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 농도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24초

2가 양이온이 Thiamine Pyrophosphate에 의한 Group I Intron Ribozyme의 Splicing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valent Cations on the Self-splicing Inhibition of Group I Intron by the Coen-zyme Thiamine Pyrophosphate)

  • 안성준;박인국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18
    • /
    • 2002
  • 2가 양이온($Mg^{2+}$, $Mn^{2+}$, $Zn^{2+}$)이 조효소 thiamine pyrophosphate에 의한 T4파지 티민생합성 유전자 (td) 인트론 RNA의 splicing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g^{2+}$를 30 mM까지 증가시켰을 때 splicing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Mg^{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0.1-4 mM 농도에 걸쳐 $Zn^{2+}$를 사용한 결과 약 20% 정도의 splicing이 일어났다. 이때 대부분의 splicing product는 인트론-엑손2 및 엑손2였고 엑손1-엑손2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4 mM 농도에서는 RNA가 대부분 가수분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Mn^{2+}$ 이온은 사용한 농도 범위 (0.1-8 mM)에서 $Zn^{2+}$ 보다는 전반적으로 약간 증가된 splicing 활성을 보였으며 8 mM 농도에서도 약 30% 정도의 splicing 활성을 보였다. $Zn^{2+}$ 이온처럼 splicing product는 인트론-엑손2 및 엑손2였고 엑손1-엑손2는 검출되지 않았 다. 반면에 splicing반응에 10 mM $Mg^{2+}$ 를 첨가했을 때 $Zn^{2+}$$Mn^{2+}$ 이온은 평균 약 35-40% 정도 splicing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한 2가 양이온 중에서 특히 $Mg^{2+}$ 은 가장 낮은 농도에서 thiamine pyrophosphate 에 의한 억제반응을 극복하는 최고의 활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억제 회복 효과는 $Mg^{2+}$에 의한 리보자임의 td intron 구조적 안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농도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eastern Yellow Sea)

  • 선철인;박건우;박현실;박준건;김성길;최만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179-191
    • /
    • 2018
  •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도, 유기탄소(TOC)와 함께 중금속 원소들(Cu, Pb, Zn, Cd, Cr, Mn, As, Ni, Co, Li, Fe, Al)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정점에서 Pb, Mn, As를 제외하면 모든 중금속 농도의 분포는 입도 및 TOC의 분포와 유사하게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한국 연안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도와 중금속 농도간의 관계를 통하여 대부분의 금속은 입도가 세립할수록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정점에서 Pb은 조립질 퇴적물에서의 암석기원(feldspar) 영향, Mn은 생물기원($CaCO_3$) 영향, As는 중광물(pyrite) 특성에 따라 분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거에 조사한 자료(2000년)와 비교했을 때, 황해 동부해역에서 지난 15년 동안의 추가적인 중금속 농축은 없었고, 투기해역에 대한 저질환경은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 내 모든 중금속의 농도는 한국과 중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기준(TEL, MSQ-1)보다 낮았지만, 농축지수(enrichment factor; EF), 농집지수(geo-accumulation index; $I_{geo}$), 생태위해성지수(ecological risk index; ERI)는 Cu, Pb, Zn, Cr이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기화학적으로 제조한 CoPtP-X합금의 첨가제 효과에 따른 맞춤형 자기적 성질 (The Effect of Additional Elements on the Tailored Magnetic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Prepared CoPtP-X Alloys)

  • 박호동;이관희;김긍호;정원용;최동훈;이우영
    • 전기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4-9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CoPtP합금에 첨가원소로 Fe, Mn을 첨가하여 그에 따른 자기적 성질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우선 합금을 합성하기 위해서 용액 중 Fe, Mn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전기도금 방식을 이용하여 CoPtP-X (X=Fe, Mn) 합금을 제조하였다 Fe를 첨가한 합금박막에서는 X선 회절분석 견과 Fe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oPtP합금의 수직방향으로의 우선결정방향이 조밀육방정 [001]방향에서 [100] 방향으로 변화함을 관찰하였고, 이에 따라 결정 자기이방성이 변화하여 전형적인 경자성 특성에서 연자성 특성까지 자기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었다. 용액 중 첨가된 망간의 농도를 변화시켜 제조된 CopPtP-Mn 합금박막에서는 Mn의 농도가 0.0126M일 때 보자력(coercivity)과 각형비(squareness, Mr/Ms)가 각각 4630 Oe, 0.856의 매우 우수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Mn의 특정농도에서 CoPtP 합금박막의 우선결정 성장방향인 조밀육방정 c축이 박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놓이는 현상에서 기인된다는 것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벼 재배기간 중 논 토양에 처리한 $^{54}Mn$, $^{60}Co$, $^{85}Sr$, $^{137}Cs$의 용탈 (Leaching of $^{54}Mn$, $^{60}Co$, $^{85}Sr$ and $^{137}Cs$ Deposited to Paddy Soil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Rice)

  • 최용호;조재성;이창우;정규회;이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8-206
    • /
    • 1996
  • 논의 방사능 오염시 환경영향 평가 및 방사능으로 부터의 농업환경 보전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온실내에 장치한 lysimeter의 담수 표면에 벼의 이식전 한 시기 및 이식후 다섯 시기에 $^{54}Mn$, $^{60}Co$, $^{85}Sr$, $^{137}Cs$의 혼합용액을 처리한 후 토양 삼투수중 핵종 농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고 재배기간중의 용탈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염화칼리와 소석회의 동시첨가가 방사성 핵종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삼투수내 방사성 핵종의 농도는 대체로 $^{85}Sr$ > $^{54}Mn$ > $^{60}Co$ > $^{137}Cs$의 순이었으며 최고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137}Cs$이 1주일 이내로 가장 빨랐고 $^{54}Mn$$^{85}Sr$가 비교적 늦어 처리시기에 따라서는 중간낙수 전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2. 이식 후 47일(7월 13일)에 실시한 중간낙수에 의해 토양삼투수중 $^{54}Mn$ 농도는 처리시기에 따라 $1/30{\sim}1/180$로 감소하여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60}Co$, $^{137}Cs$, $^{85}Sr$의 경우는 각각 $1/3{\sim}l/75$, $1/3{\sim}1/6$$1/2{\sim}1/4$로 감소하였다. 중간낙수 이후 $^{54}Mn$의 삼투수중 농도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137}Cs$의 경우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방사성 핵종의 용탈율은 $^{85}Sr$ > $^{54}Mn$ > $^{60}Co$ > $^{137}Cs$의 순으로 처리시기에 따라 $^{85}Sr$$1.4{\sim}14.4%$, $^{54}Mn$$0.09{\sim}6.2%$, $^{60}Co$$0.009{\sim}0.9%$, $^{137}Cs$$0.002{\sim}0.06%$의 범위였다. 네 핵종 모두 가장 높은 용탈율을 보인 것은 이식후 40일(7월 6일) 처리에서였다. 4. 이식후 13일 방사성 핵종 처리후 10a당 각각 83kg 및 200kg 수준의 염화칼리와 소석회의 동시살포에 의해 $^{54}Mn$, $^{60}Co$, $^{85}Sr$, $^{137}Cs$의 용탈율은 각각 9배, 85배, 4배 및 9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회귀식을 사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CODMn 농도의 총 유기탄소 및 난분해성 물질 농도 전환 (Conversion of CODMn into TOC and Refractory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for Treated Sewage using Regression Equations)

  • 이태환;이보미;허진;정명숙;강태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69-975
    • /
    • 2010
  • Estimating the organic matter loadings from individual treated sewage has become important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refractory organic matter (R-OM) in watersheds. For this study, regression equations were constructed using treated sewage data to convert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centrations, which are mostly available from open database, into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R-OM concentrations. Efflu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major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located upstream of the lake Paldang. Variations in the OM concentrations were not associated with either the location of the STP or the sampling season. The effluent investigated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ratio of R-OM with respect to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B-OM) and higher presence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DOM) versus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Compared to $COD_{Mn}$, $COD_{Cr}$ exhibited higher oxidation efficiencies and greater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s. The concentrations of $COD_{M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R-OM concentrations. There was nearly no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 in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COD_{Mn}$ and TOC or R-OM concentrations. The constructed regression equations for TOC and R-OM were $0.650({\pm}0.071){\times}COD_{Mn}+1.426({\pm}0.575)$ and $0.340({\pm}0.083){\times}COD_{Mn}+2.054({\pm}0.670)$, respectively. The established equa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imating OM loadings from the STPs into the lake Paldang and also to compensating for the deficiency of the data for effluent OM concentrations in STP.

소성 및 산소농도 조건에 대한 Mn-Cu-TiO2 촉매의 탈질 특성 (NOx removal of Mn-Cu-TiO2 catalyst for the calcination and oxygen concentration conditions)

  • 장현태;차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00-905
    • /
    • 2015
  • 본 Mn-Cu-$TiO_2$ Civil 촉매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NH_3$-SCR 공정에서 소성조건 및 산소농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소성된 촉매시료를 사용하여 $H_2$-TPR 시스템에서 반응온도에 따른 수소전환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소성조건에 대한 비표면적변화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한 소성온도는 약 $300^{\circ}C$이며, 소성온도가 $500^{\circ}C$이상일 경우 Mn, Cu 성분의 저온활성이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SCR반응에서 기상산소는 중요한 반응변수이며 반응에 적합한 농도는 약 8vol%이었다.

좀구멍버섯균의 배양조건에 따른 Mn-Peroxidase와 Glucose Oxidase의 생성조절 (Correlative Production of Mn-Peroxidase and Glucose Oxidase Depending on the Culture Condition of Schizopora paradoxa)

  • 이상윤;신현동;김규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5-331
    • /
    • 1994
  • 좀구멍버섯균(Schizopora paradoxa)은 백색 부후 균으로 망간이 배지에 첨가되지 않으면 MNP와 GOX는 동시에 생성되지 않았으며 고농도의 망간 첨가시 (40ppm)에는 기본적 농도(11.15ppm)에 비해 MNP와 GOX가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망간농도에 따른 균사생장량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구리와 veratryl alcohol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농도에 따른 MNP와 GOX의 변화가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NP와 GOX의 생성조절과 관련하여 cAMP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AMP생성효소 억제제인 atropine을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시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MNP와 GOX생성이 동시에 억제되었다.

  • PDF

Mn-Zn 페라이트 다결정의 첨가물에 따른 초투자율의 변화 기구 (Origin of Variation of the Initial Permeability of Manganese-Zinc Ferrite Polycrystals with Additives)

  • 변순천;변태영;고경현;홍국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758-762
    • /
    • 1997
  • 52mol% Fe$_{2}$O$_{3}$, 26mol% MnO의 조성에서 calcium과 vanadium의 동시첨가에 의한 투자율의 변화원인을 살펴보았다. 초투자율은 첨가물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감사하였으나 소결체의 밀도나 입자크기는 증가하였으므로 초투자율의 변화는 미세구조의 변화로는 설명되지 않았다. 전기비저항은 첨가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는 입계의 고저항층의 생성과 vanadium ion에 의한 Fe$^{2+}$이온의 산화로 설명되었다. 첨가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투자율의 제 2차 최대치가 나타나지 않는 것과 초투자율이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결정자기이방성 상수의 값은 음으로 커짐을 알 수 있었다. 투자육의 온도의존성과 비저항의 변화로부터, 첨가물의 농도에 따른 상온 초투자율의 감소는 Fe$^{2+}$ 이온 농도의 감소에 따른 결정자기이방성 상수의 증가에 의한 효과와 입계에 유리질이 생겨 자벽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망간첨착 활성탄의 다기능성을 이용한 3가 비소 및 페놀 제거 (Removal of As(III) and Phenol by Multi-functional Property of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With Manganese)

  • 유목련;홍순철;양재규;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3호
    • /
    • pp.52-58
    • /
    • 2008
  • 여러 조건으로 제조한 망간첨착활성탄(Mn-AC)을 유기물과 무기물이 함께 오염되어 있는 합성 폐수처리에 적용하였다. 유기물과 무기물의 대표물질로 각각 페놀과 3가 비소를 선정하였다. Mn-AC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안정성을 분석한 후, 회분식 반응조에서 활성탄(AC) 및 Mn-AC에 의한 3가 비소 및 페놀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Mn-AC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H 2에서 4의 산성용액에서 용출되는 망간의 농도로부터 평가하였다. pH 3 이하에서는 Mn-AC로부터 많은 양의 망간이 용출되었지만, pH 4에서는 청정지역 허용기준인 3 ppm 이하의 농도로 용출되었다. Mn-AC에 대한 X-선 회절기 분석결과 첨착된 망간은 $Mn_2O_3$로 밝혀졌다. Mn-AC를 이용한 3가 비소와 페놀의 동시처리 실험결과 3가 비소는 낮은 pH에서 AC보다 높은 산화율을 보였으나, 중성 이상의 pH에서는 AC가 더욱 높은 산화율을 보였다. 활성탄에 망간을 첨착시킴으로서, 비표면적이 13% 감소하였고 이로서 Mn-AC에 의한 페놀제거율은 AC에 비해 8% 정도 줄어들었다. 3가 비소 산화 및 페놀 흡착실험을 통하여 Mn-AC는 복합오염물을 갖는 폐수의 동시처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n-Zn 페라이트 소결체와 $SiO_2$-PbO-ZnO 삼성분계 봉착유리와의 계면반응 (An Interface Reactions between Sintered Mn-Zn Ferrite and $SiO_2$-PbO-ZnO Bonding Glass)

  • 이대희;박명식;김정주;이병교;조상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204-1211
    • /
    • 2000
  • Mn-Zn 페라이트 소결체와 SiO$_2$-PbO-ZnO 삼성분계 유리와의 계면반응에서 페라이트와 유리에 각각 첨가된 ZnO가 계면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iO$_2$-PbO-ZnO 삼성분계 유리에 첨가된 ZnO 함량이 낮은 경우 페라이트와의 접합계면에서 생성되는 중간상은 Pb$_2$(Mn,Fe)$_2$Si$_2$O$_{9}$와 Pb$_{8}$(Mn,Fe)Si$_{6}$O$_{21}$의 고용체였으며, ZnO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간상은 사라졌다. 유리속의 ZnO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페라이트 소결체 쪽의 계면부근에 Zn의 농도가 증가하는 특이한 분포가 나타났다. 이는 유리 속에 첨가된 Zn 이온의 높은 활동도로 인해 페라이트에 포함된 Zn 이온의 용해반응이 선택적으로 억제되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페라이트에 첨가된 ZnO 함량이 낮은 경우 SiO$_2$-PbO 이성분계 유리와의 접합계면에서 페라이트의 용해에 따른 침식과 입계를 통한 유리의 침투가 심하게 일어났으며, Zn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면을 통한 상호확산과 반응이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