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Device Usage Skill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The Impact of Mobile Device Usage Skills on Life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Young-Eun J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1호
    • /
    • pp.335-341
    • /
    • 2024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자료 중 607명의 응답을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독립변수,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SPSS 25.0, AMOS 24.0을 활용해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의 향상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갖는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등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온라인 정치참여에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디지털 기기 이용자의 기기 운용 기술 격차를 중심으로 (Impact of Digital Divide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Focus on the Gap of Operational Skills of Digital Device Users)

  • 장창기;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6-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 이용을 위한 동기와 운용 기술 차원에서의 디지털 정보격차가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2018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터넷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표본선택의 편의를 통제하기 위해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개별 시민들이 원하는 활동을 하기 위한 동기와 기기 운용 기술에 있어서의 격차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에서 연령, 교육수준 및 지역적 요인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만, 성별 및 소득수준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간 정보격차의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경우에는 디지털 기기 이용 동기가, 개인용 컴퓨터 이용자의 경우에는 기기 운용 기술이 중요한 요인으로 식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