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yagawa-was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Comparison of the Cold-Pressed Peel Oil Compos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ov. forma Miyagawa-wase) by GC, GC-MS and GC-O

  • Park, Hyang-Sook;Sawamura, Masayosh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5-11
    • /
    • 2002
  • The comparis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Korean and Japanese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ov. forma Miyagawa-wase) peel oils, isolated by cold-pressing,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mass-spectrometry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Eighty-five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ach oil by GC and GC-MS. Forty-three components were detected in each oil by GC-O. The total amount of monoterpene hydrocarbons was 95.88% (Korean mandarin) and 95.29% (Japanese mandarin). Limonene, ${\gamma}$-terpinene, myrcene and $\alpha$-pinene we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d-pressed oils from the both samples. The volatile composition of the Japanese mandarin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 of sesquiterpene hydrocarbons, especially bicyclogermacrene, $\alpha$-humullene and valencene. The volatile composition of two samples can easily be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s of aldehydes, ketones and esters, which were found at higher levels in the Japanese mandarin. The sweet and fruity flavor was stronger in the Korean mandarin oil while herbaceous flavor was stronger in Japanese sample. From GC-O data it is suggested that the sweet and fruity flavor of the Korean mandarin resulted from terpinolene and linalool, and the herbaceous note of the Japanese mandarin from $\alpha$-humullene, nepal, ι-carvone and perill aldehyde.

온주밀감 신품종 '하례조생' 육성 (A New Early Maturing Satsuma Mandarin Cultivar, 'Haryejosaeng')

  • 윤수현;김성종;김한용;박재호;안현주;강성구;문영일;김광식;이동훈;고상욱;김창명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4-187
    • /
    • 2008
  • A new early maturing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Haryejosaeng' was developed as a nucellar seedling selection of 'Tachima Wase' (C. unshiu Marc.) that was crossed with C. natsudaidai Hayata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in Jeju island in 1992. The 'Jegam ga No. 2', a first selection from the seedlings fruited in 2001 was finally named "Haryejosaeng" through field evaluation trials at three locations in Jeju island from 2003 to 2004. 'Haryejosaeng' produces seedless fruit maturing in early November, and has higher soluble solids and lower acidity than 'Miyagawa Wase', the leading early-maturing satsuma mandarin cultivar in Jeju island. Fruit weight is moderate at about 80~90 g and its shape is compressed-oblate globose with a light orange color. The rind thickness of about 2 mm provides easy peeling. The flesh shows light orange colored and contains 10 to 11 Brix and 1 to 1.1% acidity when mature. Tree shows vigorous growth and spreading thornless twigs. Alternate bearing is similar to 'Miyagawa Wase'. 'Haryejosaeng' is susceptible to citrus scab disease and melanose, but resistant to citrus canker.

Effect of Embryogenic Callus Conditions on Plant Regeneration in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 Han, Sang-Heon;Kang, Sung-Ku;An, Hyun-Joo;Kim, Han-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9-32
    • /
    • 2002
  • The ability to form embryiod from callus in satsuma mandarin is low and unstable.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nucellar tissue for promotion of plant regeneration in satsuma mandarin were investigated. The calli of I, II and III line were divided into two sizes of 0.5 mm and 1.0 mm in diameter and two weight gradients of percoll at 40% and 50% though the filter mesh. The frequency of embryo formation from $\phi$ 1.0mm-40% was slightly higher than callus that from others. Adventitious embryoids developed to a globular stage were transferred to regeneration medium. In 'Miyagawa Wase', the embryos from I and II line developed into a heart stage from most of $\phi$ 0.5 mm- 40% and $\phi$1.0 mm-40% calli, but it failed in 'Sugiyama Unshu'. In the cultivar of 'Miyagawa Wase', 63% of adventitious embryos transferred to the regeneration medium developed into the heart stage from the most $\phi$ 1.0 mm-40% calli of I line, but of 'Sugiyama Unshu' failed in some calli condition. The embryoids from two callus lines developed further to shoots and plantlets, while the embriods from III line abnormal failed to regenerate in the cultivar.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lant regeneration from embryogenic callus in satsuma mandarin could be affected by callus conditions.

감마선조사를 통한 돌연변이 궁천조생 감귤 가지 유도 및 선발 (Induction and Selection of Citrus Mutant by Gamma-Irradiation)

  • 김인중;오승규;이효연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15-219
    • /
    • 2010
  • We have subjected to gamma-irradiation to citrus buds and then grafted onto mature citrus tree. Mutant citrus branch lines have been induced. As a result of first selection, we found the several mutant lines showing interesting phenotypes such as higher sugar content. We have selected several branches showing good qualities such as higher sweetness and/or lower acidity. Some branch lines showed over $13^{\circ}Brix$ sugar content and below 0.9% acidity. Other mutant branch lines showed the changes of shape, size, peel thickness, and fiber contents or distribution of fruits. The results suggest that gamma-irradiation is an effective tool for induction of citrus mutant lines.

높은이랑재배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품질향상 (Effects of Ridge-up Bed Cultivation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Miyagawa Wase') in a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김창명;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599-604
    • /
    • 2000
  • 이랑높이가 하우스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이랑높이를 0, 20cm, 40cm, 60cm로 하여 궁천조생과 흥진조생을 공시하고, 토양수분 및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우스밀감의 고품질 생산에 필요한 토심 30cm에서의 토양수분포테셜이 -1.4Mpa이 되기까지는 평휴에서 100일 이상, 20cm에서 100일, 40cm에서 60일, 60cm에서 30일이 소요되었다. 착색도 a는 이랑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되어 평휴에 비해 60cm 이랑에서 11이나 증가되어 이랑높이에 따른 착색 촉진효과가 현저하였으며, a/b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포도당과 과당으로 조성된 환원당은 이랑이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 뚜렷하였고 포도당에 비해 과당 함량이 많은 편이었다. 자당은 환원당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환원당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었으며, 품종간에는 이랑높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제적으로 하우스밀감의 품질을 대표하는 당도는 평휴, 20, 40, 60cm 이랑에서 각각 11.4, 12.1, 12.5, $12.8^{\circ}Brix$로 평휴에 비해 60cm 이랑에서 $1.4^{\circ}Brix$나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산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Ethychlozate와 Ca제제 혼용살포가 하우스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Ethychlozate Mixed with Calcium Formulae on a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Miyagawa Wase') in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 김용호;문덕영;김한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605-611
    • /
    • 2000
  • 과실비대 성숙기가 여름철 고온환경에 처해지는 후기작형(12월 하순 이후 가온) 하우스 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피경감을 위하여 ethychlozate와의 혼용에 적합한 칼슘제제를 선발하고자 ethychlozate에 clef-non, suical, cell-bine, clacium acetate monohydrate를 혼용하여 살포하고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Ethychlozate에 clef-non 또는 suical 칼슘제제를 혼용하여 살포하여 주는 것이 하우스밀감의 착색을 촉진시키고 또한 착색도 a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부피과가 발생되지 않아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었다. 환원당은 무처리,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 non, ethychlozate+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4.98, 5.30, 5.59, 5.00, 5.20, 4.72%로 ethychlozate에 clef-non을 혼용하여 주는 것이 무처리에 비해 0.61% 높았으며 자당과 총당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Brix 당도는 ethychozate 단용구, ethychlozate+clef-non, ethychlozat+suical, ethychlozate+cell-bine, ethychlozate+calcium acetate monohydrate에서 각각 11.33, 12.20, 12.70, 12.00, 11.93, $11.40^{\circ}Brix$로 ethychlozate 단용구와 calcium acetate monohydrate를 제외한 칼슘제제 혼용구에서 $12^{\circ}Brix$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특히 clef-non 혼용구가 $12.7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며 당산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산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양액재배에서 감귤나무의 무기양분 흡수 (Nutrient Absorption by Citrus unshiu Marc. Grown in Out-Door Solution Culture)

  • ;강태우;송성준;박원표;;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5-232
    • /
    • 2003
  • 노지에서 분무식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감귤나무(Citrus unshiu Marc. cv. Miyagawa Wase)의 무기양분과 물 흡수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의 농도는 세 수준으로 나누어 공급한 뒤 주기적으로 양액을 채취하여 무기양분과 물 흡수량을 측정하였고, 생체중의 변화를 조사하여 수체 증가량을 알아보았다. 물의 흡수는 감귤나무의 수체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High 처리구에서는 Medium과 Low보다 적게 흡수되었다. 영양생장(5~7월)과 과실형성(8~9월)기에 생체중과 양분흡수 증가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양분의 흡수는 양액 공급 농도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높을수록 더 많이 흡수하는 경향이었고, $NH_4-N$, S, P, Mg, Fe보다 $NO_3-N$, K, Ca가 많았다. 또한 감귤잎 중 무기양분 함량도 공급되는 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감귤나무의 주요 원소의 양액 농도 조성은 N, P, K, Ca, Mg 경우 각각 27.1, 16.5, 66.0, 80.0, $24.0mg\;L^{-1}$이 적당힌 것으로 사료된다.

Ethephon과 Ca제제 혼용 엽면살포에 의한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재배된 온주밀감의 품질향상 효과 (Effects of Foliar Spray of Calcium Salts and Ethephon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Miyagawa wase) in the Plastic Greenhouse)

  • 김용호;한승갑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8-119
    • /
    • 2001
  • 감귤의 품질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ethephon의 실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탄산칼슘제와 몇 종류의 수용성칼슘제를 가용하여 엽면살포를 하고 품질조사와 더불어 낙엽율을 조사하였다. 착색도 a값이 ethephon에 Clef-non, Cell-bine, Hicalux, Calcium acetate 가용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높아져서 착색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수확기를 앞당길 수 있었다. 낙엽율은 ethephon에 Cell-bine 또는 Hicalux 가용처리한 경우에 낙엽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당도는 ethephon 단용처리, ethephon+Clef-non, Cell-bine 가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각각 1.6, 1.54, 1.54$^{\circ}$Bx가 높은 결과를 보였고 산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본시험을 통하여 ethephon에 Cell-bine을 가용하여 살포하여 주는 것이 착색을 촉진시키고 낙엽율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당도를 높여서 하우스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배주배양 세포로부터 감귤 식물체의 획득 및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 무병주 검증 (Production of Citrus Plants from Ovule Cell Culture and Verification of CTV - free Plants)

  • 진성범;박재호;박석만;이동훈;윤수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121-130
    • /
    • 2017
  • 본 실험은 우량 감귤품종 육성을 위한 바이러스 프리인 배주배양 세포의 재료 공급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CT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도 재래감귤 3품종(동정귤, 청귤, 지각) 그리고 온주밀감 2품종(궁천조생, 하례조생)의 미숙과실 내 수정되지 않은 배주를 malt extract $500mg{\cdot}L^{-1}$, sucrose $50g{\cdot}L^{-1}$, kinetin $1.0mg{\cdot}L^{-1}$ 그리고 agar $8g{\cdot}L^{-1}$가 첨가된 MS2 배지에 치상하여 4주 후 각각 10, 21, 13, 5, 7개의 체세포 배를 얻었고, 체세포배 주변에서 white 캘러스 세포의 유도는 각각 2, 4, 2, 4, 5개를 얻었다. 얻어진 캘러스 세포로부터 체세포배의 유도는 MT 기본배지에 malt extract $500mg{\cdot}L^{-1}$, lactose $70g{\cdot}L^{-1}$ 그리고 agar $16g{\cdot}L^{-1}$가 첨가된 배지로 옮겨 6주 후 재분화능 체세포배를 얻었다. 재래감귤의 재분화능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 malt extract $500mg{\cdot}L^{-1}$, sucrose $50g{\cdot}L^{-1}$ 그리고 agar $8g{\cdot}L^{-1}$이 첨가된 배지로 옮겨 약 10주 후 약 60% 이상의 정상적인 유식물체를 얻었다. 반면 온주밀감 2품종은 MT 기본배지에 sorbitol 1.0M, galactose 1.0M, $GA_3$ $1.0mg{\cdot}L^{-1}$ 그리고 gelrite $3g{\cdot}L^{-1}$가 첨가된 배지에서 정상적인 유식물체를 얻었다. 배주배양 세포로부터 유도된 식물체들의 무병주 여부는 RT-PCR과 혈청학적 진단법을 이용하여 무병주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생명공학기법에 바이러스 프리인 감귤 세포를 이용함으로써 우량 감귤 품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을에 시용한 질소의 온주밀감 수체 부위별 분포 (Distribution of Fall-Applied N in Various Parts of Satsuma Mandarins)

  • 강영길;유장걸;김용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5-332
    • /
    • 2000
  • 1998년 11월 18일에 $2.7{\times}2.7m$ 거리로 재식된 11년생 궁천조생온주 4주에 5 atom % 15N를 요소로 19.68 g 주-1의 N, $58kg\;ha^{-1}$$K_2O$을 시용하였고, 1999년 3월 22일에 104, 308, $62kg\;ha^{-1}$의 N, $P_2O_5$, $K_2O$를 6월 12일에 42 and $83kg\;ha^{-1}$의 N와, $K_2O$를 시용하여 재배한 후 1999년 6월 15일과 12월 8일에 각각 2주씩 굴취 해체하여 전질소 및 가을시용질소 함유량을 수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과실, 잎줄기, 뿌리에의 전질소함유량의 분포비율은 6월 굴취 때에 각각 주당 전질소 총함유량(168.2g)의 11.9, 42.1, 29.7, 16.3%이었고, 12월 굴취 때에 각각 주당 전질소 총함유량 (169.8g)의 27.6, 36.4, 22.8. 13.1%이었다. 수체 질소 중 가을시용질소에서 유래된 질소의 비율은 두 굴취 시기 모두 새로 발생된 기관에서 현저히 높았다. 6월 굴취 때의 가을시용질소 회수율은 18.5%(3.63g 주-1)이었고, 주당 가을시용질소 총함유량의 21.1, 50.4, 21.5, 7.9%가 각각 과실 잎, 줄기, 뿌리에 분포되어 있었다. 12월 굴취 때의 가을시용질소 회수율은 17.0%(3.35g 주-1)이었고 가을시용질소 총함유량의 39.6, 40.5, 14.5, 5.3%가 각각 과실, 잎, 줄기, 뿌리에 분포되어 있다. 전질소에 비하여 두 시기 모두 가을시용질소에서 유래된 질소는 대사적으로 활발한 조직에 보다 많이 축적된 반면 오래된 조직에는 보다 적게 축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