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3D

검색결과 1,431건 처리시간 0.043초

안드로이드기반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 특성분석 연구 (A Characterisitc Analysis Study of Android based Stereoscopic 3D Technology)

  • 김정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8-73
    • /
    • 2013
  • 최근의 3D 입체 영상 관련 기술의 발달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단말에서도 3D 입체 영상 서비스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의 3D 입체 영상 서비스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와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관련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D 입체 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각각 다른 표준 H.264/AVC, H.264/AVC SEI, H.264/MVC가 MPEG에서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3D 기술의 발전과 특히 안드로이드 폰에서의 3D 서비스를 위한 비데오 포맷과 기능들에 초점에 맞추어 기술적 특성에 관한 분석을 행함으로서 그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3D Application For Mobile Phone Based on J2ME

  • Lee, Song-Won;Kim, Il-Myung;Hong, Sung-Soo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5-458
    • /
    • 2006
  • John Carmack who invented the 3D games let us know about the great 3D world and because of the MIDP 2.0(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rs entering, it is not a fame to achieve playing 3D games with a mobile device. The data offered by iResearch market consultation show that the figure of mobile game players all around the world will take a steady increase from 290 million in 2005 to 1030 million in 2008, and the market income will mount up from $10,200 million to $52.000 million.3D games will be a current, the most famous kind of mobile games. In this paper I design 3D application based on J2ME (Java 2 Micro Edition) and implement a freely removable 3D object which happened in a 3D scene by receiving the keyboard response of mobile device with WTK (Wireless Too.Kit) simulator.

  • PDF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위한 효율적인 스킨드 메시 처리 (An Efficient Skinned-Mesh Process For Mobile 3D Game Engine)

  • 조종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7-93
    • /
    • 2008
  • 기존에는 모바일 표준 3D 그래픽 API(C언어 기반)인 OpenGL-ES를 사용하여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해, 핸드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으나, 저수준(Low-Level)의 다양한 기능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 제작 및 콘텐츠 호환성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penGL-ES보다 더욱더 다양한 고수준(High-Level)의 API를 제공하면서도 GSM 폰을 중심으로 J2ME상에서 자바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표준 3D API(Java언어 기반)인 JSR-184로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한다. 또한, 스킨드 메시(Skinned-Mesh) 형태를 가지는 3D 모델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 결과로 엔진의 성능을 증명해 보인다.

  • PDF

인터렉티브 3D 입체 전자동화 개발 (Development of Interactive 3D Stereoscopic Animated Storybooks)

  • 송미영;이현아;이예지;조혜진;김다정;조아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373-375
    • /
    • 2018
  • 본 논문은 기존의 2D 전자 동화책과는 달리 유아들에게 보다 창의적이고, 극적표현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오프라인의 출판 원작동화의 내용과 그림을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3D 입체 기술을 접목시킨 인터렉티브 에듀테인먼트로 3D 입체 전자동화를 개발한다. 즉, 동화의 줄거리에 따라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인터렉티브 애니메이션 뿐 만 아니라 좀 더 생생하게 동화를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3D 입체 전자 동화를 개발한다.

  • PDF

MPEG-4 BIFS 기반 모바일 방송 환경에서 3D 객체 및 GUI 표현 기술 연구 (A Study on 3D Object and GUI Representation Based on MPEG-4 BIFS for Mobile TV)

  • 임현정;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77-687
    • /
    • 2009
  • 모바일 환경은 데이터 콘텐츠 이용에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PEG-4 BIFS 기반 환경에서는 진보된 데이터 콘텐츠 구현이 쉽지 않다. BIFS는 VRML을 모태로 하여 방송 콘텐츠와는 타켓 콘텐츠 및 콘텐츠 개발 어프로치가 다르며, 모바일 방송환경에서 이용하기에는 표준이 너무 복잡하여 구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대화형 3D 객체 및 GUI를 제공하는 진보된 모바일 TV 콘텐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실제 DMB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모바일 방송 콘텐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서의 3D 객체 표현을 위해 MPEG-4 BIFS 3D 노드를 분석하여 VRML 프로파일의 서브셋을 구성하였으며, GUI 표현을 위한 노드틀을 새로 정의하여 콘벤츠 개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모바일 데이터 콘텐츠 구성 시 3D 그래픽스와 인터랙션 표현이 쉬워진다면,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되어 모바일 방송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3D 해양 캐릭터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설계 (A System Design for Mobile Service of a 3D Marine Characters)

  • 강경헌;김병훈;윤재홍;김은석;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6-540
    • /
    • 2006
  •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3D 게임전용 폰의 등장은 3D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러나 유선환경에 비해 낮은 대역폭과 연결 시간에 따른 데이터 요금의 부담을 갖는 모바일 환경에서, 대용량 콘텐츠인 모바일 3D 콘텐츠의 효율적인 서비스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3D 해양 캐릭터들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모바일 기기로 다운로드하기 위한 효과적인 캐슁 정책을 이용하여, DB로 구축되어 유선 인터넷으로 서비스되는 사이버 아쿠아리움의 해양객체 정보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는 3D 해양 캐릭터의 모바일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3D File Formats on a Mobile Web Browser

  • Nam, Duckkyoun;Lee, Daehyeon;Lee, Seunghyun;Kwon, Soon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2호
    • /
    • pp.31-42
    • /
    • 2019
  • As smartphone H/W performan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ve been enhanced, large-capacity 3D modeling files are available in smartphones. Common formats of 3D modeling files include STL (STereoLithography), OBJ (Wavefront file format specification), FBX (Filmbox), and glTF (open GL Transmission Format). Each forma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and formats that are supported are vari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s. Large-size files are commonly used.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cures loading of 3D modeling files and transmission of large-size geometric files in order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services via smartphones. This paper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3D file formats such as OBJ, FBX, and glTF. In addition, it compares their performance in a wired web with that in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oading time and packet transmission in each 3D format are also measured by means of different mobile web browsers (Google Chrome and MS Edge).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glTF demonstrated the most efficient performance while the loading time of OBJ was relatively excessiv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selecting specific 3D file formats for rendering time reduction depending on the mobile web environments.

모바일 3D 블루투스 게임 엔진을 위한 패킷통신 스케줄링 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acket Communication Scheduling Scheme for Mobile 3D Bluetooth Game Engine)

  • 조종근;김형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4호
    • /
    • pp.197-20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OpenGL-ES 기반의 모바일 3D 블루투스 게임 엔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 모바일 3D 네트워크 게임에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VM 방식(Network)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게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모바일 네트워크 게임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지나친 통신 요금의 부담으로 인해 VM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다운로드형 게임 즉, 단독형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네트워크 게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3D 표준(C언어 기반)인 OpenGL-ES로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 모바일 3D 네트워크 게임을 즐길수 있는 모바일 3D 블루투스 게임 엔진을 제작하며, 다수의 블루투스 단말기 상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블루투스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스케줄링(Scheduling) 방법을 제시한다.

INTEROPERABLE APPLICATION OF 3D GEO-BASED FEATURES ON MOBILE AND WEB

  • Dong, Woo-Cheol;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74-276
    • /
    • 2008
  • At the stage of content convergence into cell phone, technologies for geo-spatial information sharing and searching are being developed. Currently, 2D portable navigation map for mobile navigation is provided by communication companies, but geobrowers for 3D geo-information in cell phone are under developing. In this study, 3D feature transformation among X3D-M3G-KML, on mobile and web environments, is dealt with as the first stage for the further mobile 3D web application. As well, it is possible to real-time interoperable 3D geo-information exchange issues within both environments.

  • PDF

Mobile Device를 위한 3D GUI Tool Frame 개발 및 적용 (The Application and Developement of 3D GUI Tool Frame for the Mobile Devices)

  • 송영한;이경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5-6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휴대형 단말기기의 플랫폼 친화적이며 컨텐츠 개발의 신속성, 확장성 및 용이성이 고려된 3D 컨텐츠 플랫폼 엔진과 Application Frame 기술을 Convergence하였으며, Mobile Device에 탑재 가능한 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시제품을 제작 및 응용하고, Mobile Game 등 컨텐츠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는데 필요한 3D GUI 객체(widget) 및 툴킷을 포함하는 Frame을 표준화 하는데 기본이 되는 연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