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 농도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26초

제강슬래그 복합매질체를 이용한 철 유입에 따른 광산배수내 망간 제거효율 평가 (Evaluation of Mn Removal Efficiency from the Mine Drainage in the Presence of Fe Using Slag Complex Reactors)

  • 김동관;지원현;김덕민;박현성;오연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5호
    • /
    • pp.401-407
    • /
    • 2018
  •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 내 중금속을 처리하기 위해 자연정화법 및 물리화학처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산배수 내 중금속 중 망간은 처리되기 위해 pH 9 이상의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에 처리하기 어려운 원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배수 내 망간의 효율적인 제거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제강슬래그 복합매질체 반응조(제강슬래그(S), 제강슬래그+석회석(S+L), 제강슬래그+망간코팅자갈(S+G))를 사용하여 경쟁원소인 철 유입에 따른 망간의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철 유입이 없는 358일간의 실험에서는 평균 pH 6.7의 고농도 망간(30~50 mg/L)이 포함된 원수를 사용했으며 제강슬래그 반응조 유출수는 pH 8.9~11.4에서 평균 99.9%의 지속적으로 높은 망간제거효율을 보였다. 철 유입 없이 망간제거실험을 진행한 반응조를 이용하여 망간농도 40~60 mg/L의 원수에 철을 추가로 유입하여 237일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망간 제거 이후 pH는 6.1~10.0 범위로 증가하였으며 철 유입 전에 비해 낮은 범위를 보였다. S반응조가 pH 7.1~9.9로 가장 높았으며 S+L 반응조, S+G 반응조가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망간제거효율은 비교적 낮은 pH 범위임에도 불구하고 S+L 반응조가 94~100%로 가장 높았으며 S반응조와 S+G 반응조는 약 68~100%의 범위의 효율을 보였다. S+L반응조가 철 유입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pH 이외에도 석회석에 의해 공급된 탄산염에 의한 $MnCO_3$의 형성 또는 자가촉매반응이 망간제거에 기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S+L 반응조 침전물에서 로도크로사이트(rhodochrosite, $MnCO_3$)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광산배수 내 망간을 처리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반응조는 제강슬래그+석회석 반응조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철의 유입에 따른 비교적 낮은 pH(9 이하) 범위에서도 망간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공법을 선정하는데 기여 할 수 있다.

55Mn이 첨가된 SrTiO3 단 결정의 광 전이 특성연구 (Magneto-optical Properties of 55Mn-doped SrTiO3 Single Crystal)

  • 배규찬;박정일;이형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08-213
    • /
    • 2011
  • Mori-Kawabata의 사영 연산자 방법을 $^{55}Mn$이 첨가된 $SrTiO^3$ 단 결정에 직접 적용하여, 이를 운동 방정식의 형태로 만드는 이론 체계를 사용하여 선모양 함수를 계산하였다. 외부 진동수 ${\nu}_0$ = 9.6 GHz에서 서로 다른 농도 [Mn] = 0.5 wt%와 2 wt%에 대한 온도 의존성으로 선폭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폭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선모양의 운동 좁아짐으로 보이며 고온영역 에서는 실험값과 비교적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계를 기술하는 스핀 해밀토니안에 연산자 방법을 이용한 선모양 함수는 실제 계의 적용에 편리한 급수전개로 하였으며, 다른 방법들에 비해 비교적 쉽게 계산할 수 있었다.

韓國海岸 眞珠담치의 重金屬含量 (Heavy metals in mussels in the Korea Coastal Waters)

  • 이수형;이광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117
    • /
    • 1984
  • 동해안의 임원, 새해안의 반월, 그리고 남해안의 진해만과 여수 등지에서 진주담치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함량을 1981∼8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한 중금속은 Cd, Cr, Cu, Pb, Zn, Mn, Fe 등 7가지 였다. 시료채취시 시료는 깨끗한 해수에 담가 청장(depuration) 시키는 것이 좋으며 시간은 48시간 정도가 적당하였다. 진주담치 중의 중금속함량은 임원 해역의 자연산이 Cd, Cr, Cu 등이 특히 높았으나 Mn과 Fe 등은 조사 지역 중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에 여수는 Pb, Mn, Fe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에서는 마산만 입구의 양식 진주담치도 중금속함량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중금속들은 Cu를 제외하고는 진주담치가 성장해 감에 따라 건증량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I) - COD, T-N, T-P, pH -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s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 박선구;양영모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38-243
    • /
    • 2001
  • K 수계 6개 지점의 호소 퇴적물과 근접된 수질에 대해 $COD_{Mn}$, T-N, T-P, pH를 측정분석 하였다. 퇴적물로부터 분리된 수질이 퇴적물과 근접한 수질보다 COD, T-N, T-P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퇴적층 바로 위의 수질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직상수와 최상수의 $COD_{Mn}$, T-N, T-P에 대한 수질분석 결과는 1.2~19.0mg/L, T-N, 1.3~6.2mg/L, T-P, 0.05~0.26mg/L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퇴적물이 호소내 수질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망간, 코발트 및 아연과 2 염기 유기산 사이의 착물 (Complexes of Manganese, Cobalt and Zinc with Dibasic Organic Acids in Aqueous, Ethanol-Water and Acetone-Water Solutions)

  • 최상업;이동재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39
    • /
    • 1974
  • $Mn^{++}, Co^{++} 및 Zn^{++}$용액을 실온에서 양이온 교환수지와 2염기 유기산이 들어 있는 용액에 섞어 넣었다. 방사성 금속이온을 추적자로 사용함으로써 금속이온이 수지층과 용액사이에 어떻게 분배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 분배 비율이 유기산이온 농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아, $Mn^{++}, Co^{++} 및 Zn^{++}$이 수용액, 에탄올-물 및 아세톤-물에서 썩신산, 말론산, 프타르산 및 타르타르산과 사이에 1:1착물을 형성한다고 결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이들 착물의 안정도가 다음순으로 증가함을 알았다.$Mn^{++}

  • PDF

강우 시 중랑천 유역의 수질(T-P, T-N, CODMn, SS, BOD5)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Temporal Variation on Water Quality (T-P, T-N, CODMn, SS, BOD5) in the Jungrang Stream during Rainfall Event)

  • 정재형;조우싱;이태진;권오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12-420
    • /
    • 2014
  • 중랑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4개 지점을 선정하여 3회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수질변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강우시 $COD_{Mn}$, SS와 $BOD_5$ 농도는 증가하고, T-N은 감소하고, T-P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며, 경향성은 강우량과 강우강도 증가에 따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누적 강우량과 수질항목별 단순회귀 분석 결과, T-N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서 T-N은 누적강우량이 커질수록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항목들은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평균 강우강도와 수질항목별 단순회귀분석 결과, $R^2$값이 전체적으로 약 0.483~0.992 범위의 대체적으로 폭 넓은 결정계수를 나타났으며, 강우강도가 강할수록, T-P와 T-N은 상류 유입, $COD_{Mn}$은 중류 및 하류 유입, SS는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의 점진적 증가 유입, 그리고 $BOD_5$는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의 점진적 감소 유입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량과 수질항목별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랑천 상류가 유량의 증가와 함께 수질오염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P법에 의한 도시대기중 중금속 농도 측정: 중앙대학교를 중심으로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Concentrations in Urban Air using ICP Method : in the Area of Chung-Ang University)

  • 손동헌;신혜숙;정성윤;정원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2-229
    • /
    • 1993
  • Total suspended particles in the atmosphere were collected on the quartz fiber filters using an ANdersen Hi-volume air sampler from March 1989 to October 1989 and from June 1990 to February 1991, at Chung-Ang University in Seoul. A total amount of eight heavy metals (Cr, Zn, Cd, Pb, Fe, V, Ti, Mn) in total suspended particles were determined by ICP spectrophotometer. The annual arithmetic mean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le was 162.3$\mug/m^3$ and eight metals(Cr, Zn, Cd, Pb, Fe, V, Ti, Mn) were 11.6, 609.2, 3.5, 337.1, 2739.5, 15.1, 89.4 and 100.5ng/$m^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le was highest in the spring(343.7$\mug/m^3$) and lowest in the summer(91.8$\mug/m^3$). These heavy metals were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contents of first-group heavy metals (Fe, Ti, Mn)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particle size. The contents of the second-group ones such as Pb, Cd, V, and Zn, on the contrary, came to increase according as the particle size reduced.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otal suspended particle and Fe in coarse particles, and between total Suspended Particle and Zn, Pb in fine particle.

  • PDF

대두 및 강낭콩내 미량원소의 농도 및 분포에 미치는 DTPA의 영향 (Effects of DTPA on Microelements in Soybean and Bush Bean)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3_4호
    • /
    • pp.40-44
    • /
    • 1973
  • Hawkeye(Fe-chlorosis resistant) and PI 54619-5-1(Fe-chlorosis sensitive) soybeans were grown with and without DPTA(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in Yolo loam soil.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leaf-stem distribution of microelements for different treatments which increase concentrations of microelements in plants to evaluate the role of the chelating agent in increasing translocation of the microelements. Plant responses and yields were recorded and Fe, Mn, Zn, Cu, Al, Co, N, Sn, Pb and Mo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determined by emission spectrography. Sulfur(soil pH4) increased leaf concentrations of Mn, Zn, Cu, CO, Ni, Sn and Pb. DTPA, particularly at 50ppm in soil, increased leaf concentrations of Fe, Mn, Zn, Cu, Co, Ni and Mo. It increased Ti in leaves for the PI 54619-5-1 soybeans only. DTPA increased the ratios of the concentration in leaves to that in stems for Fe, Zn, Cu, Al, Ti, CO, Ni and Mo. Sulfur which increased the microelement concentration in both leaves and stems did not have this effect. DTPA increased the ratio at soil pH 6 and 8.5 in leaves to that in stems of the bush bean plants for Fe, Zn, Cu, Ni, but to a lesser extent in bush beans than in soybeans. PI 54619-5-1 soybeans tended to contain less of most of the metals than did Hawkeye soybeans.

  • PDF

발전용 석탄의 전처리에 의한 중금속 배출 (Reduction of Toxic Emissions by Coal Cleaning)

  • 최우진;전호석;송규소;지평삼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7-64
    • /
    • 1996
  • 석탄중에는 미량원소(trace elements)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농도는 석탄의 종류나 산지에 따라 크게 다르다. 석탄중의 미량원소를 제거하는 것은 그동안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최근 환경문제가 점차 고조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건강 및 환경에 유해한 원소중에서 화석연료 사용과 관련이 있는 원소는 비소(As), 카드늄(Cd), 납(Pb), 구리(Cu), 수은(Hg), 니켈(Ni), 셀레니움(Se) 및 아연(Zn) 등 8개 원소이다. 그러나 그외에도 배출규제의 대상이 되는 원소는 코발트(Co), 염소(Cl), 안티모니(Sb), 베릴리움(Be), 크롬(Cr)과 망간(Mn)이며 이중 망간은 석탄사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Mn을 포함한 9개 원소가 석탄의 사용에 따른 중금속 방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용 석탄에 대한 물리적 전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석탄중의 광물질등을 미리 제거하므로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의 중금속 저감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처리 공정의 석탄중의 Trace elements양을 감소시키므로서 연소 후 중금속의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전소에 적용하고 있는 ESP가 배출가스중 As, Cu, Zn, Mn등의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이기는 하나 가스상으로 존재하는 Hg, Se등을 제거하는데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전처리공정 전후 회분중에 함유된 미량원소를 분석한 결과, 국내 무연탄이나 해외 유연탄 모두 중금속 제거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Pb, Zn, Mn 등은 50∼70%, 특히 Hg 배출량은 80% 이상 저감이 가능하였다. 전반적으로 년간 총 중금속 배출량도 50∼60%가 감소하여 전처리 공정이 석탄중의 중금속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함을 확인하였다.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그리고 계산 결과를 파일로 혹은 프린트로 출력할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있다. 사용자는 해당되는 데이타를 입력한후 마우스로 원하는 작업의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 PDF

낙동강 지류·지천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관리를 위한 등급화 방안 연구 (Flow Rat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ibutaries and a Grouping Method for Tributary Management in Nakdong River)

  • 나승민;임태효;이재운;권헌각;천세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0-3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속한 지류 지천의 효율적인 유역선정 및 수질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38개 지류 지천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3~2014년 동안 실시한 수질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수질현황 결과와 각 항목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관계수가 높고 총량 목표수질지표 항목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_5$), 총인(TP) 지표를 이용하여 $BOD_5$농도/유량(Q), TP농도/유량 교차기준으로 지류 지천 등급화 방안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OD_5$, $COD_{Mn}$, TP, TOC 등의 유기오염물질농도는 낙동왜관 및 낙동고령 중권역에 위치한 구미천, 경호천, 진전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등에서 하천환경기준 III 및 IV 등급 (5~8 mg/L 이하)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한 수질항목 (12가지)간 상관관계 조사 결과 역시, $BOD_5$, $COD_{Mn}$, TP, TOC 등의 상관관계지수가 다른 수질항목들에 비하여 0.8 (p<0.01) 이상으로 높았다. 유량과 수질 ($BOD_5$, TP)항목을 활용하여 하천등급화를 실시한 결과, 유량 ($0.1m^3/s$ 이상)과 유기물 농도가 높은 ($BOD_5$ > 3.0 mg/L, TP > 0.1 mg/L) I 그룹의 하천(영산천, 구미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미전천)이 우선수질개선 및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