 개선된 부분은닉서명 알고리즘 (RSA-Based Enhanced Partially Blind Signature Algorithm Minimizing Computation Of The Signature Requester)

  • 권문상;조유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5호
    • /
    • pp.299-306
    • /
    • 2002
  • '부분은닉서명(Partially Blind Signature)'기법은 전자화폐나 전자투표와 같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중요시되는 응용에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명 요청자의 계산량을 줄이는 RSA 알고리즘에 기반한 부분은닉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서명 요청자는 메시지를 은닉하여 서명자에게 전송하고 서명자가 생성한 중간 서명으로부터 최종 서명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계산을 필요로 한다.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법은 서명 요청자가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는 모듈러 합과 곱 연산만으로 최종 서명을 계산할 수 있게 하므로 서명 요청자의 계산량을 많이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동통신 기기나 스마트카드, 전자지갑 같이 계산능력이 떨어지는 장치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공통평가기준 3.1 기반 스마트폰 운영체제 보호프로파일 개발 (An Efficient Mixnet for Electronic Voting Systems)

  • 전웅렬;김지연;이영숙;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7-130
    • /
    • 2012
  • 2007년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채택한 일명 안드로이드 폰들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스마트폰 열풍이 시작되었다. 2010년 한해 스마트폰 사용자는 2010년 1월 약 100만명에서 2010년 12월 약 710만명으로 700%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2011년 3월 현재에는 천만명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만큼 많은 보안문제도 대두되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다른 IT 기기에 비해 엄격한 보안기술이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보안에 대한 인식이 미비하여 여러 가지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보안 강화를 위해 스마트폰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평가하기 위한 스마트폰 운영체제 보호프로파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기존 운영체제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보안문제, 보안목적, 보안기술요구사항을 도출한다.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ternet Survey)

  • 조성겸;주영수;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51-74
    • /
    • 2005
  •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조사가 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인터넷 조사의 편리성과 실용성 등은 공감하면서도, 인터넷 샘플이 일반 모집단 샘플과는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해 조사의 정확성을 해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의결방안으로 서로 다른 조사방법을 결합하여 분석하거나 가중치를 두어 표본 편향을 제거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연구 성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패널을 미리 구성하여 실시하는 여론조사의 경우로 한정하여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가 갖는 정확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도 수준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터넷 여론조사가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부정확하다면 그 요인은 무엇인지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7대 총선기간의 인터넷 조사, 유선조사, 모바일 조사 간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결과를 실제 총선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 조사의 정확도는 유선조사와는 비슷한 수준이나 모바일 조사보다는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패널의 정확도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첫째 패널이 자발적 참여자로 구성된다는 점이었다. 인터넷 패널은 전화조사보다 자발성이 높은 응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자발성 편향은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로 인터넷 조사 패널은 재택시간에 관계없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전화조사보다 더 정확해 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셋째로 인터넷 패널은 교육수준에서 편향을 보이고 있다. 패널을 이용한 인터넷 조사는 무응답률이 낮고 응답의 신뢰성이 높다. 인터넷 패널 특성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인터넷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New Proxy Blind Signcryption Scheme for Secure Multiple Digital Messages Transmission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 Su, Pin-Chang;Tsai, Chien-Hu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1호
    • /
    • pp.5537-5555
    • /
    • 2017
  •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unlinkability, anonymity, and unforgeability, blind signatures are widely used for privacy-related applications such as electronic cash, electronic voting and electronic auction systems where to maintain the anonymity of the participants. Among these applications, the blinded message is needed for a certain purpose by which users delegate signing oper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trusted manner. This application leads to the need of proxy blind signature schemes. Proxy blind signature is an important type of cryptographic primitive to realize the properties of both blind signature and proxy signature. Over the past years, many proxy blind signature algorithms have been adopted to fulfill such task based on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 and the elliptic curve discrete log problem (ECDLP), and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mainly aim to provide effective models to satisfy the security requirements concerning a single blinded message. Unlike many previous works, the proposed scheme applies the signcryption paradigm to the proxy blind signature technology for handling multiple blinded messages at a time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 This innovative method thus has a higher level of security to achieve the security goals of both blind signature and proxy signature. Moreover,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is proposed protocol is more efficient, consuming low communication overhead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digital messages compared to the performance from other solutions. Due to these features, this design is able to be implemented in small low-power intelligent devices and very suitable and easily adoptable for e-system applications in pervasiv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보다 정확한 동적 상황인식 추천을 위해 정확 및 오류 패턴을 활용하여 순차적 매칭 성능이 개선된 상황 예측 방법 (Context Prediction Using Right and Wrong Patterns to Improve Sequential Matching Performance for More Accurate Dynamic Context-Aware Recommendation)

  • 권오병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3호
    • /
    • pp.51-67
    • /
    • 2009
  • Developing an agile recommender system for nomadic users has been regarded as a promising application in mobile and ubiquitous settings.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n terms of accuracy and elapsed time, estimating future context of the user in a correct way is highly crucial. Traditionally, time series analysis and Makovian process have been adopted for such forecasting.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adequate in predicting context data, only because most of context data are represented as nominal scale.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the alignment-prediction algorithm has been suggested for context prediction, especially for future context from the low-level context. Recently, an ontological approach has been proposed for guided context prediction without context history. However, due to variety of context information, acquiring sufficient context prediction knowledge a priori is not easy in most of service domains.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context prediction methodology, which does not require a priori knowledge, and to increase accuracy and decrease elapsed time for service response. To do so, we have newly developed pattern-based context prediction approach. First of ail, a set of individual rules is derived from each context attribute using context history. Then a pattern consisted of results from reasoning individual rules, is developed for pattern learning. If at least one context property matches, say R, then regard the pattern as right. If the pattern is new, add right pattern, set the value of mismatched properties = 0, freq = 1 and w(R, 1). Otherwise,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matched right pattern by 1 and then set w(R,freq). After finishing training, if the frequency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then save the right pattern in knowledge base.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context property matches, say W, then regard the pattern as wrong. If the pattern is new, modify the result into wrong answer, add right pattern, and set frequency to 1 and w(W, 1). Or, increase the matched wrong pattern's frequency by 1 and then set w(W, freq). After finishing training, if the frequency value is greater than a threshold level, then save the wrong pattern on the knowledge basis. Then, context prediction is performed with combinatorial rules as follows: first, identify current context. Second, find matched patterns from right patterns. If there is no pattern matched, then find a matching pattern from wrong patterns. If a matching pattern is not found, then choose one context property whose predict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properties.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we collected actual context history from the travelers who had visited the largest amusement park in Korea. As a result, 400 context records were collected in 2009. Then we randomly selected 70% of the records as training data. The rest were selected as testing data.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ology, prediction accuracy and elapsed time were chosen as measure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with case-based reasoning and voting methods. Through a simulation test, we conclude that our methodology is clearly better than CBR and voting methods in terms of accuracy and elapsed time. This shows that the methodology is relatively valid and scalable. As a second round of the experiment, we compared a full model to a partial model. A full model indicates that right and wrong patterns are used for reasoning the future context. On the other hand, a partial model means that the reasoning is performed only with right patterns, which is generally adopted in the legacy alignment-prediction method. It turned out that a full model is better than a partial model in terms of the accuracy while partial model is better when considering elapsed time. As a last experiment, we took into our consideration potential privacy problems that might arise among the users. To mediate such concern, we excluded such context properties as date of tour and user profiles such as gender and age. The outcome shows that preserving privacy is endurabl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ally, we have improved sequential matching methods to predict accuracy and service time by considering individual rules of each context property and learning from wrong patterns. Second, the proposed method is found to be quite effective for privacy preserving applications, which are frequently required by B2C context-aware services; the privacy preserving system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can also decrease elapsed time. Hence, the method is very practical in establishing privacy preserving context-aware services. Our future research issues taking into account some limitations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er acceptance or usability will be tested with actual users in order to prove the value of the prototype system. Second, we will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more general application domains as this paper focused on tourism in amusement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