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olution

검색결과 2,066건 처리시간 0.028초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합판(合板)의 토란증량(土卵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aro Extension of UF and PF Resin Bonding Plywoods)

  • 이필우;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제조시(合板製造時) 증량제(增量劑)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소맥분(小麥粉)을 토란(土卵)으로 대체(代替)하기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糾明)하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토란(土卵)과 소맥분(小麥粉)은 건조기내(乾燥器內)에서 전건상태(全乾狀態)로 건조(乾燥)시킨 후(後) 실험용(實驗用) 분쇄기(粉碎機)로 80~100 mesh로 분말화(粉末化)하여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다. 합판제조(合板製造)에는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하였으며 각수지(各樹脂)에 증량재료(增量材料)를 10, 20, 30, 50%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어진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모든 증량비율(增量比率)에서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을 훨씬 능가(能加)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란(土卵)은 소맥분(小麥粉)을 대체(代替)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다. 2)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분(小麥粉)이 토란(土卵)보다 높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의 경우 30%와 50%의 증량(增量)에서는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보다 좋은 접착력(接着力)을 보였다.

  • PDF

Plasma Osmolality Controls Dry Forage Intake in Large-type Goats

  • Thang, Tran Van;Sunagawa, Katsunori;Nagamine, Itsuki;Ogura, G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8호
    • /
    • pp.1069-1085
    • /
    • 2011
  • In large-type goats that were fed on dry forage twice daily, dry forage intake was markedly suppressed after 40 min of feeding had elap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or not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 thirst sensations produced by dry forage feeding suppress dry forage intake. Eight large-type male esophageal- and ruminal-fistulated goats (crossbred Japanese Saanen/Nubian, aged 3 to 6 years, weighing $72.3{\pm}2.74$ kg) were used in two experiments conducted under sham feeding conditions. The animals were fed ad libitum a diet of roughly crushed alfalfa hay cubes for 2 h from 10:00 to 12:00 h during two experiments. Water was withheld during feeding in both experiments but was available for a period of 30 min after complet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In experiment 1, an intraruminal infusion of artificial parotid saliva (RIAPS) in the control replenished saliva lost via the esophageal fistula and an intraruminal infusion of hypertonic solution (RIHS) in the treat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reproduce the effects of changing salt content due to feed entering the rumen. In experiment 2, the RIHS control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IHS treatment of experiment 1.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RIHS-with an intravenous infusion of artificial mixed saliva (VIAMS) treatment that was carried out for 3 h to prevent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during feeding. The results of the RIHS treatment in experiment 1 showed that ruminal fluid osmolality increased and then an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was observed. Thi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thirst sensations and the reduction of cumulative dry forage intake to 43.3% (p<0.05) of the RIAPS control. The results of the RIHS-VIAMS treatment in experiment 2 indicated that ruminal fluid osmolality was the same as the RIHS control but plasma osmol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irst level was markedly reduced. Thi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of 31.4% (p<0.05) in cumulative dry forage intake in the RIHS-VIAMS treatment compared to the RIHS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s in ruminal fluid osmolality during dry forage feeding indirectly suppresses dry forage intake by causing an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ly inducing thirst sens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rked decreases in dry forage intake after 40 min of feeding are caused by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 thirst sensations produced by dry forage feeding.

Effect of Fermented Small Soybean Powder Mixed with Mulberry Leaf on Metabolic Improvement and Hex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Kim, Sun-Mi;Han, Jin-Chul;Park, Hum-Dai;Ko, Ki-Sung;Lee, Dae-Hoon;Kim, Sung-Min;Kwon, Dong-Yeul;Kim, Jin-Sook;Kim, Ok-Hee;Hwang, Jin-Bong;Gung, Bae-Nahm;Choo, Young-Ku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97-105
    • /
    • 2006
  • Beans are well known to be high-protein diets. Bean seeds contain arginine, lysine, or glycine-rich proteins which are effective to maintain lower glucose levels. In this study, the synergistic effect of fermented small soybean (Chounggukjang) and mulberry leaf on metabolism and hexokinase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 divided 8 groups as follows: non-diabetic rat group fed with only water diet (NC: control), and STZ-induced diabetic rat groups fed with water (DC),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Bbc), fermented Glycine max Merr (Ybc), Bbc and YBc (BYbc), mulberry leaf and Bbc (MBbc), mulberry leaf and Ybc (MYbc), or the mulberry leaf, Bbc, and Ybc (MBYbc).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rats by subcutaneous STZ administration (70 mg/kg of body weight). All diet groups were fed with Chounggukjang in a powder form. Three ml of Chounggukjang solution (0.75 mg per gram of body weight)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as orally administered to all rat groups after STZ administration except for NC rat group. In groups fed with fermented soybeans, the body weight (increased), food efficiency ratio (FER) (increased), glucose level (decreased) and hexokinase (HK)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differed to NC. Among them, particularly in the groups fed with both fermented soybeans and mulberry leaf, kidne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K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D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ounggukjang of both fermented soybeans and mulberry leaf is potentially used as an effective functional food to prevent diabetes complications.

오염된 연안저질의 현장생물정화를 위한 미생물활성촉진제의 용출특성 연구 (Study on the elution of biostimulant for in-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 우정희;송영채;센틸쿠마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9-246
    • /
    • 2014
  • 자생하는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오염된 연안퇴적물을 현장생물정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미생물활성촉진제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생물의 생리활성을 촉진하는 황산염, 질산염을 오염되지 않은 연안퇴적물과 혼합하였으며, 혼합물을 볼 형태로 만든 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설펀으로 각각 표면을 코팅하여 볼 형태의 미생물활성촉진제 2종을 제작하였다. 또한, 황산염과 질산염이 용해된 생리활성물질 용액에 입상활성탄을 침지시켜 입자상 미생물활성촉진제를 별도로 준비하였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로 코팅한 미생물활성촉진제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코팅층 내부는 다소 큰 공극이 불규칙적으로 존재하였으나 코팅층 외부는 촘촘한 벌집모양의 공극들이 분포되어있었다. 폴리설펀으로 코팅한 미생물활성촉진제의 경우는 코팅층의 내부와 외부 모두 공극이 없는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로 코팅한 미생물활성촉진제의 생리활성물질 용출율은 폴리설펀으로 코팅한 미생물활성촉진제에 비해 증류수와 해수에서 모두 높았으며, 입자상 미생물활성촉진제로부터의 생리활성물질의 용출율은 폴리설펀으로 코팅한 미생물활성촉진제에 비해 약 9배 이상 높았다. 미생물활성촉진제로부터 생리활성물질들의 용출속도는 정체조건에 비해 난류조건에서 약 3배 이상 빠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생리활성물질들 중에서 질산염은 황산염에 비해 빠르게 용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에 의한 당근과 양파종자의 발아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smotic and Solid Matrix Priming to Improve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Carrot and Onion Seed)

  • 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5-142
    • /
    • 2004
  • 본 연구는 당근과 양파에서 발아력 증진에 미치는 osmotic priming과 SMP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1시간 후 급속한 수분흡수가 이루어졌고, 두 작물 모두 osmotic priming이 SMP보다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다. 이러한 경향은 처리 4시간까지 유지되었다. 처리최종일의 수분흡수율은 당근과 양파에서 osmotic priming이 SMP보다 2%높았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두 작물 모두 발아율을 향상시키지 못했지만 $T_{50}$ 및 MDG는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온인 $15^{\circ}C$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초기함수율로 재건조하면 당근에서는 발아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양파에서는 표면건조에 비해 발아속도가 지연되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상호처리간 발아력을 비교한 결과 두 작물 모두 SMP 처리가 osmotic priming보다 발아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당근과 양파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하면 묘출현율도 향상되었고,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를 단축시켜 신속한 묘출현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묘출현에 이은 유묘의 초기생육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종자는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다.

TiCl4를 출발원료로한 구형 Li4Ti5O12 분말합성 및 리튬이차 전지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Synthesis of Spherical Li4Ti5O12 Powder by Using TiCl4 As a Starting Material)

  • 최병현;지미정;권용진;김은경;남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669-675
    • /
    • 2010
  •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our society is providing powerful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and fuel cells are among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in terms of energy and power density. As the starting material, $TiCl_4{\cdot}YCl_3$ solution and dispersing agent (HCP) were mixed and synthesized using ammonia as the precipitation agent, in order to prepare the nano size Y doped spherical $TiO_2$ precursor. Then, the $Li_4Ti_5O_{12}$ was synthesized using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rough the stoichiometric mixture of Y doped spherical $TiO_2$ precursor and LiOH. The Ti mol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he spherical particle size due to the addition of HPC with a similar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a well in which $Li_4Ti_5O_{12}$ spherical particles could be obtained. The optimal synthesis conditions and the molar ratio of the Ti 0.05 mol reaction at $50^{\circ}C$ for 30 minutes and at $850^{\circ}C$ for 6 hours heat treatment time were optimized. $Li_4Ti_5O_{12}$ was prepared by the above conditions as a working electrode after generating the Coin cell; then,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when the voltage range of 1.5V was flat, the initial capacity was 141 mAh/g, and cycle retention rate was 86%; also, redox reactions between 1.5 and 1.7V, which arose from the insertion and deintercalation of 0.005 mole of Y doping is not a case of doping because the C-rat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better.

반도체(半導體) 제조공정(製造工程)에서 발생하는 혼산폐액(混酸廢液)으로부터 고순도(高純度) 인산회수(燐酸回收) (Recovery of high-purity phosphoric acid from the waste acid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박성국;노유미;이상길;김주엽;신창훈;김준영;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5호
    • /
    • pp.26-32
    • /
    • 2006
  • LCD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인산, 질산, 초산, Al, Mo 등이 혼재하고 있는 인산계 혼산폐액을 액정제조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순도 에칭액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용매추출법, 진공증발법, 확산투석법 및 이온교환법의 각각의 기술적 특성을 살린 혼합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고순도 인산회수 기술을 확립하고 상용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진공증발에 의해 질산과 초산을 100% 제거할 수 있었고, TOP를 이용한 용매추출에서도 추출 4단, 탈거 6단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이온교환의 전단계로 적용한 확산투석에서 Al 97.5%, Mo 36.7% 제거할 수 있었고 이온교환공정에서 Al 및 Mo를 각각 1ppm이하로 정제할 수 있었다.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삼투질농도와 $Ca^{2+}$이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smolality and $Ca^{2+}$ on Sperm Motility in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 고강희;장영진;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09-815
    • /
    • 1997
  • 문치가자미의 성숙한 수컷 15마리를 재료로 하여 삼투질농도와 $Ca^{2+}$이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문치가자미 정자는 전해질 및 비전해질 용액에서 정장의 삼투질농도인 $351{\pm}23.4mOsm/kg$ 이하의 저장액에서 운동이 억제되었으나, 삼투질농도 $466\~l,185mOsm/kg$에서는 활발한 운동을 보였으며, 1,698 mOsm/kg 이상에서 다시 운동이 중지되었다. 인공해수를 희석액으로 하여 pH를 달리하였을 때, 정자는 $pH\;5\~9$에서 운동지수 $3.75\~4.00$로 운동성이 활발하였으나, pH 4에서는 운동지수 2.50로 미약하였다. $Ca^{2+}$의 특이 chelator인 EGTA가 포함된 $Ca^{2+}$ 결여 인공해수 (tris-HCl, pH 7.4)에 정액을 희석하였을 때, EGTA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정자 운동성이 낮아졌으며, 3mM 이상의 농도에서는 완전히 정지되었다. 운동이 억제된 정자에 $Ca^{2+}$을 서서히 첨가한 결과, $Ca^{2+}$ 농도 0.25mM 이상부터 운동이 재개되었다. 또한 인공해수속의 정자는 calmodulin 억제제인 TFP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운동성이 감소하여 0.5mM에서 완전히 정지하였다.

  • PDF

Zn-AgO 이차 전지에서 Pb3O4가 첨가된 아연 전극에 미치는 전해질 첨가제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lectrolyte Additives on Zn Electrode with Pb3O4 in Zn-AgO Secondary Battery System)

  • 박경화;문경만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2-249
    • /
    • 2003
  • 아연 전극은 고농도의 KOH전해질 용액의 알카리 전지용 양극재료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전기화학적 반응과 높은 용해도에 의한 수지상의 생성에 의해 사이클 수명이 현저하게 짧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액온도 $25^{\circ}C$$40wt.\%$ KOH 전해질에 $Ca(OH)_2$, Citrate, Tartrate 및 Gluconate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그리고 $Pb_3O_4\;5wt\%$를 아연 전극에 혼합하였을 때 아연 전극의 전기화학적 거동에 미치는 Pb,04와 첨가제의 효과를 동전위 분극 곡선, 순환전위전해분석법, 가속수명시험 및 SEM사진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Pb_3O_4$의 첨가는 아연 전극의 부식 속도를 확실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리고 $Pb_3O_4$의 첨가에 의한 아연 전극의 부식 전위는 순수아연 전극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나 개로 전압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4가지 종류의 첨가제는 내식성과 가속 수명시험시의 사이클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Tartrate 첨가는 4가지 종류의 첨가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충방전 특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양호한 내식성 효과가 확인되었다.