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ture Experiment

검색결과 1,336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Ionophore Enriched Cold Processed Mineral Block Supplemented with Urea Molasses 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Growth in Crossbred Cattle

  • De, Debasis;Singh, G.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852-862
    • /
    • 2003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ionophore enriched cold processed mineral block supplemented with urea molasses on microbial growth and rumen fermentation. Twelve adult male crossbred cattl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n body weight basis. Animals were given wheat straw as a basal diet. The animals of group I and II were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mixture and animals of group III and IV were supplemented with cold processed urea molasses mineral block (UMMB). Thirty mg monensin/day/animal were supplemented to the animals of group II and 35 ppm monensin were incorporated in the UMMB supplemented to the animals of group IV. Dry matter (DM) inta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Mean rumen pH was higher in UMMB fed animals. Total volatile fatty acids (TVFA) concentration (mmole/L strained rumen liquor (SRL) in group III (113.19)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 I (105.83) and II (108.74) but similar to group IV (109.34). TVFA production (mole/day) was similar in all the groups.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the group I (59.56) than those of group II (51.73) and IV (55.91) but similar to group III (57.12).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the monensin treated groups i.e. group II (38.38) and IV (36.26) than those of group I (27.78) and III (33.06). Butyrate molar percent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group I (12.65) than those of group II (10.19), group III (9.83) and IV (7.84). The reduction of acetate and butyrate was due to UMMB and monensin resulted in lower A:P ratio. Average bacterial pool and bacterial production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Total N concentration (mg/100 ml SRL)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the group I (55.30) and III (57.70) as compared to the group II (47.97) and IV (47.59). Ammonia-N concentration (mg/100 ml SRL) of group III (34.99)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 (25.76) which was again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I (20.79) and IV (19.83) indicating slower release of ammonia due to monensin in diet. Total bacterial, cellulolytic, proteolytic bacterial and fungal count at 4 h post feed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among treatment groups. However, methanogenic bacterial count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the group I (11.80) compared to the group II (8.43) which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II (4.70) and IV (2.90). Average protozoal population was affected by both treatments. Thus feeding of UMMB and monensin in diet affected the rumen fermentation pattern towards propionate production, slower release of ammonia and reduction in methanogenic bacteria in the rumen.

Effect of Exogenous Fibrolytic Enzyme Application on the Microbial Attachment and Digestion of Barley Straw In vitro

  • Wang, Y.;Ramirez-Bribiesca, J.E.;Yanke, L.J.;Tsang, A.;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66-74
    • /
    • 2012
  • The effects of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EFE; a mixture of two preparations from Trichoderma spp., with predominant xylanase and ${\beta}$-glucanase activities, respectively) on colonization and digestion of ground barley straw and alfalfa hay by Fibrobacter succinogenes S85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FD1 were studied in vitro. The two levels (28 and 280 ${\mu}g$/ml) of EFE tested and both bacteria were effective at digesting NDF of hay and straw. With both substrates, more NDF hydrolysis (p<0.01) was achieved with EFE alone at 280 than at 28 ${\mu}g$/ml. A synergistic effect (p<0.01) of F. succinogenes S85 and EFE on straw digestion was observed at 28 but not 280 ${\mu}g$/ml of EFE. Strain R. flavefaciens FD1 digested more (p<0.01) hay and straw with higher EFE than with lower or no EFE, but the effect was additive rather than synergistic. Included in the incubation medium, EFE showed potential to improve fibre digestion by cellulolytic ruminal bacteria. In a second batch culture experiment using mixed rumen microbes, DM disappearance (DMD), gas production and incorporation of $^{15}N$ into particle-associated microbial N ($^{15}N$-PAMN) were higher (p<0.001) with ammoniated (5% w/w; AS) than with native (S) ground barley straw. Application of EFE to the straws increased (p<0.001) DMD and gas production at 4 and 12 h, but not at 48 h of the incubation. EFE applied onto S increased (p<0.01) $^{15}N$-PAMN at 4 h only, but EFE on AS increased (p<0.001) $^{15}N$-PAMN at all time points. Prehydrolysis increased (p<0.01) DMD from both S and AS at 4 and 12 h, but reduced (p<0.01) $^{15}N$-PAMN in the early stage (4 h) of the incubation, as compared to non-prehydrolyzed samples. Application of EFE to barley straw increased rumen bacterial colonization of the substrate, but excessive hydrolytic action of EFE prior to incubation decreased it.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Gaddi kids supplemented with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extract

  • Kumar, M.;Kannan, A.;Bhar, R.;Gulati, A.;Gaurav, A.;Sharma, V.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86-494
    • /
    • 2017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haemato-biochemical attributes, immune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Gaddi kids fed with oat fodder bas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TSS) extract. Methods: Eighteen male kids, $7.03{\pm}0.16$ months of age and $19.72{\pm}0.64kg$ body weight, were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T_0$ (control), $T_1$, and $T_2$, consisting of 6 animal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concentrate mixture and oat fodder (50:50). Animals in group III ($T_2$) were supplemented with TSS at 0.4% of dry matter intake (DMI), and group II ($T_1$) were supplemented with tea seed at 2.6% of DMI to provide equivalent dose of TSS as in $T_2$. Two metabolism trials were conducted, 1st after 21 days and 2nd after 90 days of feeding to evaluate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effects of supplementation. Results: The tea seed ($T_1$) or TSS ($T_2$)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DMI as well a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Nutritive value of diet and plane of nutrition were also comparable for both the period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improved (p<0.05) for $T_1$ and $T_2$ as compared to $T_0$. The microbial protein supply was also higher (p<0.05) for $T_1$ and $T_2$ for both the periods. There was no effect of supplementation on most blood parameters. However, the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p<0.05)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increased (p<0.05) in $T_2$ as compared with $T_0$ and $T_1$. Supplementation also did not affect the cell 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in goats. Conclusion: Tea seed at 2.6% of DMI and TSS at 0.4% DMI can be fed to Gaddi goats to improve growth rate, FCR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Vermicomposting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Treatment of Food Wastes by Vermicomposting)

  • 이주삼;김만중;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3호
    • /
    • pp.51-62
    • /
    • 2005
  • 본 실험은 음식물 쓰레기와 다른 유기성 자원의 혼합처리가 지렁이(Eisenia foetida)의 생육과 분변토 생산량, 분변토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지렁이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100%,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 돈분 슬러지, 톱밥발효 돈분, 인분 슬러지, 하수 슬러지를 각각 50:50으로 혼합 처리하였을 때, 음식물쓰레기 100% 처리구에서는 지렁이가 생존하지 못하여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가 불가능하였다.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 과정에서 최종산물로 생산되는 분변토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효인산 함량, 양분 보전능(CEC), 친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이 함량이 식물체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요구량 이상 함유되었다. 분변토 생산량은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발효 돈분의 혼합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분변토 비율은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의 혼합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렁이 체 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율과 전환효율은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발효 돈분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 분을 혼합 처리하는 것이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에 가장 알맞은 먹이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터보차저 노즐 슬라이드 조인트의 정형공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aping process of turbocharger nozzle slide joint)

  • 김봉주;이선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7-114
    • /
    • 2017
  • 터보차저는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엔진 과급기를 말하며, 배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배기통로에 연결된 터빈의 회전력을 변화시켜, 혼합 가스의 충전효율을 높여 출력과 연비를 향상 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과급을 조절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핵심 부품 중 노즐 슬라이드 조인트가 있다. 소재는 현재 오스테나이트 계 스테인리스강으로 높은 내열성과 내식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절삭성이 나쁘기 때문에 절삭가공에 의해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만드는데 어려운 점이 많다. 현재 노즐 슬라이드 조인트의 가공방법은 금속분말 사출성형후 치수정밀도를 위해 절삭가공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tronic 60을 이용하여 터보차저 과급유량을 조절해주는 노즐 슬라이드 조인트의 제작 공정에서 절삭가공이 필요 없는 정형가공 공정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계적 특징에 영향과 연관이 있는 소결온도, 제품의 응력 및 변형률, 형상과 관련이 있는 모따기 펀치각도 및 펀치의 곡률반경을 설계변수로 선정하였다. 그에 따라 유한요소해석과 실험계획법인 다구찌법 및 SN비를 이용하여 가장 좋은 공정 조건을 제안하였다. 최종제품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상대밀도 및 정수압을 비교하여 경향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구찌법을 이용한 금속분말의 성형공정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 고압 정적 연소실에서 연소과정에 따른 온도 분포 측정 (Study of spatial temperature distribution during combustion process in a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stant volume chamber)

  • 김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45-350
    • /
    • 2017
  • 디젤 엔진의 연비와 배기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다운사이징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의 사이즈는 작아지고, 엔진 연소실 내 온도와 압력은 상승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높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연료 분무의 발달과정과 연소과정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젤 엔진 연소실의 고온 고압 환경을 벤치에서 모사해줄 수 있는 정적 연소실을 개발하였다. 정적 연소실은 예혼합기를 연소시켜 순간적으로 온도와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킨 다음, 주변으로의 열전달에 의해 온도와 압력이 감소할 때 시험 목표조건인 온도와 압력 조건에 다다르면, 연료 분사기에 신호를 인가하여 연료분무를 개시하며 쿼츠 창을 통하여 연료 분무를 가시화 한다. 이 때, 정적 연소실 내에 연료 분무가 이루어지는 영역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확한 시험 조건을 형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전대를 직접 개발 및 제작하여 연소실 내 시공간적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체 체적 온도보다 연료 분무가 개시되는 중심 공간의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연소실 벽면으로의 열전달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방향으로의 온도 편차는 약 10%이내 수준이었으나, 종방향으로 온도편차가 최대 15%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는 부력으로 인한 고온의 연소가스의 상승효과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어피 젤라틴 펩티드와 결합한 굴껍질 유래 칼슘 화합물이 칼슘 결핍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Compounds from Oyster Shell Bouind Fish Skin Gelatin Peptide in Calcium Deficient Rats)

  • 김규형;전유진;변희국;이연숙;이응호;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59
    • /
    • 1998
  • 매년 막대한 양이 폐기되어져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시키는 굴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칼슘 성분을 체내 칼슘 공급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굴껍질을 $1200^{\circ}C$로 소성 가공시켜 $98.6\%$의 수율로 산화칼슘을 만들었고, 이로부터 $CaCl_2$$CaHPO_4$ 등과 같은 칼슘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어피 젤라틴 유래 펩티드를 굴껍질 유래 칼슘화합물들에 대한 칼슘 흡수 촉진제로 사용하였는데, in vitro 실험 결과 참치 유문 수 유래 조효소인 TPCCE를 사용하여 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얻은 어피 젤라틴 펩티드가 가장 뛰어난 $CaHPO_4$ 침전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무첨가와 비교했을 때 $70\%$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칼슘을 결핍시킨 수컷 흰쥐(SD-Dawley male rats)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칼슘 흡수 촉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칼슘 흡수 촉진제로 어피 젤라틴 펩티드가 첨가된 굴껍질 유래 칼슘화합물을 섭취시킨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칼슘 및 회분량을 나타내었으며, $1\%$보다는 $3\%$의 펩티드를 섭취시킨 군들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Cl_2$ 섭취군 보다는 $CaHPO_4$ 섭취군들에게서 더 뛰어난 촉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분으로의 칼슘 배출은 대조군의 약 $50\%$이하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소장내 불용화 칼슘의 형성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기 기관형성기중 랫트배자의 배양에 관한 연구 (Culture of Rat Embryos During Early Organogenesis)

  • Chin Kang;Lee, You-Mie;Rheu, Hang-Mook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1_2호
    • /
    • pp.71-82
    • /
    • 1991
  • 포유동물의 최기형성을 연구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인 설치류중 랫트의 배자를 이용하여, egg-cylinder기를 지나 head-fold가 이루어지는 초기체절기인 9.5일경부터 뇌, 눈, 귀, 심혈관계가 형성되는 시기인 11,5일까지 2일(48시간) 동안, 체외에서 배양하였다. 그 배양의 최적조건은 실험실마다 다르기 때문에 최적조건확립을 목적으로 이 실험을 행하였다. 온도는 37$^{\circ}C$$\pm$0.2$^{\circ}C$로 유지시키고 가스는 배양초기인 9.5일~10.5일 동안을 50%$O_2$, 5% $CO_2$, 90% $N_2$가스를 공급하여 10.5일부터 6시간 동안은 20% $O_2$, 5% $CO_2$, 75% $N_2$로 하며 나머지 18시간 동안은 40% $O_2$, 5% $CO_2$, 55% $N_2$가스를 배양계에 공급했을 때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다. 배양배지로서는 랫트 IC 혈청을 분리하여 열비동화시켜서 사용하였다. 이종혈청이나 합성배지를 첨가해서 배양할 경우는 랫트 혈청에 비해 성장이 좋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동물실험법의 대체법으로서 배자배양법의 기본조건을 확립하여 최기형성 평가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 융합에 대한 상 비대칭의 영향 (Phase Asymmetry Effect on Vesicle Fusion Induced by Phospholipase D)

  • 박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72-676
    • /
    • 2015
  • 구형인지질이중층인 소낭이 이중에멀젼기법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소낭의 바깥층에서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촉진되는 Phosphatidylcholine의 Phosphatidic-acid 전환은 소낭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소낭들의 융합을 유도한다. 인지질층의 물성이 융합에 끼치는 영향을 형광세기변화의 측정으로 규명하였다. 측정 전에, 형광세기에 대한 융합의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8-Aminonaphthalene-1,3,6-trisulfonic acid disodium salt(ANTS)와 p-Xylene-bis(N-pyridinium bromide)(DPX)이 각각 캡슐화된 소낭들을 1:1로 섞은 조건의 형광세기를 0% 융합으로 설정하였으며, ANTS와 DPX가 섞인 채로 캡슐화된 소낭의 형광세기를 100% 융합으로 설정하였다. 형광물질의 누출을 고려하여 별도의 실험에서 누출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지질분해효소D에 의해 유도된 소낭들의 거동을 관찰한 결과, 안층이 액상인 조건에서만 융합이 일어났다. 그러나, 융합은 바깥층의 상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층의 상은 누출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결과는 층의 밀도와 측면확산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다공성규산칼슘계 화합물을 이용한 원예용 상토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Media Using Macroporous Calcium-Silicate Mineral)

  • 이종진;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101-107
    • /
    • 2001
  • 본 연구는 다공성규산칼숨계화합물(CellCaSi) 의 토양개량제 및 원예용상토 원료로서의 평가와 농업적 효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되었다. 다양한 입자크기인 1~3.35mm 범위로 구성된 CellCaSi의 용적밀도는 약 $0.42g/cm^3$였다. 또한 최대공극은 81.4%로 나타났다. 원예용 상토에 CellCaSi의 적정혼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배추, 상추의 발아율(Germination Index; G.I)을 조사하였으며, CellCaSi가 10% 첨가된 상토의 G.I.가 배추와 상추에서 각각 94.1%, 64.6%로 가장 높은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배추, 상추의 작물생육조사에서는 공시작물의 생중량을 비교할 때 CellCaSi의 첨가비율이 10%와 20%에서 가장 우위를 나타냈다. CellCaSi의 흡착능 실험에서는 화학비료를 N : P : K = 18 : 18 : 18의 비로 처리하였으며, N. P. K의 처리된 성분이 증가할수록 CellCaSi에 흡착된 양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배추와 상추의 작물생육조건에서 가장 적절한 처리는 Fer-1, 그리고 Fer-05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